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경우, 대외적으로는 중국 왕조에 사대를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황제를 칭하는 대표적인 외왕내제 국가였으므로, 연호를 지속적으로 사용해 왔다. 자꾸 똥똥 거리지만 웃지는 말자. 지방정권에서만 쓰이고 당시에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경우 연호 뒤에 (*)표시를 했다. 또한 각 왕조에 대한 짤막한 설명은, 나중에 베트남의 역사 하위에 해당 항목이 생기면 그쪽으로 옮기고 링크를 추가바람.
1 딘 조
정조(丁朝). 국호는 대구월(大瞿越)로, 베트남 역사상 최초의 베트남 계 왕조인 응오 조(吳朝)를 멸망에 이르게 한 12사군의 난을 평정한 딘 보린에 의해 개창된 베트남의 두 번째 독립왕조. 수도는 호아르(華閭).
연호 | 한자 | 음 | 시작 | 종료 | 기간 | 군주 | 비고 |
타이빈 | 太平 | 태평 | 970 | 980 | 10년 | 선주(先主) 딘 보린(丁部領), 폐주(廢主) 딘 또안(丁璿) |
2 전 레 조
전여조(前黎朝). 국호는 역시 대구월이며 수도는 호아르. 딘 선주가 암살되고 도래한 혼란을 수습하고 레 호안이 왕위에 오르면서 시작되었다. 송나라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방어하며 베트남의 독립을 지켰다.
연호 | 한자 | 음 | 시작 | 종료 | 기간 | 군주 | 비고 |
티엔푹 | 天福 | 천복 | 980 | 988 | 8년 | 다이하인 제(大行帝) | [1] |
흥통 | 興統 | 흥통 | 989 | 993 | 4년 | ||
응티엔 | 應天 | 응천 | 994 | 1007 | 13년 | 쭝똥(中宗) | [2] |
까인투이 | 景瑞 | 경서 | 1008 | 1009 | 1년 | 응오아찌에우 제(臥朝帝) | [3] |
3 리 조
이조(李朝). 국호는 다이비엣(大越:대월), 수도를 호아르에서 탕롱(昇龍:지금의 하노이)으로 옮겼다. 멸망 후 아인똥의 아들 리 롱뜨엉(李龍祥:이용상)은 고려로 망명, 화산 이씨의 시조가 되었다.
연호 | 한자 | 음 | 시작 | 종료 | 기간 | 군주 | 비고 |
투언티엔 | 順天 | 순천 | 1010 | 1028 | 18년 | 타이또(太祖:태조) | |
티엔타인 | 天成 | 천성 | 1028 | 1034 | 6년 | 타이똥(太宗:태종) | |
통투이 | 通瑞 | 통서 | 1034 | 1039 | 5년 | ||
깐푸흐우다오 | 乾符有道 | 건부유도 | 1039 | 1042 | 3년 | ||
민다오 | 明道 | 명도 | 1042 | 1049 | 7년 | ||
티엔깜타인부 | 天感聖武 | 천감성무 | 1049 | 1년 | |||
숭흥다이바오 | 崇興大寶 | 숭흥대보 | 1049 | 1054 | 5년 | ||
롱투이타이빈 | 龍瑞太平 | 용서태평 | 1054 | 1059 | 5년 | 타인똥(聖宗:성종) | |
쯔엉타인자카인 | 彰聖嘉慶 | 창성가경 | 1059 | 1066 | 7년 | ||
롱쯔엉티엔뜨 | 龍彰天嗣 | 용창천사 | 1066 | 1068 | 2년 | ||
티엔후옹바오뜨엉 | 天貺寶象 | 천황보상 | 1069 | 1년 | |||
턴부 | 神武 | 신무 | 1069 | 1072 | 3년 | ||
타이닌 | 太寧 | 태녕 | 1072 | 1076 | 4년 | 년똥(仁宗:인종) | |
아인부찌에우탕 | 英武昭勝 | 영무소승 | 1076 | 1085 | 9년 | ||
꾸앙흐우 | 廣祐 | 광우 | 1085 | 1092 | 7년 | ||
호이퐁 | 會豐 | 회풍 | 1092 | 1101 | 9년 | ||
