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대학교에 연고를 둔[1] 교수 집단을 지칭한다.
좁은 의미에서는 밀턴 프리드먼으로 대표되는 신자유주의, 게리 베커로 대표되는 사회과학의 다양한 현상에 대한 폭넓은 경제학적 분석, 로버트 루카스로 대표되는 합리적 기대와 통화정책의 무용성 등을 특징으로 뽑을 수 있다.
70~90년대까지 거시경제학 내에서 통화정책이 유효한가 아닌가에 대한 논쟁 및 신자유주의에 대한 논쟁이 강했을 때는 이른바 이런 특징이 제일 강했고, 시카고 대학을 중심으로 정부 개입에 부정적인 거시경제학자들은 민물학파(Freshwater)[2]로 불리기도 했다. 시카고 학파의 생각과 일치하는 학교들이 주로 미국 내륙에 존재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지만, 실제로는 유펜이나 UCLA 같은 곳도 민물학파에 가까운 성향을 지녔었다. 통화주의나 새고전파 등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그 당시에도 다양한 학계간 교류가 왕성한 편이었고, 2015년 현재는 더욱 그런 성향이 두드러진다. 효율시장가설로 유명한 2013년 노벨상 수상자 유진 파마와 행동경제학 내지는 behavioral finance의 대부이자 2015년 전미경제학회 회장 리처드 탈러는 성향상 정반대에 가깝자만 둘 모두 시카고 대학[3] 에 있다. 또한 비주류경제학에서 주류로 편입된 지 얼마 안 된 실험경제학의 대가 존 리스트가 2015년 현재 경제학과 학부장이기도 하다. 금융경제학자이자 '폴트라인'의 저자로 금융위기 및 불평등 문제에 주목한 라구람 라잔, 또한 Austan Goolsbee 처럼 골수 민주당 지지자들도 교수진으로 포함하고 있다. "시카고 학파 = 신자유주의"라는 공식은 과거처럼 잘 들어맞는다고 하기 어렵다.
또 한 가지의 오해가 시카고 학파는 이론적이고 수리적이라는 것인데, 오히려 시카고 학파는 현실적 이슈에 충실한 것으로 더 유명하다. 이론에 머물러 있으면 반대로 현실과 충돌할 일이 없는데 경제학과 현실을 적극적으로 접목하다 보니 다른 의견을 가진 학자들과 이견을 보이는 편이다. 그리고 순수 미시이론 내지 순수 계량이론은 다른 학교들에 비해 그렇게 강한 편이 아니다. 또한 합리적 기대와 함께 시카고 학파는 수리적이라는 이미지가 생겼지만, 시카고 학파는 본래는 부분균형 분석을 위해 일반균형분석을 포기하는 경향이 더 강했다. "괴짜경제학"으로 유명한 스티븐 레빗 역시 시카고 대학교 소속으로, 그의 경제적 접근과 실험경제학은 여러 경제학 중에서 제일 수리적이지 않은 접근에 속한다. 네?프리코노믹스는요? 계량이론 논문들을 안읽어 보셨군요
2015년 현재 밀턴 프리드먼과 게리 베커는 세상을 떠나고 로버트 루카스 역시 명예 교수로 반 은퇴한 상태이다. 그외에 노벨상 수상자로는 제임스 해크만, 로저 마이어슨, 라스 한센, 유진 파마가 재직중이고 학문적으로는 위에 언급한 것처럼 다양한 최신 경제학적 경향들을 여전히 포괄하고 있다, 하지만, 예전처럼 대중에 시장중심 및 반개입주의를 활발하게 어필하는 교수들은 많이 줄어들었다. 존 코크레인 역시 스탠포드로 옮기는 수순을 밟고 있고 케이시 멀리건 정도만이 남아 있을 뿐, 그런 역할 폴 크루그먼이랑 토닥토닥하는 은 하버드의 그레고리 맨큐에게 넘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