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오피아 항공 961편 납치 사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996년 11월 23일 에티오피아의 아디스아바바에서 케냐의 나이로비로 향하던 에티오피아 항공 961편(보잉 767-260ER)이 3명의 괴한에게 공중납치당했고, 결국 연료고갈로 코모로 제도에 불시착한 사고이다. 항공 사고 수사대에서도 다룬 내용이다.

1 사건의 발단

에티오피아 항공 961편은 인도 뭄바이에서 출발하여, 에티오피아의 아디스아바바, 케냐의 나이로비, 콩고의 브라자빌, 나이지리아의 라고스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코트디부아르의 아비장으로 향하는 비행기였다. 뭄바이를 출발한 첫 여정은 매우 순조로운 비행이었으나, 공교롭게도 첫 번째 기착지인 아디스아바바에서 공중납치를 계획한 3명의 청년이 탑승했다.

이들 3명의 청년은 스스로를 1995년에 수립된 에티오피아 정부에 저항하다가 투옥됐던 정치범이라 자처했고, 이로 인해 비록 석방됐지만 에티오피아에서 더 이상 신변안전을 보장받을 수 없으므로 정치적 망명을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안전한 제3국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항공기를 납치하고자 했다.

비행기가 이륙하고 적당한 시점이 되자 이들 3명은 자신들이 무기와 폭탄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승무원을 협박하여 조종실로 들어갔고, 기장과 부기장에게 호주로 향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요구를 들어주지 않으면 항공기를 추락시키겠다는 협박도 서슴치 않았다. 기장과 부기장은 이 터무니없는 요구에 반발할 수밖에 없었는데 당시 항공기가 탑재한 연료로는 호주로 갈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들이 호주를 부른 것도 참 골때리는데 당시 항공기 내 책자에 나와있는 보잉 767 기종의 최대 항속거리가 호주까지 갈 수 있는 거리였기 때문이다(…). 기장은 이 무지한 납치범들에게 원래 비행기는 자신이 운항하는 거리만 연료를 싣고 다니며, 나이로비에서 재급유를 받을 예정이라 연료가 부족하여 추락할 것이라 이야기했다. 하지만 납치범들은 기장이 거짓말을 한다고 생각했고, 막무가내로 호주로 향할 것을 요구했다.

이미 공중납치를 몇 번 경험한 기장은 한 번도 아니고 몇 번을 경험했다고?!??! (...) 일단 그들의 요구대로 기수를 돌리는 시늉을 했다. 하지만 호주로 향한 것이 아니라 그저 아프리카 대륙의 해안선을 따라 비행했다. 이는 필요 시에 가까운 인근 공항 또는 바닷가에 비상착수를 하기 위한 계산에서 선택한 행동이었다. 하지만 납치범이 여전히 해안선이 보이는 것을 발견하고는 동쪽으로 향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고, 결국 기장도 더 이상 그들을 속일 수 없었기에 기수를 동쪽으로 돌릴 수밖에 없었다. 기름 없는 건 못 알아보면서 왜 그딴 건 잘도 알아보는 거야

2 비상착수

납치범들은 일단 비행기가 동쪽으로 향하고 있는 것이라 믿고 있었다. 하지만 기장은 바다에 추락하여 모두 죽는 최악의 사태를 피하고자 은밀히 코모로로 방향을 바꾼 상태였다. 그러면서 동시에 연료가 떨어져가고 있음을 거듭 강조했지만 납치범들은 듣는 시늉조차 하지 않았다.

결국 타협의 여지가 없다고 판단한 기장은 어떻게든 코모로의 공항에 착륙할 수 있도록 시간을 벌기 위해 같은 상공을 계속 맴돌게 설정했다. 그러면서 납치범들을 계속 설득하려 했으나 되려 부기장을 공격하여 부상을 입혔다. 결국 비행기의 연료는 고갈이 났고 양쪽 엔진이 모두 멈춰 버행기는 서서히 추락하는 상황에 치달았다.

기장은 승객들의 안전을 최우선시 할 수밖에 없었으므로 그랑드코모르 섬의 공항에 비상착륙을 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납치범들이 반발하는 바람에 격투가 벌어졌고, 이로 인해 기장은 공항으로 향하는 방향을 놓치고 말았다. 결국 차선책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고, 휴양지와 가장 가까운 해변을 선택했다.

기장은 어떻게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왼쪽 날개를 먼저 수면에 닿게 하여 비행기 동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줄이려 노력했다. 그렇다고는 해도 비행기에 가해지는 엄청난 압력은 어쩔 수 없었기 때문에 결국 비행기 동체가 부숴지는 상황은 피할 수 없었다.