롱푸 | 龍符 | 용부 | 1101 | 1110 | 9년 | ||
호이뜨엉다이카인 | 會祥大慶 | 회상대경 | 1110 | 1120 | 10년 | ||
티엔푸주에부 | 天符睿武 | 천부예무 | 1120 | 1127 | 7년 | ||
티엔푸카인토 | 天符慶壽 | 천부경수 | 1127 | 1년 | |||
티엔투안 | 天順 | 천순 | 1127 | 1133 | 6년 | 턴똥(神宗:신종) | |
티엔쯔엉바오뜨 | 天彰寶嗣 | 천창보사 | 1133 | 1138 | 5년 | ||
티에우민 | 紹明 | 소명 | 1138 | 1140 | 2년 | 아인똥(英宗:영종) | |
다이딘 | 大定 | 대정 | 1140 | 1163 | 23년 | ||
찐롱바오응 | 政龍寶應 | 정용보응 | 1163 | 1174 | 11년 | ||
티엔깜찌바오 | 天感至寶 | 천감지보 | 1174 | 1176 | 2년 | ||
찐푸 | 貞符 | 정부 | 1176 | 1186 | 10년 | 까오똥(高宗:고종) | |
티엔뜨자투이 | 天資嘉瑞 | 천자가서 | 1186 | 1202 | 16년 | ||
티엔자바오흐우 | 天嘉寶祐 | 천가보우 | 1202 | 1205 | 3년 | ||
찌빈롱응 | 治平龍應 | 치평용응 | 1205 | 1211 | 6년 | ||
끼엔자 | 建嘉 | 건가 | 1211 | 1224 | 13년 | 후에똥(惠宗:혜종) | |
티엔쯔엉흐우다오 | 天彰有道 | 천창우도 | 1224 | 1225 | 1년 | 찌에우호앙(昭皇:소황) | 후에똥의 차녀. 베트남 유일의 여제. [4] |
4 쩐 조
진조(陳朝). 수도는 탕롱(昇龍; 지금의 하노이). 몽골의 원정을 성공적으로 막아내 독립을 지켰다.
연호 | 한자 | 음 | 시작 | 종료 | 기간 | 군주 | 비고 |
끼엔쭝 | 建中 | 건중 | 1225 | 1232 | 7년 | 타이똥(太宗) | |
티엔응찐빈 | 天應政平 | 천응정평 | 1232 | 1251 | 19년 | ||
응우옌퐁 | 元豐 | 원풍 | 1251 | 1258 | 7년 | ||
티에우롱 | 紹隆 | 소륭 | 1258 | 1272 | 14년 | 타인똥(聖宗) | |
바오푸 | 寶符 | 보부 | 1273 | 1279 | 6년 | ||
찌에우바오 | 紹寶 | 소보 | 1279 | 1285 | 6년 | 년똥(仁宗) | |
쭝흥 | 重興 | 중흥 | 1285 | 1293 | 8년 | ||
흥롱 | 興隆 | 흥륭 | 1293 | 1314 | 19년 | 아인똥(英宗) | |
다이카인 | 大慶 | 대경 | 1314 | 1324 | 10년 | 민똥(明宗) | |
카이타이 | 開泰 | 개태 | 1324 | 1329 | 5년 | ||
카이흐우 | 開佑 | 개우 | 1329 | 1341 | 12년 | 히엔똥(憲宗) | |
티에우퐁 | 紹豐 | 소풍 | 1341 | 1358 | 17년 | 주똥(裕宗) | |
다이찌 | 大治 | 대치 | 1358 | 1369 | 11년 | ||
다이딘 | 大定 | 대정 | 1369 | 1370 | 1년 | 폐제(廢帝) | [5] |
티에우카인 | 紹慶 | 소경 | 1370 | 1373 | 3년 | 응에똥(藝宗) | |
롱카인 | 隆慶 | 융경 | 1373 | 1377 | 4년 | 주에똥(睿宗) | |
쓰엉푸 | 昌符 | 창부 | 1377 | 1388 | 11년 | 폐제(廢帝) | [6] |
꾸앙타이 | 光泰 | 광태 | 1388 | 1398 | 10년 | 투언똥(順宗) | [7] |
끼엔떤 | 建新 | 건신 | 1398 | 1400 | 2년 | 티에우 제(少帝) |
5 호 조
호조(胡朝), 수도는 타인호아(淸化). 정권 교체의 혼란을 틈타 명 영락제가 침입, 7년만에 멸망했다. 이후 쩐 씨의 후예인 잔딘 제가 이끄는 반명 독립 운동이 일어나지만 베트남은 약 20년간 명의 직접 지배를 받게 된다.
