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영원히 치유되지 않을 국보의 상처
목차
개요
1967년 10월 24일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국보 도난사건. 끝내 범인은 잡히지 않았다.
국보 제119호로 지정된 연가칠년명금동여래입상은 문화재 애호기간 특별전시를 위해 덕수궁 박물관에서 덕수궁 미술관으로 옮겨져 2층 제3관에서 전시중이었다. 그런데 오전 10시 40분경, 순찰중 경비담당자가 입상이 사라진 사실을 알게 되어 경찰에 신고했다.
원래는 10월 23일 전시를 마치고 덕수궁 박물관으로 돌아갈 예정이었지만, 다음날 국제연합일(UN창설일)이 공휴일[1]이었기 때문에 10월 24일 하루 더 전시하고 돌아가기로 했던 참이었다.
불상이 사라진 자리에는 범인이 푸른색 볼펜으로 쪽지를 써서 남겼는데, "국장님께 직접 알려라. 세계 신기록을 위해 24시간 안으로 돌려주겠다. 타인에게 알리는 약은 수작을 부리면 죽은 아이 귀 만지기격이 될 것이다"라는 내용이었다.
발칵 뒤집힌 경찰은 필적의 감정을 의뢰하고 입상을 전국에 지명수배했다. 그러나 어떤 단서도 없이 사건 수사에 진척이 없는 채로 시간만 흘러갔다. 범인은 오전 11시, 오후 3시, 오후 6시에 문화재 관리국장에게 전화를 걸어서 자신이 훔쳤다는 전화를 했다. 그런가 하면 서울 명동 유네스코회관 앞의 태궁이라는 다방에 "생활이 어려워서 일시적으로 저질렀다. 곧 돌려주겠다."라는 쪽지를 남기기도 했다.
오후 11시 5분경, 범인은 다시 문화재 관리국장에게 전화를 걸었다. "내가 금불상을 훔친 범인이다. 금인줄 알고 훔쳤는데 금도 아니고, 귀중한 물건이란걸 신문이나 뉴스에서 알게 돼서 양심의 가책을 느끼고 알려주겠다. 한강철교 제3교각 16번,17번 침목 받침대 사이에 숨겨두었으니 와서 찾아가라"라는 말을 남겼다. 금자만 보고 바로 뒤에 붙은 동자는 못봤나보다
문화재 관리국장은 당장 기사와 부인을 깨워서 범인이 말한 장소를 찾아 20분여간 그곳을 뒤진 끝에 마침내 입상을 찾아내 국립중앙박물관 귀금속실로 옮겨 엄중히 보호했다.
경찰은 범인이 단순히 입상을 돈을 위해서 훔친게 아니라 뭔가 문화재 관리국장에게 원한을 품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수사를 집중했으며 또한 범인이 전시장인 덕수궁 미술관의 구조나 사정을 잘 아는 사람일 거라고 보고 관련자들을 심문했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결국 범인을 잡는 데는 실패했고 1974년 10월 24일 공소시효 만료. 수사 당시 한 경찰국장은 쇠붙이 하나 없어진 거 가지고 왜 그리 난리들이냐라는 망언을 하기도 했다.(...)
당시 범죄전문가는 추리소설을 많이 본 젊은이가 입상을 훔쳐서 떠들썩한 사건을 만들고 사회를 조롱하기 위해서 이 사건을 일으켰을 것이라 추측했다. 문화재 관리국장에게 전화를 건 목소리로 미루어 30대 정도의 젊은이 일거라는 추정 외에는 범인에 대해 밝혀진 것도 없었다.
현재 연가칠년명금동여래입상은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데, 뒤의 광배가 앞으로 심하게 휘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도난사건 당시 훼손이 심해서 그렇게 되었으며 복구가 불가능하다고 한다.- ↑ 당시엔 공휴일이었고 1976년 공휴일에서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