결국 12명의 승무원과 163명의 탑승객 중에서 125명이 사망했다. 겨우 50명만이 부상을 입은 채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그나마 기장의 적절한 비상착수 지점 선정으로 이 사고를 목격한 관광객과 현지인들이 재빨리 구조활동에 나섰고, 때마침 휴양을 즐기고 있던 프랑스인 의사들이 현지에 있었기 때문에 부상자들이 신속한 응급조치를 받을 수 있었다. 또 주변에서 스쿠버 다이빙을 하던 사람들도 적극적으로 사람들을 구조하는 데 힘썼다.

3 사고 분석

기장과 부기장은 살아남았고, 상황을 목격한 생존자들도 있었으며 공중납치에 의한 사고였으므로 원인규명은 거의 필요가 없는 수준이었다. 게다가 이 과정에서 보여준 기장의 행동은 매우 적절한 대처로 인정받아 영웅이란 평과 함께 상을 받는 영예도 누렸다.

다만 안타깝게도 기장의 처절한 노력에 비해 생존자가 적었다. 많은 승객들이 비상착수 시 구명조끼 착용 매뉴얼을 제대로 준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구명조끼는 물에 빠진 사람들이 수면 위에 떠오를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로 매뉴얼에 침몰하는 항공기에서 탈출한 다음 부풀려 공기를 채우도록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패닉상태에 처한 많은 승객들이 승무원들의 지시와 경고를 따르지 않고 구명조끼를 착용하자마자 부풀려 공기를 채우는 실수를 범하고 말았다. 미리 구명조끼를 부풀린 승객들은 잠수를 할 수 없어서 물이 차오르는 동체 안에 갇히게 되었고, 이것이 사망자를 늘리는 원인이 되고 말았다.[1]

그 외에 납치범들이나 일부 승객들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못한 상태였고 이들은 추락할 때의 충격으로 사망했다.

4 그 외의 이야기

에티오피아에서 공식적으로 확인된 사안에 따르면 납치범 3인은 그저 무직자 2명과 간호사 1명이었고, 11명의 동료가 있는 정치범이란 주장은 거짓으로 발표된 상태이다.

범인들이 승무원들을 협박하기 위해 과시했던 무기와 폭탄은 단순히 승무원들을 협박하기 위한 뻥카로 추정되고 있다. 무엇보다 폭발물질이 담겨있다던 유리병은 사실 위스키류의 술이 들어있었던 것 같으며 그 병을 열어서 유유히 마시는 장면을 목격한 승무원도 있었다.

비상착수한 지점이 관광객들이 많은 장소여서 그 장면과 비행기가 부서지는 장면이 생생하게 녹화되어 있는 몇 안 되는 사건 중 하나이다. 이 사고를 촬영했던 사람은 "처음에는 관광객을 위해 에어쇼를 하는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란 인터뷰를 남겼다.

더불어 비행기의 구조상 비상착수 시 동체가 부숴지는 점은 어쩔 수 없다고 한다. 이유는 물과의 마찰력 때문인데 특히 비행기 날개에 달려있는 엔진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날개에 엄청난 압력이 걸리게 되며 이로 인해 날개가 먼저 박살나고, 그 파급효과로 동체까지 부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2] 이 사건에서도 기장이 어떻게든 충격을 줄여 무사히 비상착수하려는 시도는 좋으나 결국 비행기가 왼쪽으로 뒤집히는 바람에 결국 그 빛이 바래버렸다는 분석도 있다.

훗날 기장은 인터뷰에서 "납치범들은 호주로 갈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그저 동반자살하겠다는 생각밖에 없었다. 놈들은 그저 비행기를 추락시키는 것 외에는 관심도 없었다." 라면서 가열찬 디스를 퍼부었다. 최선을 다해 모두가 살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해내려던 기장에 비해 납치범들이 보여준 안하무인적이고 무대포스러운 행동과 그로 인해 사망자가 발생한 상황을 보면 충분히 이해되는 반응. 기장은 이후 최선을 다해 승객들을 살리려고 한점을 인정받아 폴라리스상을 수여받았다.

탑승객 중에는 한국인 1명도 있었다. 그는 주 케냐대사관의 서기관이었는데, 이 사고로 사망하였다.
  1. 이는 세월호 사고 때 학생들이 빠져나오지 못한 이유와 비슷하다.
  2. DC-9이나 MD-80처럼 엔진이 날개가 아니라 동체 뒤쪽에 달린 경우는 날개와 동체에 가해지는 충격이 좀 더 적다고는 한다. 물론 이 사고의 767은 엔진이 날개에 달려 있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