연호 | 한자 | 음 | 기간 | 비고 | |
시작 | 종료 | ||||
타인응우옌 | 聖元 | 성원 | 1400 | 호 꾸이리(胡季犛) | |
티에우타인 | 紹成 | 소성 | 1401 | 1402 | |
카이다이 | 開大 | 개대 | 1403 | 1407 | 호 한트엉(胡漢蒼) |
6 후 쩐 조
연호 | 한자 | 음 | 기간 | 비고 | |
시작 | 종료 | ||||
흥카인 | 興慶 | 흥경 | 1407 | 1409 | 잔딘 제 쩐 응오이(簡定帝陳頠) |
쭝꾸앙 | 重光 | 중광 | 1409 | 1414 | 쭝꾸앙 제 쩐 꾸이코앙(重光帝陳季擴) |
명(明)에 정복되어 후 레 조(後黎朝)가 성립하기 전까지 명의 지배를 받음. | |||||
티엔카인(*) | 天慶(*) | 천경 | 1426 | 1428 | 쩐 까오(陳暠)[8] |
7 후 레 조
후여조(後黎朝). 국호는 다이비엣(大越), 수도는 하노이. 후기 레 조는 황제는 명목상일 뿐이고 북의 찐 씨(鄭氏), 남의 응우옌 씨(阮氏)의 두 권신 가문이 나라를 양분해 사실상의 지배자로 군림하는 상황을 맞이한다. 찐 씨의 수도는 하노이, 응우옌 씨의 수도는 사이공(지금의 호찌민).
연호 | 한자 | 음 | 기간 | 비고 | |
시작 | 종료 | ||||
투언티엔 | 順天 | 순천 | 1428 | 1434 | 타이또(太祖) |
티에우빈 | 紹平 | 소평 | 1434 | 1440 | 타이똥(太宗) |
다이바오 | 大寶 | 대보 | 1440 | 1443 | |
다이호아 | 大和 | 대화 | 1443 | 1454 | 년똥(仁宗) |
지엔닌 | 延寧 | 연녕 | 1454 | 1459 | |
티엔흥 | 天興 | 천흥 | 1459 | 1460 | (묘호 없음) 폐제(廢帝) 레 응이전(黎宜民) |
꾸앙투언 | 光順 | 광순 | 1460 | 1470 | 타인똥(聖宗) |
홍득 | 洪徳 | 홍덕 | 1470 | 1498 | |
까인통 | 景統 | 경통 | 1498 | 1504 | 히엔똥(憲宗) |
타이찐 | 泰貞 | 태정 | 1504 | 뚝똥(肅宗) | |
도안카인 | 端慶 | 서경 | 1505 | 1509 | (묘호 없음) 우이묵 제(威穆帝) |
홍투언 | 洪順 | 홍순 | 1509 | 1516 | (묘호 없음) 뜨엉즉 제(襄翼帝) |
꾸앙티에우 | 光紹 | 광소 | 1516 | 1522 | 찌에우똥(昭宗) |
통응우옌 | 統元 | 통원 | 1522 | 1527 | (묘호 없음) 꿍호앙(恭皇) |
