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

동음이의어·다의어/ㅅ

1 事大

동아시아 문명에서, 작고 약한 나라가 크고 강한 나라를 섬기는 조공 관계로 맺어진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국제 질서 속에서 확립된 주변국의 기본 외교 정책. 이 외교 정책이 극대화 되었던 시기는 14세기 말 ~ 17세기 초의 왕조이다.

여기에서 유래한 사대주의가 있다. 사대 정책의 평가에 대해서는 "사대주의" 항목을 참고하고, 이 항목에서는 사대 정책에 대해서만 약술한다.

1.1 어원

<맹자>의 양혜왕하(梁惠王下)에서 다음과 같은 글귀가 나온다.

 齊宣王問曰:交鄰國,有道乎
제선왕이 묻기를, "이웃나라와 사귀는 데 길이 있는가?

孟子對曰:有。惟仁者為能以大事小。是故,湯事葛,文王事昆夷。惟智者為能以小事大。故大王事獯鬻,句踐事吳。以大事小者,樂天者也。以小事大者,畏天者也。樂天者保天下,畏天者保其國。《詩》云:『畏天之威,于時保之。』
맹자가 답하기를: "있습니다. 오로지 어진 이만이 대국으로서 소국을 섬길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탕은 갈나라를 섬기고, 문왕이 곤이를 섬겼던 것입니다. 슬기로운 이만이 소국으로서 대국을 섬길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태왕은 훈육을 섬기고, 구천이 오나라를 섬긴 것입니다. 대국으로서 소국을 섬기는 자는, 하늘을 즐기는 자요, 소국으로서 대국을 섬기는 자는, 하늘을 두려워하는 자니, 하늘을 즐기는 자는 천하를 보존하고, 하늘을 두려워하는 자는 자신의 나라를 보존하는 것입니다. 시경에서 가로되, '하늘을 두려워하여, 이로서 자국을 지키는도다'라 하였습니다."

대국이 소국을 대하는 것은 (仁)적인 도리로서 이해되는 반면에 소국이 대국을 섬기는 것은 지혜에 기반한 현실정치(Realpolitik)으로 이해된다는 얘기다. 즉, 자신보다 작은 나라에게는 대인배스러움을 베풀어 국제질서(천하)를 유지하고, 자신보다 크고 아름다운 국가에게는 외교적 지혜를 발휘해 스스로의 안보를 추구하라는 것.

사대교린(事大交隣, 큰 나라를 섬기고 이웃나라와 교류함)은 조선의 기본 외교전략이기도 하였다.

1.2 형식

중국 황제인 천자는 하늘의 명에 의해 중국뿐이 아니라 천하(세계 전체)를 다스리는, 문자 그대로 "하늘[天]의 아들[子]"이다. 그러므로 외국의 군주는 천자와 동등한 위치에서 외교를 할 수 없고, 그 신하라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고, 천자는 그의 지위를 인정해준다. 그리하여 중국의 관점에서는 천하의 모든 나라는 천자의 신하가 다스리는 나라이며, 중국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는 모두 번국이나 속국의 형식으로만 인정이 되었고, 그것을 거부하는 나라는 아예 상종을 못할 오랑캐로 여긴 것이다.

전근대 사회에서 문화-경제면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압도적이었기 때문에[1]우리 조상들은 중국과 관계를 맺기 위해서 형식상 사대의 예를 취했다. 즉 이것은 외교와 국제교류의 형식이었다. 중앙아시아에서는 무적이었던 티무르 제국조차 명나라에 조공을 바치고 신하를 자처했는데, 그렇다고 해서 티무르 제국이 명나라의 신하국이었다는 이야기는 성립하지 않는다.

