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자동차/제조사
대구의 시내버스 회사에 대해서는 신진자동차(대구)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新進自動車
1 개요
1955년부터 1984년[1]까지 존재한 한국의 자동차 제작사. 한국에 처음으로 등장한 대규모 종합 자동차 제작사 이기도 하다.
2 역사
1955년에 김제원-김창원 형제에 의해 부산 신진공업사로 시작하면서 미군으로 부터 불하받은 GMC CCKW 폐차 섀시를 재생한 버스를 만들면서 사세를 확장하였으며, 1960년에는 전포동[2] 버스 공장을 완공하였으며, 1962년에 나온 신진 H-SJ 25인승 마이크로 버스는 일명 노랑차[3] 혹은 마이클(...)이라는 애칭으로 불리우면서 엄청난 판매고를 자랑했다.
1963년에 미군 지프 폐차 부품을 이용해서 닛산 블루버드 P310 (새나라 자동차)의 외형을 모방하여 만든 신성호 라는 세단은 신진자동차 최초의 승용차였으나 재생 부품을 사용하다보니 어쩔수 없이 조악한 품질과 특유의 수작업 공정 때문에 새나라 자동차보다 비싼(...) 가격으로 판매가 매우 부진하였으나, 이후에 새나라 자동차가 특혜 시비로 망하면서 새나라 자동차 인천공장(지금의 한국GM 인천공장)을 1965년에 인수하고 그곳에서 토요타와의 기술제휴로 코로나(1966년), 크라운(1967년), 퍼블리카(1967년) 같은 승용차를 계속 내놓았는데 신진 코로나 승용차는 1960년대 한국의 도로사정에 잘 맞는 자동차로 국내 승용차 시장을 싹쓸이 하였다.[4]
1966년에 일본 토요타 자동차와 기술제휴로 만든 FB100LK 가솔린 버스는 폐차 재생부품이 아닌 규격화된 신품 부품만을 사용하여 만든 국내 최초의 대량 생산 기성품 버스로 1960년대를 대표하는 시내버스로 유명했고, 1968년에 내놓은 DB102LC 디젤 버스는 본격적으로 국내에 디젤엔진 버스 시대를 개막하면서 버스 = 디젤엔진 공식을 성립시키며 1970년대 초반에 가장 흔한 버스 중에 하나였다. 버스 이외에도 토요타와의 기술제휴로 중대형 트럭도 만드는 등 그야말로 한때나마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을 싹쓸이 하던 회사.
FB100LK 가솔린 버스, 코로나 승용차, DB102/105LC 디젤 버스의 성공 덕분에 돈방석에 앉았던 전성기 시절에는 신진지프자동차, 신진알미늄, 대원안전유리, 신원개발(현 삼성물산 건설부문)이나 코리아스파이서공업(성신양회가 이후 인수), 학교법인 신진학원(신진공업고등학교), 신진자동차운전학원을 비롯한 여러 계열사를 거느리면서 신진자동차그룹이라는 재벌 집단도 잠시나마 형성했고 심지어 1967년부터 1975년까지는 하동환 자동차 까지도 인수 및 업무제휴하여 계열사로 두고 있었다.[5] 신진자동차그룹은 대한민국 최초의 자동차 재벌로써 1970년대 초반 까지만 해도 국내 최대이자 최고의 자동차 그룹이었고 재계 2~3위를 다툴 정도로 그 위세가 대단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에 걸맞게 신진자동차 역시도 당시 독과점의 폐해를 제대로 보여주기도 했다. 그 외에 경향신문을 인수하여 산하에 두었던 적 도 있었다.
하지만 1969년에 적자투성이인 한국기계공업을 인수하면서 망조가 슬슬 보이기 시작하더니, 결국 "저우언라이 4원칙"이 발표된 후 토요타의 배신으로 인하여 급속하게 몰락하고, 신진자동차그룹의 메인이었던 지엠코리아(구 신진자동차공업과 GM의 50:50 합작법인)가 경영악화로 산업은행 관리 하에 들어가면서 새한자동차가 되었다가 1978년에 대우그룹으로 넘어가 버렸다. 마지막으로 남은 거화자동차와 코리아스파이서공업마저도 경영권 분쟁[6]과 김창원 자신의 해외 도박 파문 등으로 흑자도산하면서 현재는 1개 소규모 학교법인 규모(신진자동차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법인 신진학원)에 불과한 안습한 신세가 되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대우자동차, 쌍용자동차[7] 문서를 참조할 것.- ↑ 신진자동차의 실질적 후신인 거화자동차는 1984년까지 존재하다가 경영권 분쟁으로 인한 흑자 도산 때문에 동아자동차에 흡수합병 되었다.
- ↑ 2008년 까지 대우버스 부산공장으로 남아있었으며 사무실 건물은 1960년 부터 쓰던 건물을 철거 직전까지 계속 사용하였다. 하지만 대우버스 부산공장이 울산으로 이전하면서 해당 부지는 기존의 공장 시설이 모두 철거되고 현재는 부영아파트가 건설중이다.
- ↑ 상당수의 신진 마이크로버스가 노란색 도색으로 출고되었기 때문.
- ↑ 다만 이 와중에도 카라반 같은 경우처럼 거의 안팔린 차종도 있었다.
- ↑ 이쪽의 경우는 상공부 시책 때문이었다.
- ↑ 무려 부자 간의 경영권 분쟁이었다. 김창원 회장과 그 아들인 김준식 간의 경영권 분쟁이 원인이 되었다고.
- ↑ 신진자동차의 마지막 후신이라 할 수 있는 거화자동차가 동아자동차에 흡수된 후, 쌍용그룹으로 넘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