꿍호앙이 장군 막 당중에게 양위하고 퇴위, 찌에우똥의 다른 아들이 막 조에 대항한 반군을 일으켜 베트남 남부를 차지하고 짱똥으로 즉위할 때까지 약 6년간 레 조는 일시적으로 멸망. 이때까지를 전기, 이후를 후기 레 조로 구분한다. | |||||
응우옌호아 | 元和 | 원화 | 1533 | 1548 | 짱똥(莊宗) |
투언빈 | 順平 | 순평 | 1549 | 1556 | 쭝똥(中宗) |
티엔흐우 | 天祐 | 천우 | 1557 | 아인똥(英宗) | |
찐찌 | 正治 | 정치 | 1558 | 1571 | |
홍푹 | 洪福 | 홍복 | 1572 | ||
자타이 | 嘉泰 | 가태 | 1573 | 1577 | 테똥(世宗)[9] |
꾸앙흥 | 光興 | 광흥 | 1578 | 1599 | |
턴득 | 愼德 | 신덕 | 1600 | 낀똥(敬宗) | |
호앙딘 | 弘定 | 홍정 | 1600 | 1618 | |
빈토 | 永祚 | 영조 | 1619 | 1629 | 턴똥(神宗) |
득롱 | 徳隆 | 덕륭 | 1629 | 1635 | |
즈엉호아 | 陽和 | 양화 | 1635 | 1643 | |
푹타이 | 福泰 | 복태 | 1643 | 1649 | 쩐똥(眞宗) |
카인득 | 慶徳 | 경덕 | 1649 | 1653 | 턴똥(神宗) |
틴득 | 盛徳 | 성덕 | 1653 | 1658 | |
빈토 | 永壽 | 영수 | 1658 | 1662 | |
반카인 | 萬慶 | 만경 | 1662 | ||
까인찌 | 景治 | 경치 | 1663 | 1672 | 후연똥(玄宗) |
즈엉득 | 陽徳 | 양덕 | 1672 | 1674 | 자똥(嘉宗) |
득응우옌 | 徳元 | 덕원 | 1674 | 1676 | |
빈찌 | 永治 | 영치 | 1676 | 1680 | 히똥(熙宗) |
찐호아 | 正和 | 정화 | 1680 | 1705 | |
빈찐 | 永盛 | 영성 | 1705 | 1720 | 주똥(裕宗) |
바오타이 | 保泰 | 보태 | 1720 | 1729 | |
빈카인 | 永慶 | 영경 | 1729 | 1732 | (묘호 없음) 폐제(廢帝) 레 주이프엉(黎維祊) |
롱득 | 龍徳 | 용덕 | 1732 | 1735 | 투언똥(純宗) |
빈흐우 | 永祐 | 영우 | 1735 | 1740 | 이똥(懿宗) |
까인흥 | 景興 | 경흥 | 1740 | 1786 | 히엔똥(顯宗) |
찌에우텅 | 昭統 | 소통 | 1787 | 1789 | (묘호 없음) 먼데(愍帝) |
8 막 조
막조(莫朝). 후 레 조의 권신이자 장군 막 당중이 즉위한 이후 멸망까지 약 60년간 베트남 북부를 지배한 왕조. 타이똥 사후 곧 후 레 조의 짱똥이 즉위하면서 남부를 빼았겨 지방정권으로 전락했고, 레 짱똥에 의해 1593년 멸망했다.