일단 중국의 경우, 사대관계에서 얻는 이익은 대체로 정신적이고 사상적인 측면이 강했다. 종주국으로서의 위엄을 과시하기 위해서 천자는 신하를 자처하는 소국들에게 보답하는 사여품을 내려야 했다. 이 사여품은 종주국의 위엄을 위해 조공품보다 더 많이 내리는 것이 원칙이고 이 비율은 양국의 힘의 균형관계에 따라 유동적으로 달라졌다. 사대관계는 단순한 상하관계가 아닌 패권국가와 동맹 관계를 유지하고, 선진국과 문화 기술교류를 하는 복잡한 정치외교 관계였다.

쌍방 어느 한쪽이 일방적으로만 이득이나 손해를 보는 협의관계는 성립할 수 없는 법이다. 중국 역시 주변국들을 신하국으로 삼으면서, 국내적으로 왕조의 정당성을 확인시킬 수 있었다.[2] 뿐만 아니라 중국 입장에서 사방에 조공국을 확보하는 것은 국방전략상의 이득을 가져다주었다. 조공국을 자국을 지켜주는 울타리로 삼는다는 것이다.[3] 즉, 조공체제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라 쌍방 모두가 나름대로의 이익을 얻는 관계였던 셈. 이는 지금까지도 중국의 주변국 외교전략의 축인 내정불간섭주의로 이어지고 있다.

중국과 조공-책봉관계를 체결한 여타 '번국'과 마찬가지로 한반도 국가 역시 어디까지나 형식상으로만 중국의 신하였을 뿐이고, "사대에 반한다"는 명분으로 위화도 회군을 한 조선 태조 이성계조차도 개국 초창기 명나라와의 관계가 악화되자 요동 정벌을 염두에 두었던데다, 원 간섭기 이후 폐지되었던 황제국의 제도인 묘호를 다시 도입하기도 했다.

대륙에서 떨어진 섬나라 일본 역시 다른 형태로 조공 체제에 편입되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일례로 한나라에 사신을 보내 한왜노국왕 이라는 옥새를 받아오기도 하였고, 나라 시대헤이안 시대에는 중국에 조공(견수사, 견당사[4])을 바치면서 명백하게 신하를 자처했다. 당시 일본인들은 낙후된 항해술 때문에 중국에 조공 사절을 자력으로 보낼수가 없자 신라의 도움을 청하기도 할 정도로 이런 사대에 적극적이었다. 또 무로마치 시대에 일본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츠명나라에 신칭하고 일본국왕에 봉해진 뒤 조공을 바친 사례도 있다.[5] 또 일본의 다이묘들 역시 중국과 조선에 신칭하고 무역을 위해 온갖 아양을 떤 사례 역시 널려 있다. 다만 일본은 이후 센고쿠 시대에 들어서면서 대외 외교에 신경쓸 처지가 못 되었고[6] 물론 , 에도 시대에는 쇄국정책을 펴서 중국과의 공식 외교관계를 맺으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대를 안한 것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근대 이후에는 사대의 대상이 미국으로 바뀌었다고 보기도 한다. 일본인 스스로도 총리가 취임하면 제일 먼저 미국을 방문하는 것을 "참근교대"[7]라고 일컬을 정도인데.. 우리나라도 대통령 되면 미국 대통령한테 인사하러 가는 편이다...

1.3 조선의 사례

위에서 상술했다 싶이 사대관계는 단순한 상하관계가 아니기 때문에 시대상황에 따라 여러면모를 보여줬고 대부분의 시기에서는 결국 쌍방에 이익이 나는 쪽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사대관계에서 나오는 이득은 조선에 유리하고 명에 불리학 적도 있었으며 조선의 실록이나 명사 조전전명사 조선전에서 알 수 있듯이 명나라의 경우 적당한 핑계를 대며 3년의 1번으로 줄이거나 횟수자체를 줄이라고 요구했고 조선 측에서는 오히려 1년에 4번으로 늘리자고 적극적으로 나섰다. 명나라가 조공의 횟수를 줄이자고 한 배경에는 사여품이 부담이 되었거나 혹은 관무역에 의한 시장질서 교란을 우려해서라고 여겨진다.

