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마뉘엘 레비나스

20130607221016129.jpg
Emmanuel Levinas (1906~1995, 장수했다!!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에 비하면)

프랑스의 유태계 철학자. 러시아의 영향이 강한 동유럽 리투아니아 출신으로, 유태인 부모에 의해 성경탈무드 교육을 받으며 자랐고, 동시에 러시아 문학에도 정통했다.

1923년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에서 유학한 후 블랑쇼와 우정을 맺는다. 2차대전프랑스군에 입대해 통역일을 맡았으나 독일군에게 포로로 잡혀 수용소 생활을 했고, 그 와중에 가족들은 나치에게 몰살당했다. 5년간의 수용소 생활 과정에서 플라톤에서 시작하는 서양의 존재론적 전통을 포함한 기존 철학에 대항하는 사상을 이루었다. 이는 유태인으로서 리투아니아에서 태어나 프랑스로 유학해 독일 철학을 배웠다는 특수한 연혁 덕이라 볼 수 있다.

레비나스는 1935년, 그가 생각하는 최초의 저서인 "탈출에 관하여"에서 자기 (soi)에 대한 자아 (moi)의 동일성인 '자아와 자기' 아래선 어떤 탈출이나 구원도 바랄 수 없다고 했는데, 레비나스는 그러므로 초월은 자아와 자기의 관계를 깨부수는 것, 즉 자아가 자기자신이라는 생각을 깨뜨리는 것에 대한 필요로 이 초월에 '탈출', '벗어남'이라는 개념을 최초로 도입한다. 이 연구는 레비나스의 탈자태 개념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가 주목한 부분은 윤리와 전체주의에 관한 문제였는데, 르네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인식 주체 중심의 존재론은 '나의 세계'가 '나' 뿐만 아닌 '타자'조차도 '나의 세계'로 끌어들이는 지극히 자기 중심적인 이론으로 보고 이것이 나치즘과 같은 전체주의로 발전한다고 믿었다. 또한 그는 나치즘과 같은 전체주의 사상의 원천을 서양 존재론의 전통, 존재에서 악이 결여되어있는 것이 아닌, 존재가 악일 수 있다는 가능성에 기인한다.

이러한 자기 자신으로 끊임없이 함몰되는 존재론에 대비해 그는 당시 빛을 잃어가던 형이상학적 윤리 철학인 '타자의 철학', 즉 이타주의 철학 혹은 상호존재주의 철학을 제시했다. 그는 자기중심주의와 이기적 자기 주장에 억눌린 약자로서의 타자를 찾고자 하였다. 존재론은 자기 인식 하에 자기 바깥의 모든 것까지 자신의 안으로 내재하려는 인식이지만, 그는 타자는 자신이 어떤 수단으로든 간섭하고 제압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런 고로 타자가 어떠한 존재이든지 간에 그 생명을 존중하고 윤리적으로 대접해야 하며, 그런 타자와의 관계에서 '나'라는 존재의 유한성이 극복된다고 믿었다. 서구 전통론의, '나'라는 존재에 의해 '타자'가 정의된다는 것과는 정면으로 대치되는, '타자'가 존재함으로써 '나'는 윤리적 책임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다는 이론이다.

이는 타자에 의해 자신이 부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말로는 '타자의 인질'이 되는 것을 말한다. 타자의 생명과 고유성은 '성전(聖殿)'이며, 우리 자신은 윤리성을 지키기 위해 그들 타자가 유린되거나 다치지 않도록 수호하는 볼모된 자이다.

그래서 레비나스는 아나키의 주체를 말하면서, 타자와 나는 영감의 관계이기도 하다고 말한다.

이를 에반게리온적으로 풀이하면 재밌다. 인류보완계획은 '타자'와 '나'의 관계 혹은 AT 필드를 허물어 하나의 거대한 '나'의 세계를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결국 이카리 신지는 타자의 존재를 나의 것이나 나와 비슷한 것으로 환원시키지 않았다. 이는 타자는 타자로 자신은 자신으로 살아가며 서로 상처를 줄 수 있지만 서로를 사랑할 수도 있는 세상을 택한다는 의미로 위에서 서술된 이론과 비슷한 점이 많다. 하지만 그러면 뭐해 우린 피규어나 살뿐인데.
에반게리온 안 본 사람에겐 이게 레비나스의 원문보다 더 어렵다

이러한 '윤리학은 존재론에 앞선다(Ethics precedes ontology)'는 이론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상실해 가던 윤리와 도덕론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고, 서구 전통에 대한 비판은 후에 포스트모더니즘에 큰 영향을 미쳤다.

레비나스의 종교관도 꽤나 흥미로운데, 유대계 배경 집안에서 자란 것과는 다르게 '성스러움'을 폭력적인 것으로 구분한다. 신의 뜻 대로 행동하는 것이 아닌, 자신의 의지로 행동한 후에 신의 뜻대로 행동할 수 있어야 진정한 신을 믿을 수 있다는 것이다.

참고 : 레비나스의 저서들, 네이버 백과사전, 철학의 센세이션-윤병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