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메니아어

(아르메니아어파에서 넘어옴)
인도유럽어족
원시인구어†
CENTUM 어군SATEM 어군
게르만어파아나톨리아어파이탈리아어파켈트어파토카리아어파헬라어파발트-슬라브어파아르메니아어파알바니아어파인도이란어파
발트어파슬라브어파
북게르만어군서게르만어군동게르만어군라틴팔리스칸어군오스칸움브리아어군대륙켈트어군도서켈트어군동발트어군서발트어군동슬라브어군서슬라브어군남슬라브어군누리스탄어군다르드어군이란어군인도아리아어군
로망스어군
어군 위치가 비어있는 어파는 단일언어로 독립된 어파를 이루거나 소속된 제어들을 분류할 사료가 부족한 경우에 해당함.
세부적인 어군 분류는 각 항목 참조.
†가 있는것은 사멸된 어파 혹은 어군

1 개요

Հայերէն (하예렌)

아르메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다. 그리스어와 마찬가지로 이 언어 혼자서 독립된 어파이다. 서아시아캅카스아르메니아와 주변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며 크게 동부 아르메니아어(Արևելահայերեն)와 서부 아르메니아어(Արեւմտահայերէն)로 나뉘어지나 아르메니아인 대학살로 인해 서부 아르메니아어의 세력은 크게 줄었다. 과거엔 페르시아어와 비슷한 언어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독자적인 어파로 생각되며 인접한 언어인 터키어처럼 교착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더럽게 복잡하다는 뜻이다. 한편 인근의 조지아어와 같이 독자적인 문자를 사용한다. 아르메니아 문자는 38개 문자로 이루어져 있고 라틴 문자와 같이 대소문자 체계가 있다. 그리고 필기체가 따로 있다.

그리고 아르메니아의 국어는 동부 아르메니아어다. 아르메니아어 교재는 동부 아르메니아어 교재도 있지만 서부 아르메니아어 교재도 있으니 만약 아르메니아에 관심이 있어서 아르메니아어를 공부하고 싶다면 동부 아르메니아어 교재를 구해야 한다.

그리고 잘 안 알려져 있는 어려운 언어 중 하나이다. 문법이 상당히 어렵고 발음도 한국어에 없는 발음이 종종 있다. 모음은 6개이나 실제로는 7개의 글자가 사용되는데 문제는 u에 해당하는 글자가 없어서 다른 글자를 빌려쓰고 있다. 자음은 31개 있는데 현대 아르메니아어에선 다행히도 29개만 사용된다. 한편으로는 한국어와 비슷하게 유성음 ㅡ 무성음 ㅡ 유기음으로 자음이 삼중대립하므로 여타 외국인에 비해 한국인이 아르메니아어 발음을 배우는 건 어렵지 않다.

아르메니아어 문법은 다행히도 성이 없다! 심지어 대명사에도 없다! 물론 있었다면 정말로 헬게이트를 맛봤을 것이다. 그래도 여성임을 나타내는 접미사 -ուհի가 존재해 교사(ուսուցիչ)에 이 접사를 붙여 여교사(ուսուցչուհի)라는 단어를 만들 수 있다. 물론 격은 아주 많아 주격, 대격, 처격, 속격, 여격, 탈격, 도구격의 7격이 존재한다. 그리고 동사 변화는....

սիրել(시렐, 사랑) → սիրող, սիրում, սիրելիս, սիրելու, սիրել, սիրած, սիրում եմ, սիրում ես, սիրում է, սիրում ենք, սիրում եք, սիրում են, սիրում էի, սիրում էիր, սիրում էր, սիրում էինք, սիրում էիք, սիրում էին, սիրելու եմ, սիրելու ես, սիրելու է, սիրելու ենք, սիրելու եք, սիրելու են, սիրեցի, սիրեցիր, սիրեց, սիրեցինք, սիրեցիք, սիրեցին, սիրեմ, սիրեի, սիրեիր, սիրեր, սիրեինք, սիրեիք, սիրեին, կսիրեմ, կսիրես, կսիրի, կսիրենք, կսիրեք, կսիրեն, կսիրեի, կսիրեիր, կսիրեր, կսիրեինք, կսիրեիք, կսիրեին, սիրի՜ր, սիրեցե՜ք, մի՜ սիրիր, մի՜ սիրեք, պիտի սիրեմ, պիտի սիրես, պիտի սիրի, պիտի սիրենք, պիտի սիրեք, պիտի սիրեն, պիտի սիրեի, պիտի սիրեիր, պիտի սիրեր, պիտի սիրեինք, պիտի սիրեիք, պիտի սիրեին, սիրել եմ, սիրել ես, սիրել է, սիրել ենք, սիրել եք, սիրել են, սիրել էի, սիրել էիր, սիրել էր, սիրել էինք, սիրել էիք, սիրել էին, սիրելու էի, սիրելու էիր, սիրելու էր, սիրելու էինք, սիրելու էիք, սիրելու էին

으악

물론 서부 아르메니아어는 이보단 간단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동부 아르메니아어가 더 많이 쓰인다.

외국인들이 볼때는 아르메니아 문자와 조지아 문자가 서로 비슷해 보이는 경우가 많은지 아르메니아인이나 조지아인에게 문자가 비슷해 보인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당연히 아르메니아인이나 조지아인들 중에서 이런말 들으면 좋아할 사람 없으니 주의해야 한다.

2 방언

2.1 동부 아르메니아어

  • 예레반 방언 - 가장 영향력이 큰 방언이며, 교육 및 언론매체를 통해 아래 방언들에게도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 카라바흐 방언 - 나고르노카라바흐 및 아르메니아 남부(슈니크州)에서 사용. 표준 동부 아르메니아어와 상당히 달라서 이 방언을 쓰는 사람은 쉽게 구별된다 카더라.

2.2 서부 아르메니아어

  • 카린 방언
카린이란 현재 터키의 도시 에르주룸을 가리키나, 현재는 제2도시 "귬리"를 비롯한 아르메니아의 서북지방 및 조지아 남부의 아르메니아인 거주지역에서 쓰인다.
  • 무슈 방언
무슈(Muş)는 지금 터키 동부에 있는 도시이다. 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때 여기서 피난 온 아르메니아인들이 지금의 아르메니아와 조지아 지역에 이주했는데, 1915년 아르메니아인 학살 이후로는 그 마을들에서만 쓰이고 있다. 카린 방언은 그래도 제2의 도시인 귬리에서 쓰이고 있지만, 무슈 방언은 조그만 산골 마을들에 사는 화자 수천 명만 남았다. 그래도 완전 멸족된 다른 서부 아르메니아어 방언들보다야...
  • 그 외 레바논이나 이스탄불의 아르메니아인 공동체에서도 서부 아르메니아어가 쓰인다. 그러나 이스탄불에 사는 아르메니아인들의 83%(젊은층에서는 92%다...)가 터키어를 모국어로 쓰는 판이라 전망이 밝지 않다. 유네스코에서는 소멸위기언어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