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gate

(시게이트에서 넘어옴)

seagate_old.jpg
초기 뱃지 로고.[1]

400px
1차 변경된 뱃지 로고.

400px-Seagate_logo.svg.png
2차 변경된 뱃지 로고.

1 개요

Seagate Technology

시게이트 테크놀로지. 미국에서 탄생했던 하드디스크 업체이다. 창립 당시 사명은 설립자 이름인 슈거트(Shuggart)였으나 이게 발음하기 어렵다고 생각하여 유사한 발음인 시게이트(Seagate)라는 이름으로 바꿨다. 세계 최대의 하드디스크 생산량으로도 유명하다. 2000년 에는 본사를 조세 피난처(Tax haven)인 케이맨 제도로 옮겼었다가 2010년에는 아일랜드 공화국으로 옮겼다.[2] 그러니 미국 회사라고 말하기에도 딱히 뭐한 상황.[3]

국내에서는 삼성 하드디스크 인수로 한번 더 주목을 받았다. 2011년 4월, 삼성전자가 하드디스크 사업부를 시게이트 사에 매각하면서 매각 자금의 절반을 시게이트 주식 9.6%로 받아 2대 주주가 되었고, 이후 시게이트의 주식 10.5%[4]를 소유하면서 최대 주주에 올랐다. 2013년 10월, 삼성이 보유한 시게이트 지분 12.6% 중 9%p를 시게이트에 15억 달러로 되팔아 삼성의 시게이트 지분은 3.6%만 남았다.

벤치마크 성능이 준수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SSD 보급 앞에서는 이제는 의미가 없어졌고, 안정성 문제로 말이 많아졌다. 특히 3TB 하드디스크에서 높은 고장률을 기록하였다.

2 역사

1979년 슈거트 어소시에이츠사의 앨런 슈거트와 피니스 코너에 의해 설립되었다.

1980년 5¼인치 하드디스크인 ST-506[5]을 출시하여 큰 성공을 거두며, 이를 기반으로 용량 확장 버전을 차례로 출시한다. 스테핑 모터 기술을 사용하여 저렴한 반면 품질이 나쁘다는 평가가 있었지만 판매량은 많았다. 1985년 피니스 코너가 퇴사하여 노트북용 소형 하드디스크를 만드는 코너사를 설립하나 이후 1996년 시게이트와 합병한다. 1989년은 CDC의 하드디스크 부문을 인수하여 하이엔드 하드디스크를 생산하기 시작하며, CDC의 보이스 코일 특허를 획득하고 세계 최초로 5400RPM 드라이브를 발표한다.

1992년 최초의 7200RPM 제품인 Barracuda를 발표한다. 1996년에는 최초로 10000RPM 제품인 Cheetah를 발표하고, 동시에 최초의 7200RPM ATA 방식 하드 드라이브를 발표한다. 1998년 10억 번째 하드 디스크용 자기 헤드를 제조하며 창업자인 앨런 슈거트가 은퇴한다. 1999년엔 2억 5천번째 하드디스크를 출하. 2000년에는 15000RPM 하드디스크도 발표하며 베리타스에 적대적 인수 합병되나 기술과 제품 라인업만 빼먹고 다시 뱉어낸다(...) 혹은 선택과 집중일 수도.

2005년에는 최초의 USB 방식 외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발표하며, 2006년 수직 자기 기록 방식의 750GB 하드디스크를 발표하고 Maxtor를 인수한다.

그리고 2011년 4월 19일, 삼성전자가 시게이트에 하드디스크 사업 부문을 매각한다고 밝혔다. #, 삼성이 하드 사업 매각 대금의 일부를 시게이트 지분으로 받았지만 2대 주주여서 경영권은 없었다. HDD 부문을 자사의 생산 체제에서 도태시키고 SSD에 집중하려는 삼성과 HDD 사업에서 판을 굳히려는 시게이트의 이해타산이 맞아 떨어진 결과라는 평가다. 2013년 10월, 삼성이 보유한 시게이트 지분 12.6% 중 9%p를 15억 달러를 받고 시게이트에 되팔아서 삼성이 보유한 시게이트 지분은 3.6%만 남았다. 삼성 스핀포인트 브랜드가 시게이트를 통해서 부활했다. 스핀포인트의 악몽이 되살아날까 걱정되는 대목.

