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인간

1 Vegetative state

이 문서는 의학과 관련된 내용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언급하는 정보는 기초적인 지식으로만 받아들여야 합니다. 바다위키에 등재된 의학 정보를 맹신하지 마십시오. 본 문서를 의료행위, 자가 진단, 교육 등에 활용함으로 인해 불이익이 발생해도 바다위키는 법적 책임을 질 의무가 없습니다. 건강 관리와 질병 진단은 반드시 병의원·보건소 등 전문 의료기관만을 이용해야 합니다.

의학 관련 문서에 오해를 낳을 가능성이 있는 자의적인 생각이나 공인되지 않은 학설 등의 확인되지 않은 정보는 타인의 건강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국제질병분류기호(ICD-9)780.03
진료과신경과, 신경외과
관련증상
관련질병심장정지 및 뇌외상 이후에 발생하는 뇌손상

의학적으로는 대뇌의 이상으로 인해 의식이나 운동성은 없으나 호흡과 순환은 유지되는 환자를 지칭한다. 즉 식물처럼 살아는 있으되 움직이는것이 불가능한 인간.
뇌사와 다른 점 : 뇌사는 생명유지 기능을 하는 중뇌, 연수 등에 손상을 입은 것이다. 그래서 자력으로 호흡이 불가능하여 산소호흡기를 제거하면 바로 죽는다. 반면 식물인간의 경우는 대뇌 손상으로 인해 의식은 없으나 생명유지기능은 살아있어 자력 호흡은 가능하다.

약간 다른경우로 뇌기능과 인지능력은 모두 무사하나, 전신마비로 눈동자만 간신히 굴리는 처지에 있는 환자도 있다. 이건 척수신경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뇌사나 식물인간과는 다르다. 영화 '잠수종과 나비'에 이런 상황이 등장한다. 소설 몽테크리스토 백작에서 눈동자만 움직이는 노인이 등장하는데 그 눈동자의 움직임만으로 주변을 압도하는 기백을 보인다. 글자를 하나하나 보여주고, 원하는 글자가 있을 때 눈을 깜빡이는 방식으로 문자를 써서 의식을 표현할 수 있었다. 이를 Lock-in syndrome이라고 한다. 즉 운동 기능은 상실하였으나 감각 기능은 살아 있는 경우이다. 복어독 중독도 이와 같다.

뇌사와 식물인간 구분의 실익은 장기이식에 있다. 현행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에선 뇌사자의 장기이식만을 허용하고 있으며, 이 경우 뇌사자의 사망 원인을 뇌사의 원인이 되는 질병 또는 행위로 본다.

식물인간 상태가 되었을 때는 이제 사망한다고 봐도 무방하나, 아주 극히 천문학적인 확률로 식물인간상태에서 살아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온정신으로 깨어난다기보다는 유아퇴행 같은 상태로 깨어나는 경우가 더 많다고 한다.

2009년 11월, 23년간 식물인간 판정을 받았으나 알고보니 의식이 있었던 사람이 발견되었다.# 비슷한 사례로 식물인간으로 12년을 보낸 남자가 있는데, 실은 의식이 없었던 건 첫 2년 뿐이고 나머지 10년은 의식이 있었다.# 그리고 첫번째 기사를 읽어보면 알 수 있듯이, 최소의식상태(MCS)와 식물인간 상태를 구분하며 오진이 많다고 밝히고 있다. 영국 법원의 판결 사례에서 보듯이# 최소의식상태와 식물인간을 엄연히 구분하고 있다.

뇌 스캔기계를 이용해 식물인간이 질문에 대답하는 것도 확인했다.#[1] 그리고 2006년 연구에 따르면 식물인간도 의식이 존재하는 듯 하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여기참고.

1.1 여기서 파생된 의미

어쨌든 많이 알려진 표현이다보니, 인터넷을 통해 그 의미가 확장되기도 하는데 식물XX라는 접두어 형태로 사실상 아무런 능력이 없는 직책이나 사람을 표현한다.

특히 스포츠판에서 외국인 선수가 국내선수만도 못한 경기력을 보일때 식물용병이라는 표현을 쓴다. KBL의 전설적 식물용병 폴 밀러나 제러드 호먼같은 경우가 대표적.

가끔 아무런 능력이 없는 사장을 식물사장이라고도 표현한다. 바지사장과는 의미가 완전히 다르다. 직책자체가 훼이크인 바지사장과는 다르게 식물사장이라는 표현은 직책은 사장이지만 실권이 전혀 없거나 실권을 행사하려고 해도 저항이 심해서 일을 진행시키지 못하는 정도까지 힘이 약한 경우가 그렇다.

그리고 이것이 디씨같은 막장 사이트와 결합할 경우 역시 나쁜 쪽으로 발전한다. 그것이 야채드립.

2 Plantoid

위의 의학적 용어와는 달리 식물이 인간처럼 움직이고[2] 동물들처럼 지능이 있거나 식물의 유전자가 뒤섞인 인간을 뜻한다. 주로 각종 게임의 몬스터로 등장하나, 자주 나오지 않는다.

서브컬처에서 자주 나오는(그리고 미화되는) 사례는 맨드레이크알라우네. 포테마요의 주인공 포테마요투 러브 트러블셀린같은 경우는 여기에 아기 속성까지 딸려오는 케이스다.

실험이나 돌연변이 등으로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다. 배트맨 시리즈빌런 포이즌 아이비가 만들어내기도 했으며, 초딩이지만 우리 사귀어요의 등장인물인 아님은 실험으로 탄생한 식물인간이다. 폴아웃: 뉴 베가스의 잡몹 포자 운반체는 식물관련해서 하던 실험이 잘못 되어 변형 포자가 사람들을 감염시켰고 최후에는 숙주는 사망하고 포자가 숙주의 몸을 덮어 움직이게 된다. 숙주 자체는 이미 죽었지만 식물이 인간처럼 생겼으니 식물인간의 범주에 포함되려나?

심즈 2에서 식물에 농약을 너무 많이 치면 식물과 인간이 합쳐진 녹색인간으로 변하기도 한다.
  1. 다만, 해당 기사는 의학 전문 기자가 아니라 연예 기자가 작성한만큼(작성 기자로 해당 사이트를 검색하면 연예가 소식이 대부분이다.) MCS와 식물인간을 구분해서 기사를 작성했는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2. 엔트는 예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