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대통령

걸스데이의 한국 음반
정규#!wiki style="font-size:8pt"
{{{#646464 1집}}}
기대
#!wiki style="font-size:8pt"
{{{#646464 1집 리패키지}}}
여자 대통령
#!wiki style="font-size:8pt"
{{{#646464 2집}}}
LOVE
미니#!wiki style="font-size:8pt"
{{{#646464 1집}}}
Everyday
#!wiki style="font-size:8pt"
{{{#646464 2집}}}
Everyday II
#!wiki style="font-size:8pt"
{{{#646464 3집}}}
Everyday III
#!wiki style="font-size:8pt"
{{{#646464 4집}}}
Everyday IV
#!wiki style="font-size:8pt"
{{{#646464 5집}}}
Everyday \#5
싱글#!wiki style="font-size:8pt"
{{{#646464 1집}}}
Girl's Day Party \#1
#!wiki style="font-size:8pt"
{{{#646464 2집}}}
Girl's Day Party \#2
#!wiki style="font-size:8pt"
{{{#646464 3집}}}
Girl's Day Party \#3
#!wiki style="font-size:8pt"
{{{#646464 4집}}}
Girl's Day Party \#4
#!wiki style="font-size:8pt"
{{{#646464 5집}}}
Girl's Day Party \#5
#!wiki style="font-size:8pt"
{{{#646464 6집}}}
Girl's Day Party \#6
#!wiki style="font-size:8pt"
{{{#646464 7집}}}
보고싶어
디지털#!wiki style="font-size:8pt"
{{{#646464 Summer Special}}}
나 어때
#!wiki style="font-size:8pt"
{{{#646464 캠페인 송}}}
Let's Go
#!wiki style="font-size:8pt"
{{{#646464 CM송}}}
Hello Bubble
솔로#!wiki style="font-size:8pt"
{{{#646464 소진 싱글}}}
Finale
#!wiki style="font-size:8pt"
{{{#646464 민아 미니 1집}}}
I am a Woman too
걸스데이의 일본 음반
앨범#!wiki style="font-size:8pt"
{{{#646464 베스트}}}
Girl's Day Best Album
(JAPAN LIMITED ver.)
싱글#!wiki style="font-size:8pt"
{{{#646464 1집}}}
Darling "JPN Ver."



왼쪽부터 소진, 혜리, 유라, 민아

Teaser Dance Ver. Making Film

  • 걸스데이 Repackage Album 'Female President'(130624)

♬ 01. Girl's Day World (Intro)
♬ 02. 여자 대통령
♬ 03. 기대해
♬ 04. I Don't Mind
♬ 05. Easy go.
♬ 06. 그녀를 믿지마
♬ 07. White Day
♬ 08. 어쩜 좋아
♬ 09. 반짝반짝
♬ 10. 한번만 안아줘
♬ 11. Oh! My God
♬ 12. 나를 잊지 마요
♬ 13. 여자 대통령 (MR)

2013년 6월 24일 발매. 정규 1집《기대》의 리패키지 앨범이다. 남기상 작사/작곡의 <여자 대통령>이 추가되고 MR과 클럽 리믹스가 빠졌다. 이번에도 <기대해> 때와 마찬가지로 안무/뮤직비디오 선정성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번에도 노이즈마케팅? 앨범이 공개되고 오후 1시 부터 걸스데이, 걸스데이 여자 대통령, 유라가 실시간 검색 순위권에 올라있다.

타이틀 곡의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지만, 초반 성적은 매우 좋은 편으로 싸이월드 뮤직을 제외하고 실시간 1위~3위에 있는 상태이다. 전체 성적을 보자면 2013년 6월 멜론 월간차트 90위로 진입(25일 집계이므로 하루치 성적), 7월 9위, 8월 20위, 9월 57위를 마지막으로 차트아웃했다. <기대해> 만큼 롱런한 것은 아니지만 최고 순위 자체는 전작보다 높다.