3 사건/사고

3.1 2009년 SD15 펌웨어 문제 (데스게이트 사건)

2009년 초 바라쿠다 7200.11 시리즈의 SD15 펌웨어 문제로 하드디스크가 인식이 안 되는 문제가 발생해서 데스게이트[6]라고 대차게 까였다. 펌웨어 업그레이드로 문제는 해결 가능하다고 하며, 이미 인식이 안되는 하드도 조금 고급 장비를 쓰면 복구가 가능하다고 한다. 추후 생산된 7200.12 제품군에서는 이 문제가 수정되었는데 맛이 간 11 제품군을 가져가면 아무 말 없이 12로 바꿔준다.[7]

이 사건은 데스게이트 사건이라고 불리면서 시게이트 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크게 깎아 먹었고, 한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타 사 하드디스크를 선호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그 이후 제품군에서는 큰 문제가 생기거나 하는 경우는 없었지만...

3.2 2010년대 초반, 불길한 조짐

2010년 9월 기준으로 특별한 얘기는 없지만 1.5TB 이상 제품 일부는 7200.11로 나오고 있다. 뭔가 조치를 취하긴 했겠지만 찝찝하면 갈아타시라.

2011년, Hybrid HDD 인 Momentus XT 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게다가 당시 한 사무실에서 7200.12 제품 1천개가 죽어버렸다는 흉흉한 소문이 돌고 있어 악몽이 재현되는 것이 아닌지 불안감이 쌓이고 있다. 그래서 또 다르게 붙여지는 별명이 "헬게이트" 정말로 헬게이트가 열리는 게 아니냐는 의미.

2014년, 컴덕들은 시게이트 하드의 안정성이 안 좋다며 히타치나 웬디 등의 제 3의 하드디스크 제조사를 주로 찾고 있다.[8] 덕분에 반사 작용으로 Western Digital의 하드디스크 판매량이 증가하기도 했으나, 각 회사별 하드 특색과 안정성에 신경 쓰지 않는 일반인들과, 삼성 등 메이커 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포함해 파는 OEM 영향 때문에 여전히 시게이트는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헬게이트, 씨X게이트라고 불려도 이는 온라인에서만 메아리치고, 실제는 1만원어치정도 더 싼 시게이트에 손이 갔던걸 부정할 수는 없었다.

그러는 와중에 컴덕들이 기분 상 불안했던 이유를 수치로 입증하는 데이터가 나왔으니.(...)

3.3 2015년, 데이터로 입증된 돌연사

3.3.1 2013~2014년 고장률 조사 결과

400px
2013년 Backblaze라는 회사에서 자사의 서버를 운영하면서 발생한 하드디스크의 고장률을 발표했다.
히타치, 시게이트, 웨스턴 디지털의 제품을 확인할 수 있는데 3곳의 제조사 중 가장 높은 고장률을 자랑하면서, 유일하게 고장률 10%를 넘기는 결과를 보였다. 즉 하드디스크 10개 중 하나 꼴로 고장난다는 것. 일반적인 사용자들의 하드 드라이브보다는 확연히 부하가 과한 서버 환경이긴 하지만, 상대적으로 확연히 높은 고장률을 보인다는 것을 부정하기는 어렵다. 덕분에 유저들은 2009년 데스게이트 사건 이후로 시게이트 하드디스크의 안정성과 신뢰도에 상당한 불신을 가지게 되었는데 이 통계로 인해 확실하게 고장률이 높다는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소니타이머라도 달린 듯 사용 1.5년~2년차 이후로 안정성이 급격히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 다섯명 중에 한명은 하드를 날려본 경험이 있을 비율.

400px
2014년에도 Backblaze에서 하드디스크 고장률을 발표했다. # 2013년에 이어 히타치, 웨스턴 디지털을 제치고 전 조사 모델 중 모든 시게이트 하드디스크 모델의 고장률이 탑을 달리는 현상이 발생했다. 2013년에 이은 엄청난 수치의 고장률 때문에 데이터 저장용으론 적합하지 않다는 견해가 많다.

3.3.2 2015년, 충격적인 3TB 하드 고장률

2014년에 이어 2015년에도 2014년 한해 동안 서버를 운영하면서 발생한 하드디스크 회사 별 고장률을 조사하여 통계를 내었다. 그런데...

400px
낙화암 아디오스 삼천궁녀 (3000GB)
시게이트 3TB 하드디스크 모델의 고장률이 무려 43%를 육박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참조

위의 고장률 조사 결과는 시게이트의 3TB 하드디스크는 서버 환경에서 굴리면 10개중 4개는 고장난다는 확률이라 가히 충격적인 수치이다.