연호 | 한자 | 음 | 기간 | 비고 | |
시작 | 종료 | ||||
밍득 | 明徳 | 명덕 | 1527 | 1529 | 타이또(太祖) 막 당중(莫登庸) |
다이찐 | 大正 | 대정 | 1530 | 1540 | 타이똥(太宗) 막 당조아인(莫登瀛) |
꾸앙호아 | 廣和 | 광화 | 1541 | 1546 | 히엔똥(憲宗) 막 푹하이(莫福海) |
빈딘 | 永定 | 영정 | 1547 | 투옌똥(宣宗) 막 푹응우옌(莫福源) | |
까인릭 | 景暦 | 경력 | 1548 | 1553 | |
꾸앙바오 | 光寶 | 광보 | 1554 | 1561 | |
투안푹 | 淳福 | 순복 | 1562 | 1566 | 아인또(英祖) 막 머우헙(莫茂洽) |
숭캉 | 崇康 | 숭강 | 1566 | 1578 | |
지엔타인 | 延成 | 연성 | 1578 | 1585 | |
도안타이 | 端泰 | 단태 | 1586 | 1587 | |
흥찌 | 興治 | 흥치 | 1588 | 1590 | |
헝닌 | 洪寧 | 홍녕 | 1591 | 1592 | |
부안 | 武安 | 무안 | 1592 | 1593 | (묘호 없음) 부안 제(武安帝) 막 또안(莫全)[10] |
후 레 조의 정벌로 사실상 멸망. 중국의 비호로 북부의 까오방 주변만을 지배하는 괴뢰 정권화. | |||||
바오딘(*) | 寶定(*) | 보정 | 1592 | 1593 | 먼똥(閔宗) 막 낀치(莫敬止) |
캉흐우(*) | 康佑(*) | 강우 | 1593 | ||
깐통(*) | 乾統(*) | 건통 | 1593 | 1594 | 다이똥(代宗) 막 낀꿍(莫敬恭) |
롱타이(*) | 隆泰(*) | 융태 | 1595 | 1628 | 꾸앙또(光祖) 막 낀코안(莫敬寬) |
투언득(*) | 順德(*) | 순덕 | 1629 | 1677 | 면똥(明宗) 막 낀부(莫敬宇)[11] |
9 떠이썬 조
서산조(西山朝). 후 레 왕조 후기 권신 가문인 찐 씨와 응우옌씨가 사실상 나라를 둘로 나누어 각각 북부와 남부의 왕 노릇을 하던 도중 응우옌 씨의 학정을 견디다 못해 일어난 민중 봉기 세력 떠이썬 당(西山黨)의 지도자들이 (같은 응우옌씨지만 권신 가문과는 아무런 혈연 관계가 없다. 애초에 베트남에서 응우옌 씨는 우리나라의 김 씨 만큼이나 흔한 성씨.) 잠시 왕 노릇을 할 때 사용하던 연호. 떠이썬 조는 곧 돌아온 응우옌 씨에 의해 멸망하고 베트남 최후의 왕조인 응우옌 조가 들어선다.
연호 | 한자 | 음 | 기간 | 비고 | |
시작 | 종료 | ||||
타이득 | 泰德 | 태덕 | 1778 | 1788 | 타이득 제 (응우옌 냑; 阮岳) |
꾸앙쭝 | 光中 | 광중 | 1788 | 1792 | 꾸앙쯩 제 (응우옌 후에; 阮惠) |
까인틴 | 景盛 | 경성 | 1793 | 1801 | 까인틴 제 (응우옌 꾸앙또안; 阮光纘) |
바오흥 | 寶興 | 보흥 | 1801 | 1802 |
10 응우옌 조
완조(阮朝). 후 레 조 시기 베트남 남부를 실질적으로 지배하던 응우옌 가문이 일시적으로 떠이썬 봉기에 의해 와해되었다 재건되는 과정에서 후 레 조를 멸망시키고 베트남의 통일 정권으로 등장. 수도는 베트남 중부의 후에(化). 시조는 자롱 제 응우옌 푹아인(阮福映).
