피니쉬 무브

경고. 절대로 따라하지 마세요!

본 문서에는 본인과 타인에게 신체적·물질적인 피해를 입을 위험이 있는 행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위 행위를 모방할 시 부상을 당하거나, 물질적으로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절대로 따라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단 한번[1]밖에 깨지지 않은 빌 골드버그의 피니쉬 무브 잭 해머.

300px

단 한번도[2] 깨지지 않은 서브미션 계열 피니쉬 무브 안토니오 이노키마성의 슬리퍼.

Finish move.

프로레슬링 관련 용어. 경기를 마무리하는 가장 강력한 기술이기 때문에 Finish Move라고 하며, 그 선수만의 동작이기 때문에 당연히 Signature Move 중의 하나이다.[3] 또한 피니쉬 무브는 해당 선수의 캐릭터성에 깊게 관여하기 때문에, 같은 단체의 레슬러들은 피니쉬 무브를 잘 공유하지 않는다.[4]

프로레슬링이 초기의 격투기나 아마추어 레슬링에 가깝던 모습에서 점점 흥행 위주의 엔터테인먼트로 변해 갔고, 그에 따라 '상품'인 선수들에게도 자신만의 개성을 어필할 수 있는 아이템이 필요했다. 그에 따라 링 위에서, '고유의 강력한 기술' 로 자신을 어필하게 되었고 이것이 피니쉬 무브의 시초가 되었다.

초창기의 피니쉬 무브는 백 바디 드랍이나 플라잉 크로스바디, 슬리퍼 홀드 등 지금의 프로레슬링으로 보자면 기본기라 할 수 있는 기술들이 위주였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개성 넘치는 피니쉬 무브들이 등장하게 되었다.[5]

여기에 WWE는 대개 피니쉬 무브는 3카운트나 탭아웃으로 이어지게 되어 있고, 만약 이것을 킥아웃한다면 승부의 커다란 갈림길이 된다. WWE는 대체로 기믹당 피니쉬 무브 하나의 정책을 고수하기 때문에 끝장승부로 가더라도 하나의 피니쉬로 계속 달린다.[6][7]

다양한 방식의 경기를 갖는 메인 이벤터들은 핀폴로 이어지는 타격 / 슬램 계열 기술과 기권으로 이어지는 서브미션 계열의 기술을 함께 보유하고 있으며, 가끔은 도구나 링 주변의 물체, 반칙기를 활용한 기술을 가지고 있는 선수도 있다.[8]

언더독 기믹이나 자버들은 롤업으로도 승을 꽤 챙겨먹기도 하지만 롤업은 딱히 피니쉬 무브로 분류하진 않는다. 롤업으로 승리하는 레슬러들도 대부분 고유의 피니쉬 무브를 가지며, 그게 안 통하거나 사용할 기회를 만들 수 없어 편법으로 사용하는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선수 개인이 가지는 최강의 기술이란 설정답게 어느 정도는 정말 강한 기술들이 피니쉬 무브로 지정되긴 하지만, 실제 위력과는 상관없이 '강력한 기술'로 쳐 주기 때문에 비쥬얼 적인 부분이나 상징적인 면이 강하다. 더 락피플즈 엘보우, 스카티 투 하디의 더 웜, 존 시나AA(전 F-U), 파이브 너클 셔플(초기엔 피니쉬 무브로 사용했다.) 등은 그런 상징성이 극대화 된 피니쉬 무브이다. [9]

부상을 당하거나 체력이 다 떨어진 상황, 혹은 불시에 기습적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던지, 실제와는 무관하게 보기에 무진장 아퍼 보이면서 상대에게 부상을 입힐 가능성은 낮지만 화려해 보이는 것이 이른바 '좋은' 피니쉬 무브의 조건이다. 예를 들면 스티브 오스틴스터너 또는 랜디 오턴RKO 라던지 말이다.

다만 일본은 "새로운 강력한 기술을 개발해 냈다!"라는 느낌으로 새로운 피니쉬 무브의 공개를 하기도 하고 "이 기술은 너무 강력해서 잘 쓰지 않는다!"라는 식의 봉인기술[10]이 있기도 해서 피니쉬 무브의 존재감은 조금 엷은 편이다. 이는 현대 대전격투게임과 비교할 만 하다.[11]

또한 팀을 이루는 경우 팀원 두 명이 동시에 자신의 트레이드 마크 기술을 사용한다든가,아니면 아예 새로운 기술을 만들든가 하는 식으로 팀 피니쉬 무브를 사용하기도 한다.