조선시대 중국 명나라 사신에 의한 수탈이 있었던 시기는 조선 초기와 광해군 시기였다. 조선 초기에는 외교관계가 잘 정립되어 있지 않아서 사신들이 조선에 각종 '선물'을 요구하였다. 이에 세종이 분노한 적도 있었다. 세종 중기부터 명나라 황제의 명에 따라 사신의 수탈이 없어지고,[8] 외교가 정상적으로 성립되었다.

이후 광해군 시기에 임란에 의한 이른바 재조지은에 의해서 조선이 외교적으로 명에게 밀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한명기 교수가 쓴 '광해군' 에 따르면 중국 사신들의 횡포와 수탈에 광해군과 조선 조정이 괴로워 하는 모습들이 잘 나타나 있다.

명나라 사신들의 은 징세는 광해군대에 들어와 절정에 달했다. 그 액수는 거의 10만냥에 달하는 엄청난 것이었다. 앞서 임해군이 왕위를 양보했다는 사실을 조사하고 광해군의 국왕 자격을 심사하겠다고 왔던 엄일괴와 만애민이 수만 냥의 은을 챙겨갔다고 이야기가 전해지자, 이후 조선은 명나라 사신들에게 '봉'이 되었다. 명나라 환관들 사이에는 '조선에 가서 한 밑천 잡자'라는 풍조가 생겨났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조선왕조실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1 2 3

2 師大

사범대학의 약칭.

3 射臺

국궁, 양궁, 사격 등에서, 이나 을 쏘기 위하여 디디고 서는 자리.
  1. 예를 들어, 고대에 중국세력(낙랑군)이 들어왔던 평양지역과 다른 지역을 비교해 보면, 당시 한반도와 주변지역은 초가나 너와 지붕을 얹은 움집이나 귀틀집(통나무를 井자 모양으로 쌓아 만든 오두막), 혹은 고상식 가옥(원두막에 문과 벽을 단 모습이다.)에 살았고 심지어 마한의 경우 토실(땅굴을 파고 출입구 쪽에만 움집을 지어 비바람을 막은 집)생활을 하고 있었지만 평양 지역은 번듯한 기와집을 짓고 살고 있었다. (..)
  2. 한 왕조가 기본적으로 수백 년씩 유지됐던 한반도에 비해, 중국에서는 왕조 교체, 즉 쿠데타가 빈번하게 일어났다. 이런 상황에서 왕조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정당성의 확보가 필수적이었다.
  3. 이는 중국이 조공국을 번속이라고 부른 데서 알 수 있다. 그런데 재밌는 것은 이렇게 조공 질서에 편입되는 것이 중국뿐 아니라 조공국 왕조에게도 도움이 되었다는 점이다. 무슨 말이냐 하면, 조공국의 왕은 중국으로부터 정식으로 책봉을 받은 왕이기 때문이다. 즉, 조공국의 왕위를 찬탈하는 것은 중국 황제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되어 왕위 찬탈자는 중국 군사력의 위엄을 맛보게 되는 것이다. 이것의 유명한 사례로는 임진왜란 당시 명이 조선에 원군을 보낸 것을 들 수 있다(이것은 조선 정부 외교의 성공이기도 했다).
  4. 견수사 시절의 유례 없는 삽질을 일본은 자랑거리처럼 알지만...
  5. 이를 전문용어로 감합무역이라고 한다.
  6. 그 와중에 임진왜란 당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강화할때 명 사신에 책봉사를 받은 적도 있다.실록의 기사 물론 이는 심유경과 고니시의 농간으로 나중에 단순히 책봉만 하고 히데요시의 요구는 일체 무시 되었다는 것을 알고 정유재란이 발발한다.
  7. 산킨고타이, 参勤交代- 에도 시대 다이묘쇼군을 뵙기 위해 에도에 정기적으로 오는 것
  8. 황제의 명 이외의 사신들의 사사로운 요구를 들어주지 말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