다만 BackBlaze이 점에 대해서 추측되는 원인을 언급했는데 저기 극단적으로 높은 고장률을 자랑하는 3TB 모델은 시게이트의 특정 모델(ST3000DM001 모델명이다)에 한정되며, 고장율이 높은 이유는 2011년 말의 태국 홍수로 인해서 하드 업계가 치명타를 입었던 것과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海門이 무너졌다 아마 저 특정 모델이 홍수에 대한 영향을 유달리 크게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홍수가 난 이후로 약 1년간 저 특정 모델의 시게이트를 5천여개를 샀는데, 그 5천여개가 막대한 불량율을 냈다고 한다. 같은 시기에 구매한 다른 시게이트 3TB 모델인 ST33000651AS은 고장률이 8.3%[9]로 저렇게 높지 않다고 한다.

3.3.3 2015년 이후

전체적으로 고장률이 줄어들었고, 시게이트의 고장률도 줄었다. 고장날 하드는 다 고장난 건가 이제는 WD가 날뛰기 시작한다. 시게이트는 40%에 육박했고 WD는 8%밖에 안되는데??[10]

데스크탑용 하드의 실적이 심상치 않다. # 개인용 데스크탑 하드 분기별 판매량이 기존 1600만개에서 1430만개로 떨어지고 있다. 다만 불량으로 인한 신뢰도 하락 때문인지 SSD로 인한 하드 시장 침체 때문인지는 더 살펴봐야 할 듯 하다.

2016년 2월, 미국 소비자들이 시게이트를 상대로 집단 소송을 걸었다. #

4 A/S 정책의 변화

데스게이트 사건 즈음해서 A/S 정책이 바뀌었다. 일단 유통사 3년 + RMA[11] 2년으로 총 5년이던 보증 기간이 유통사 3년으로 줄어들었다. 이것만 보자면 특별히 안 좋아졌다기보다는 다른 하드디스크 업체와 비슷해졌다고 볼 수 있지만...

진짜 문제는 A/S의 기준이 보편적인 검사 프로그램의 결과가 아니라 시게이트에서 배포한 프로그램의 검사 결과라는 것이다. 많이 쓰이는 검사 프로그램으로 배드 섹터 검사를 해서 수십개 수백개가 나와도 시게이트의 검사 프로그램에서 정상(PASS) 판정이 나오면 A/S를 받을 수 없다. 시게이트 프로그램 결과가 일반적인 프로그램과 결과가 비슷하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실제로 배드 섹터가 수백개라도 시게이트의 프로그램으로 검사하면 PASS가 뜨는 경우가 아주 많다는 것이 문제.

데스게이트 사건과 이 A/S 문제가 맞물려서, 현재 시게이트 하드디스크 구입을 상당수가 비추천하고 있다. 데스게이트야 해결했다고 쳐도 A/S 문제는 답이 없다.

대원 AS피씨디렉트 AS

그런데 2011년 12월에 A/S 기간을 1년으로 줄인다고 발표했다. 단 서버용 제품(Constellation 2와 ES.2)은 줄어들지 않고 일반 제품만 해당된다. 물론 대부분의 사용자에게는 의미 없겠지만.

A/S 기간이 줄어든 이유는 2011 태국 홍수 문제로, 웨스턴 디지털 제품도 같이 줄어들었다. 그런데 웨스턴 디지털은 3년에서 2년으로 줄었다.

양사의 A/S 축소 내용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A/S 기간이 줄기 전에 구입한 제품은 해당되지 않는다.

2012년 6월 30일 기준으로 보증 기간이 다시 증가하였다. 보증 기간이 축소된 시기에 산 사람들은 보증 기간 증가에 해당이 안된다. 그래서 그 시기에 산 사람들은 호갱이 됐다면서 불만을 표하는 상태다.