요즘은 너무나도 종류가 다양해져 '신기술을 개발했다!!'라고 들고나온게 사실 예전부터 있던 기술인 경우가 많아졌다. 주로 태그팀 피니쉬 무브에서 더 많이 발견된다.[12][13]

  1. 헐크 호건에게 딱 한번 깨졌다.
  2. 무려 승률 100%를 자랑하는 기술. 참고로 서브미션 기술인 주제에 실신승도 아닌 핀폴승을 거두기도 했다.
  3. 대전 액션 게임을 예로 들자면, 시그니쳐 무브가 그냥 필살기라면 피니쉬 무브는 초필살기에 해당한다.
  4. 물론 빅 쇼케인, 언더테이커툼스톤 파일드라이버초크슬램, 매트 하디, 제프 하디트위스트 오브 페이트처럼 예외는 있다. 이 외에도 선배 레슬러를 기려 사용하거나 전수를 받았다거나 혈연 관계 기믹 등으로 피니쉬 무브가 전파되기도 한다.
  5. 지금도 피니쉬 무브는 기본기 하나의 기술을 변형 또는 조합 시켜서 만들어지지만, 해당 동작이 보여주는 기본기와는 다른 강력함이나 그 선수만의 기믹, 동작의 독창성 등을 많이 부각시킨다.
  6. 언더테이커같이 여러 기믹의 피니쉬가 섞여있는 정도가 예외지만, 이 경우에도 보통 한가지가 진피니쉬 취급을 받고(이를테면 툼스톤 파일드라이버.)나머지 피니쉬는 PPV에서는 성공시키더라도 3카운트로는 이어지지 않고 씹히는게 보통이다. 존 시나의 경우도 AA, STF 2개의 피니쉬 무브를 사용하지만 일반 매치에서 진피니쉬로 취급받는것은 STF. AA-STF의 콤보가 보통이다. AA로 정리할때는 탭아웃이 허용되지 않는 매치나, 세그먼트중 상대방을 제압할때나 쓴다.
  7. 반면 WWE 이외의 프로레슬러들은 대부분 피니쉬 무브를 서너개 이상 사용하고 꼭 피니쉬 무브로 끝나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다.
  8. 도구로 유명한 것은 트리플 H슬레지해머 샷, 제프 제럿의 기타 샷인 어쿠스틱 이퀄라이저가 있으며 반칙기는 릭 플레어로우 블로, 로디 파이퍼의 눈찌르기 등이 있다.
  9. 그러나 이런 상황이 너무 지나치면 피니셔라고 하기는 너무한 기술까지 나오곤 한다. 예를들면 그레이트 칼리가 초창기에 쓰던 찹 오브 둠, 빅 쇼WMD처럼.
  10. 대표적으로 미사와 미츠하루의 '타이거 드라이버 91', 코바시 켄타의 '버닝 해머'(리버스 데스벨리 드라이버), 사사키 켄스케의 '볼케이노 이럽션', 아키야마 준의 '스터네스 더스트 알파' 등. 실제 이 기술들은 상당한 위험을 안고 있어서 부상을 입히지 않은 기술이 없을 정도. 어지간한 선수가 아니면 사용하지도 않거나(타이거 드라이버 91, 스터네스 더스트 알파, 버닝 해머) 아예 한번만 사용하고 봉인한 적도 있을 정도(볼케이노 이럽션, 다이아몬드 헤드).
  11. 초필살기가 있지만 그를 더 강화시킨 아랑전설 시리즈의 잠재능력을 위시한, 이른바 진 초필살기 계열과 길티기어시리즈나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의 일발역전기 등
  12. 예로 텐잔 히로요시 & 코지마 사토시(텐코지)의 텐코지 커터. 원조는 더들리 보이즈(팀 3D)의 3D, 참고로 더들리 보이즈도 텐코지 공개 불과 며칠전에 공개했다. 아악!
  13. 유지로 & 나이토 테츠야(NO LIMIT)의 리미트 레스 드림은 실제로 여러 태그팀이 사용한 적이 있어서 원조가 누구인지 정확히 알수 없으나, NO LIMIT의 경우 이 기술을 개발해서 첫 공개한 그날 원래부터 그 기술을 쓰고 있던 비어 머니 Inc의 DWI가 같은 흥행 같은 경기장에서 터져버리는(...) 안습함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