연호 | 한자 | 음 | 시작 | 종료 | 기간 | 군주 | 비고 |
자롱 | 嘉隆 | 가륭 | 1802 | 1819 | 17년 | 테또 자롱 제 (世祖嘉隆帝:세조가륭제) | [12] |
민망 | 明命 | 명명 | 1820 | 1840 | 20년 | 타인또 민망 제 (聖祖明命帝:성조명명제) | |
티에우찌 | 紹治 | 소치 | 1841 | 1847 | 6년 | 히엔또 티에우찌 제 (憲祖紹治帝:혜종소치제) | |
뜨득 | 嗣徳 | 사덕 | 1848 | 1883 | 35년 | 즉똥 뜨득 제 (翼宗嗣徳帝:익종사덕제) | |
1883년 뜨득 제의 붕어 이후 죽득(育徳)과 히엡호아(協和)[13]가 차례로 즉위했지만 내분으로 인해 곧 퇴위당한 후 살해당하고, 실권없는 왕자가 옹립되어 끼엔푹 제로 즉위한다. 프랑스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베트남의 영토를 삼분하여 직접 지배하에 넣고, 응우옌 왕조는 명목상 프랑스의 보호국으로 남지만 이후 베트남은 급격한 식민지화를 겪는다. 이후 즉위하는 황제들은 실권 없이 프랑스가 내세운 얼굴마담 역할을 했을 뿐이며, 반불 독립 운동에 연루되는 경우 강제로 퇴위되는 경우도 빈번했다. 이 경우 연호의 개정에 유년칭원법이 아닌 즉위년칭원법이 사용되며, 퇴위 당한 후 1945년 군주제 폐지까지 살아남아 묘호가 없는 황제도 있다. | |||||||
끼엔푹 | 建福 | 건복 | 1884 | 1년 | 잔똥 끼엔푹 제 (簡宗建福帝:간종건복제) | ||
함응이 | 咸宜 | 함의 | 1885 | 1년 | 함응이 제 (咸宜帝:함의제) | 묘호 없음[14] | |
동카인 | 同慶 | 동경 | 1885 | 1888 | 3년 | 까인똥 동카인 제 (景宗同慶帝:경종동경제) | |
타인타이 | 成泰 | 성태 | 1889 | 1907 | 18년 | 타인타이 제 (成泰帝:성태제) | 묘호 없음[15] |
주이떤 | 維新 | 유신 | 1907 | 1916 | 9년 | 주이떤 제 (維新帝:유신제) | 묘호 없음[16] |
카이딘 | 啓定 | 계정 | 1916 | 1925 | 9년 | 호앙똥 카이딘 제 (弘宗啓定帝:홍종계정제) | |
바오다이 | 保大 | 보대 | 1926 | 1945 | 19년 | 바오다이 제 (保大帝:보대제) | 묘호 없음[17] |
- ↑ 휘는 레 호안(黎桓). 대행(大行)이란, 사망하고 아직 묘호와 시호를 올리지 않은 전임 군주를 높여 부르는 말이다. 다이하인이 죽고 즉위한 쭝똥이 사흘만에 암살되고 응오아찌에우가 즉위했으나 국사는 내팽개치고 주색에 빠져 지내다가 곧 왕조가 멸망했기 때문에, 영영 묘·시호를 받지 못해 통칭 대행제, 즉 다이하인 제라 불리게 되었다. 안습.
- ↑ 휘는 레 롱비엣(黎龍鉞). 1007년 즉위 3일만에 동생인 롱딘에게 암살. 롱딘이 즉위하여 응오아찌에우 제가 됨.
- ↑ 휘는 레 롱딘(黎龍鋌). 치질이 심해 오래 앉아있지 못했다고 한다. 때문에 옆으로 누워 조회를 보았다고 해서 통칭 와조제(臥朝帝), 베트남 어로 응오아찌에우 제. 형을 죽이고 왕위에 올라 국사는 내팽개치고 주색에 빠져 지냈으며, 결국 장군 리 꽁우언(李公蘊)이 반란을 일으켜 리 타이또로 즉위하면서 전 레 조는 멸망한다.
