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명고등학교

해당 문서 편집 시 유의 사항

이 문서는 학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만들어진 문서로, 절대 교내 학생들 만을 위한 문서가 아닙니다. 문서를 편집할 때에는 교내 학생들 사이에만 통하는 내용은 배제해야 하며, 또한 학교 자체와는 무관한 내용 또한 배제해야 합니다. 즉, 문서에 포함되는 내용은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내용만이 있어야 합니다. 이 사항을 준수하지 않는 것에 한하여 취소선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충청남도 공주시 고등학교
공주고등학교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공주마이스터고등학교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공주여자고등학교
공주정보고등학교금성여자고등학교영명고등학교충남과학고등학교한일고등학교
교명영명고등학교
개교1906년
유형일반계 고등학교
성별공학
운영형태사립
소재지충청남도 공주시 영명학당2길
홈페이지

1 개요

1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며 조병옥박사, 유관순열사 등의 인사가 거쳐간 유서깊은 고등학교. 기독교 감리교의 미션스쿨이다. 영명중학교와 함께 있다. 많은 이들이 잘못알고 있는 건데, 공주영명고등학교가 아닌 영명고등학교다. 공주시에서는 줄여서 영고영구라고 부르기도 한다.

같은 재단의 중학교인 영명중학교가 바로 옆에 있다. 자매품

2 역사

2.1 연혁

날짜내용
1906미 선교사 우리암 영명학교 설립
19081회 졸업생 배출(3명)
1912보통, 고등 양과 설치 인가
1932영명실수학교(남녀공학) 개편 인가
1942일제에 의한 강제 폐교
1949영명상업 중학교로 복교
1951영명중·고등학교로 개편
1960중학교 학급 증설 인가(9학급)
1970도내 최우수 사립학교 선정
1974전국 청소년 종합수련대회 최우수상 수상
1981고등학교 학급 증설 인가(24학급)
1989중학교 교사 증축
2000고등학교 교사 증축(신관)
2006개교 100주년 행사
2010영명학당 증축

2.2 역사

본교는 1906년 미 선교사 윌리엄[1] 선교사가 개교한 학교이다. 1908년 졸업생 3명을 최초로 배출한 뒤로, 유관순 열사가 잠시 재학하고 조병옥 박사가 졸업하는 등 인재를 배출하였다. 또한, 1919년 4월 1일, 공주 읍내 독립 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하지만, 일본이 태평양 전쟁에 앞서 윌리엄 선교사를 포함한 미국인을 전부 추방하고 적국인이 세운 학교라는 이유를 앞세워 강제 폐교시켰다.

광복 후, 제 1기 졸업생인 황인식 교장에 의해 1949년 12월 1일 재설립되었다.

3 상징

교목 : 은행나무 학교 목사==[2].

교조 : 독수리

교화 : 진달래: 일제에 의해 강제 폐교당하고 복교된 학교의 강한 생명력을 상징한다고 함.

4 특징

기본적으로 미션스쿨이기 때문에 채플 수업이 있다. 매주 수요일마다 실시한다.

4.1 교육목표

가. 기독교 사랑을 실천하는 도덕인 육성.
나.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민주시민 육성.
다. 수준 높은 학력을 지닌 지식인 육성.
라. 튼튼한 체력과 정서를 갖춘 건강인 육성.

4.2 남녀 공학인데 남초 학교

어째서인지 남녀공학임에도 여학생 수가 극단적으로 적다. 한 학년당 약 160~170명 정도인데 여학생 수는 약 10명정도가 일반적이다. 그나마도 과거에는 전교생 250~260명 정도에 여학생 수가 약 30명정도였는데, 그 대부분이 장학생인 경우가 많아서 평반에는 여학생이 아예 없는 경우도 자주 있었다.

그래서 우스게 소리로 공대 예비체험이라고 자조섞인 말을 하기도 한다.

5 교통

공주 시내 한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으나, 산 중턱에 있어 의외로 접근성은 떨어진다. 여학생들이 통학하면 얻는 것은 무다리라고... 그러니 모두 함께 기숙사 생활하세 특히 겨울에 오르막길에 얼음이 얼면 상당히 위험하다. 하지만 시내 어디에서든 영명고등학교로 통하는 길이 있어 가고자 마음만 먹는다면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일단 시내로만 나가면 된다. 근데 시내보다 신관동 쪽이 교통면에서 좋은건 함정

참고로 과거 25번(현재의 공주 버스 125)의 지선인 25-1번이 구 국립공주박물관 도로를 경유했었다. 현재는 국고개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다시 고지(...)를 타야한다... 당연하지만 현재의 구 박물관 앞을 경유하는 노선은 전혀 없다. 이유는 일단 왕복 2차선으로 차선도 적고 그나마 있는 차선도 상당히 좁다. 무엇보다 이렇다할 인프라가 있는 거리도 아니고 그저 주택들만 즐비하다보니 아무래도 다닐 이유가 없다. 안 그래도 적자인 공주 버스가 다닐 턱이 있나...

6 출신 인물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7 트리비아

  • 100주년 기념탑 근처에 조병옥 박사와 유관순 열사의 흉상이 나란히 있는데 조병옥 박사에게 과한 의혹이라고는 하나 친일 의혹이 있다는 걸 생각해보면....
  • 100주년 기념탑 이전에 구학교 건물이 있었으나 개보수하는데 드는 비용이 너무 많다보니 결국 철거하였다. 철거 당시 여러 유물이 나왔는데 학교에서 따로 보관하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유일한 구학교 건물 사진은 본관 교실에 걸려 있다고 한다.
  • 흉상의 위치가 묘하게 (유관순 열사를 포함한)다른 흉상들에 비해 윌리암 선교사를 더 치켜세우는 위치에 있어서 애매하다.
  • 2006년 100주년 기념행사를 실시하였다.
  1. 우리암은 한글화된 이름.
  2. 학교목사를 지칭하는 이름이 교목이다. 게다가 여기는 미션스쿨....즉 진짜 그 교목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