2013년 7월 6일 MBC 음악중심에서 컴백한지 1주일만에 1위 후보에 올랐다. 하지만 동영상점수와 문자투표점수 모두 1000점으로 만점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로이킴에게 밀려 2위. <기대해>부터 음방 1위에 대한 열망을 곳곳에서 드러냈던 만큼 본인들이나 팬들에게 큰 아쉬움을 남겼다. 하지만 결국 데뷔 3주년 2일 전인 7월 7일에 아시아나항공 214편 추락 사고로 결방된 인기가요에서 안습 음원점수 5375점, SNS 점수 3500점, 시청자사전투표점수 12점, 총점 8887점으로 1위에 올랐다.

경력 최초로 음악방송 1위를 차지한 곡이지만 곡에 대한 평가자체는 <기대해>보다 떨어지는 편. 2013년 멜론 연간차트의 순위는 70위로, <기대해>의 36위에 비해 다소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기대해>의 발표시기가 좀 더 앞서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연간차트에서는 <여자 대통령>과 같이 여름에 발표한 노래가 상위권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 경향까지 고려하면 체감 인기의 차이는 순위의 차이 이상일 것이다.

사실 <여자 대통령>의 활동을 보면 <기대해>로 실패한 음방 1위를 어떻게든 달성하고 말겠다는 기획사의 강한 의지가 엿보인달 수 있다. 달랑 한곡 추가한 리패키지 앨범을 발매한 것부터, 월요일 음원/뮤비 공개에 수영장 쇼케이스에 입수에 어디 따로 써먹지도 못할 뮤직비디오용 의상 러쉬까지, 그 주 음원/음반점수와 sns 점수를 풀로 챙기고 들어가 주말 음방에서 싸우겠다는 확실한 전략을 들고 나왔던 것이다. 체감 인기는 <기대해>보다 떨어지는 편이었던 <여자 대통령>이 인기가요 1위를 달성한 데에는 이런 드림티의 전에 없는 전략적인 움직임이 그 바탕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마냥 평가절하할 수도 없는게, 걸스데이의 디스코그래피 중 <여자 대통령> 만큼 행사에 어울리는 노래도 드물다. 이 곡의 히트 이후로 걸스데이의 행사 레파토리는 첫곡으로 <여자 대통령>을 부르고 앵콜곡으로 <기대해>를 부르는게 공식화되다시피 했는데, 완급조절이 거의 없이 하이라이트까지 줄창 내달리는 구조를 가진 곡이다 보니 그야말로 분위기를 띄우는데 안성맞춤이었던 것. <Something> 발표 이후에는 클로징으로도 많이 사용되는데, 끝맺음이 확실한 곡이다 보니 마지막 곡으로도 꽤나 근사하다. 어쨌거나 실제로 들어보면 상당히 신나는 곡인 건 부정할 수 없을 듯하다. 무엇보다 이 곡의 가치는 <기대해>에 이은 연타석 히트라는 점에 있다. 걸스데이의 초기경력이 불안했던 주요한 이유가 <반짝반짝>을 잇는 후속 히트작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기대해> 후속작의 중요성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과장해서 얘기하면, <반짝반짝>의 반짝인기를 다시한번 답습할 수도 있는 순간이었다. <여자 대통령>은 걸스데이가 이러한 우려를 딛고 일어서 정상권으로 한발짝 더 발돋음할 수 있는 발판이 되어준 곡이었다고 할 수 있다.

여담으로 혜리가 이 앨범부터 단발이 되었다.

<여자 대통령>이라는 제목이 마치 박근혜를 연상시키기 때문에 정치색 논란도 좀 있었지만 노래 내용은 정치적인 이슈와는 상관이 없다. 대통령이라는 이름은 본 곡이 전하는 메세지인 "여자들이여! 당당해져라!"를 보다 강하게 어필하기 위한 수단 정도로 사용된다. 래퍼들의 스웨거처럼 인용되는 수준이며, 이런 가요는 박근혜가 아니라 한명숙이 대통령이 되었다고 해도 충분히 나올 수 있는 내용이다. 제목이 제목이다보니 네이버에서 자동 완성에도 '걸스데이 여자 대통령'이 뜨지 않는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걸스데이/음반 목록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