- ↑ 쩐투도의 계략으로 부황에게 양위받아 7세에 즉위했다. 1225년 쩐투도의 조카 쩐까인(쩐 조의 타이똥)과 혼인했고, 남편에게 선양하는 방식으로 리 조는 멸망했다. 그 후 1237년 타이똥의 자식을 낳지 못했다는 이유로 이혼당했으며 1278년 60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 ↑ 휘는 즈엉 녓레(楊日禮). 민똥의 손자로, 서자(庶子)였기에 쩐 씨가 아니었고 계승권도 없었으나 주똥이 아들이 없자 양자로 삼아 주똥 사후 즉위했다. 하지만 즉위 직후 자신의 이름을 원래대로 바꾸고 종실을 무시하는 행동을 일삼자 종친들의 쿠데타로 실각하고 작은 아버지가 즉위(응에똥), 곧 암살당했다.
- ↑ 휘는 쩐 히엔(陳晛). 외척인 권신 호 꾸이리를 모살하려 했으나 실패, 오히려 자신이 폐서인 된 후 암살당함. 그리고 호 꾸이리는 곧 쩐 조를 멸하고 스스로 황위에 오른다.
- ↑ 순종이라는 묘호가 모든 걸 말해주지만(...) 10살에 즉위, 호 꾸이리의 꼭두각시 역할을 하다가 성년이 되자 곧 암살당했다. 사실상 쩐 조 마지막 황제.
- ↑ 반명 봉기 세력에 의해 옹립된 군주로, 출신도 알 수 없고 정말 쩐 씨인지도 확실하지 않다. 1428년 반군 내부의 분열로 인해 암살당했다.
- ↑ 1592년 막 조를 정벌하고 베트남을 다시 통일.
- ↑ 레 테또의 정벌로 멸망. 일부 잔존 세력이 명나라에 망명해 국경 지방에 망명 정권을 세웠으나 이도 1677년 자연 소멸.
- ↑ 만 2세의 나이로 즉위. 사후 막 정권 소멸. 이설에 의하면 한 사람이 아니고 두 사람의 재위기간이 구분되지 않고 기록되었다는 설도 있음.
- ↑ 연호인 자롱은 응우옌 씨의 수도인 자딘(嘉定; 지금의 호찌민)과 찐 씨의 수도 탕롱(昇隆; 지금의 하노이, 원래 한자는 昇龍이지만 월남어로 발음이 같으므로 후대로 오면서 두 표기가 혼용되었다.)를 통일했다는 의미.
- ↑ 죽득 제는 연호를 정할 새도 없이 즉위 3일만에 폐위당했고, 히엡호아가 즉위하여 1884년은 히엡호아 원년이 될 예정이었으나 히엡호아가 그해를 못 넘기고 10월 폐위당한 후 곧 살해되었다. 그 뒤를 이은 이가 끼엔푹 제.
- ↑ 반불 독립 운동을 주도하다가 강제로 퇴위당한 후 알제리(…)로 유배 됨. 1943년 사망.
- ↑ 아들인 두이떤 제와 함께 반불 독립 운동을 주도한 죄로 강제로 퇴위당해 아프리카 레위니옹 섬(…)에 유배. 이차대전 종전 후 귀국했으나 군주제는 이미 폐지된 후였고, 귀국 직후 사망.
- ↑ 베트남 광복회와 내통, 반불 독립 운동을 주도해 아버지 타인타이 제와 함께 유배. 1944년 자유 프랑스 운동에 호응해 이차대전에 참전. 종전 후 베트남으로 귀국 도중 비행기 사고로 사망.
- ↑ 이차대전 종전 후 8월 혁명이 발생해 왕정이 끝남. 프랑스로 망명해 그곳에서 1997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