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 의사 기념관

1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73596_497139.jpg
DSC_2578.JPG
서울특별시 중구 남산공원에 있는 역사기념관. 사단법인 안중근숭모회가 관리운영하고 있으며 1970년 10월 26일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41주년을 기념하여 설립되었다. 2010년 10월 26일 이전에 있었던 한옥모습의 구관(舊館)을 철거하고 현재의 자리에 신관을 설립하여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101주년을 기념하여 개장하였다.

본래 일제강점기일제가 남산에 세웠다는 신사(神社)인 조선신궁(朝鮮神宮)이 있던 자리다. 일제에 의해 무고한 한국인들이 어쩔 수 없이 신사참배를 했던 굴욕적인 장소로 알려졌다. 1945년 해방 후 일본인들이 조선신궁을 직접 해체 및 철거한 뒤 남은 빈 터에다 일제의 잔재와 굴욕을 씻어내기 위해서 지금의 안중근의사기념관을 설립했다고 전해진다.
2010071822043127.jpg
이전까지는 한옥 모습을 본딴 단층 형태의 전시관이었다. 전시관의 노후와 전시물 포화 등으로 신관 건립안이 추진되었다. 구관이 철거되고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101주년을 기념하는 2010년 10월 26일 지금의 자리에 신관을 개장하여 일반에 공개하였다. 새로 지어진 기념관은 이전의 한옥형태의 단층건물과는 달리 3층 짜리로 된 유비쿼터스 형태로 리모델링된 건물이다. 4개로 구성된 네모형이고 앞면에 '安重根' 이라는 인명이 새겨졌다. 반투명한 간유리라 그런지 별로 눈에 띄지 않는다는 점이 아쉽다.
1292042996153.jpg
2010년 서울특별시로부터 건축상 공공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그럼에도 개관식에 건축가가 초청받지 못해 이슈가 된다. 건축계에서는 건축가의 사회대우에 대한 문제의식이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다. 건축가는 부부 건축가인 김선현·임영환 씨(디림건축)

전시관 안에는 안중근 의사의 동상과 안 의사와 동지들이 단지동맹(斷指同盟)을 통해 혈서(血書)로 직접 써낸 '大韓獨立' 이라 쓰여진 대형 태극기가 걸려있다. 안중근 의사에 대한 업적과 유품들, 그리고 안 의사의 어록 및 명언 등을 전시하고 있다.

001243.jpg
전시관 앞에는 안중근 의사의 동상이 있다. 이 또한 2010년 신관 개장에 맞추어 새로 만들었다. 저격 이후 태극기를 흔들던(정확히는 흔들려고 꺼내드는?) 모습이다. 트레이드마크인 왼손의 단지를 수줍게(...) 뻗고 계시다. 나름대로 완성도가 높다. 맞은 편에는 서울교육정보연구원이 있다. 그리고 그 사이에는 안 의사가 생전에 했던 어록, 휘호 등이 새겨진 석상들이 있다. 남산공원과 연결되어 있고 2010년을 전후하여 근처까지 서울성벽이 보수되면서 주변을 따라 걷다보면 아름다운 풍광이 가득하다. 근처 동네에 미군 및 그 가족이 다수 거주하고 또한 최근 중국인들을 비롯하여 많은 외국인들이 남산을 찾아오고 있어서 동상 근처에 다수의 외국인들이 앉아서 휴식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유료입장이었으나 현재는 무료입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2 중국 하얼빈

안중근 의사의 의거 장소인 중국 하얼빈 하얼빈역에 설치된 기념관. 외교적 민감성 때문에 극비리에 추진되다가 2014년 1월 19일 전격 개관하였다.관련 기사

2013년 6월, 한중 정상회담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시진핑 주석에게 하얼빈역에 의거 현장 표지석을 설치하여 줄 것을 요청하였다. 시진핑 주석의 승낙에 따라 표시석이 세워질 예정이었는데, 일본 측에서 안중근에 대한 디스와 더불어 중국 측이 일본의 마루타 실험 관련기록을 유네스코 문화 유산으로 지정하려는 움직임까지 비아냥거리고 만다. 이에 중국은 표지석 정도가 아니라 기념관을 짓는 것으로 일본의 도발에 대꾸했다.

기념관은 귀빈용 대합실 일부를 개조하여 마련되었다. 주로 하얼빈 시 조선민족예술관의 전시물을 옮겨왔다. 당연히 한국 정부는 환영의 뜻을 표했고, 일본 정부는 유감을 표명하였으나, 중국은 '안중근 의사는 저명한 항일의사로 중국 인민의 존경을 받는다'라고 일축. 일본의 망언이 중국에서 안중근 의사의 인지도만 높여 준 셈인데, 이후에도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는 안중근 의사는 사형 판결을 받은 인물이라는 식의 망언을 끊임없이 늘어놓고 있다. 그럼 전범들은 국제사법재판 범죄자들인데 왜 복권시켰냐

대북 문제와 동북공정 등 한중간의 외교적 갈등도 적지 않지만, 항일투쟁역사에 대한 인식만큼은 같이하고 있음이 확인된 셈. 일본의 역사 왜곡과 우경화에 한중 양국이 공조하여 일본을 압박하려는 외교적 포석이라고 볼 수도 있다.

2015년 10월, 관객 수가 20만명을 돌파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