구형 삼성 하드는 찬밥신세. 2년 서비스 기간 끝나면 그것으로 끝. 유상수리, 리퍼, 기타 등등 모든 서비스 방법을 받지 않는다. 한마디로 버리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

해외직구 제품은 지역보증제한에 의해 한국에서 보증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 말 그대로 아무런 서비스도 받을 수 없다. 미국 아마존에서 제품을 구매했다면 보증 서비스를 받기 위해 미국으로 직접 보내야 한다. 내가 택배비 낼 테니까 미국으로 보내고 돌려받는 거만 진행해 주세요 하는 정도의 서비스도 제공하지 않는다. 근데 같은 제품을 국가만 일본으로 설정하면 싱가포르로 RMA가 진행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5 국내 상황

사용자들이 싱가포르 회사로 착각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아무래도 생산 공장이 싱가포르에 있고, 이 회사에서 내놓는 하드디스크에는 싱가포르에서 생산(product of singapore)했다는 표시가 붙어있는 영향이 크지 않았나 싶다. 현재는 중국태국에서도 생산하고 있다.

이 회사가 내놓는 하드디스크는 대체로 성능은 뛰어난 편이나, 그만큼 발열도 타사의 동급 제품에 비해 심각하다는 것이 문제이다. 데스게이트 사태가 터지기 이전에도 벤치마크 결과만 1등으로 나올 뿐 비교적 잘 뻑나고 더 시끄럽다는 얘기를 듣곤 했었다. 슬림화 모델이나 헤드를 2~3중으로 쓰는 경우가 특히 심하다는 평.

6 여담

전 시게이트 CEO 빌 왓킨슨의 명언.
출처: 2006년 11월 말의 CNN과의 인터뷰 중.

"솔직해집시다. 우리는 세상을 바꾸는 것이 아닙니다. 단지 사람들이 쓸데없는 소프트웨어를 더 많이 사고, 야동을 더 많이 볼 수 있도록 돕는 물건을 만드는 것 뿐입니다." (Let's face it, we're not changing the world. We're building a product that helps people buy more crap - and watch porn.)

이걸 본 순간 뜨끔한 기분이 들었다면 기분 탓이다 그러라고 사준 컴퓨터가 아닐텐데?
지금으로서는 믿어지지 않겠지만 2000년대 초중반만 하더라도 일반적 범용 하드디스크 중에서는 시게이트 제품이 가장 조용한 제품이었던 적도 있다. [12]

2011 태국 홍수 사태로 인해 손해를 보기는 커녕 오히려 반사이익을 봤다. 물건이 있는 업체 사장이 건물을 하나씩 샀다는 소문이..

언제부터인가 '600시리즈'라는 이름으로 SSD도 만들고 있다.

7145856495.20130917155101.jpg

이렇게 생겼다.

7 경쟁사

  1. 극초기에는 로고는 같았는데 이름이 Shugart였다.
  2. http://storageio.com/blog/?p=1179
  3. 비록 본사를 옮겼어도 활동은 미국에서 하니까 미국 회사.
  4. 2012년 11월 기준
  5. 5¼ 베이를 2개 차지하며 용량은 5MB
  6. 원조는 2000년에 나온 IBM Deskstar 75GXP 가 엄청나게 죽어나가서 데스스타라고 까이던 것에서 유래되었음.
  7. 근데 여기에 약간의 잔머리가 숨어있다. 용량이야 어쩔 수 없으니 똑같은 제품인데 버퍼가 절반.(물론 실질적인 성능이나 단가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다만) 근데 기계를 바꿔 주는 건 좋았지만 날아간 데이터는?
  8. 물론 제2의 하드디스크 제조사는 삼성전자.
  9. 이것도 다른 브랜드 대비 높긴하다.
  10. 다만 Backblaze의 고장률 자료는 같은 시기에 사용하기 시작한 물건이 아니라 BackBlaze가 서버 사용 용도로 구매한, 전혀 안정성을 확인하기에 좋은 순서로 구매했거나 그렇게 맞추어서 정렬된 고장률이 아니라는 것을 감안해야한다. 또한 모든 하드는 언젠간 고장나며, 모델 간의 고장률 차이와 평균 연식 역시 차이가 나는 자료이기 때문에, 보다 의미 있는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선 원문을 읽은 뒤 모델과 평균 연식까지 감안해서 읽고, 원문 작성자의 분석을 읽어야 한다. 이 자료만 보고 WD가 날뛰기 시작했다라고 단언하기는 힘들다. 가령 원문에 의하면 WD 1TB모델은 평균 연식이 6년 이상이다.
  11. 외국에 있는 본사로 제품을 보내 A/S를 받는 것.
  12. 바라쿠다 7 때만 해도 정숙성에서 압도적으로 타사를 제압했었다.
  13. 히타치의 자회사, WD가 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