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

절대 얘기가 아니다!

1 五經의 하나인 禮記

유교 십삼경
삼경삼례삼전기타
시경서경역경주례의례예기춘추좌씨전춘추곡량전춘추공양전논어맹자이아효경

{{틀:문서 가져옴|title=십삼경|version=11}}

오경 중의 하나다. 오경 중의 하나인데 예경(禮經)이라 부르지 않는 이유는 예기(禮記)란 삼대(하, 은, 주)의 예법에 대한 기록 혹은 그에 대한 주석이기 때문이다. 이 예기가 구성된 학설은 학계에서 그 의견이 다수 갈리나 대략적으로 유추하자면 다음과 같다.

항상 극기복례(克己復禮) 즉 기존의 '주나라의 전통체계'로 돌아가는 것이 난세였던 춘추시대의 해결법이라 생각했던 공자(孔子)는 저서들을 술이부작(述而不作)하였다. 이에 춘추필법에 의하여 지은 춘추(春秋), 주나라와 그 이전 시대의 노래 등을 모은 모음집인 시경(詩經), 주나라와 그 이전 시대의 공문서 모음집인 상서(尙書)등이 서술되었다. 이는 훗날 사서삼경으로 발전되는데 이 중 삼대(三代)의 문물, 예법을 집대성 하여 체계화 시킬 필요성을 느낀 유가 지식인들이 이에 관련된 내용을 모으기 시작하여 이후 한(漢)나라 시기에 이르기 까지 집대성 된 총합이 지금의 예기를 이뤘다는 것이 학계의 통설이다.

현재 전하고 있는 예기는 대성(戴聖)에 의해 집대성 되었다고 전해지며, 별칭은 소대례(小戴禮)라고 한다. 예기의 별칭이 '소대례'인 이유는 숙부인 대덕(戴德)이 남긴 대대례(大戴禮)와 구분하기 위함이다. 소대례와 대대례의 성립에 대해서도 또 두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수서 경적지(經籍志)[1]에 의한 설로, 본래 한서 예문지(藝文志)에 언급된 '기(記) 141편'에서 대덕이 먼저 85편을 뽑아 '예기'를 만들었고, 조카인 대성은 대덕의 예기에서 다시 46편을 골라 '예기'를 만들었으며, 이 대성의 예기에 후한 말 마융(馬融)이 3편을 추가해 지금의 49편 '예기'가 나타났다는 설이다. 이 설에 따르면 대대례기와 소대례기는 본래 하나였다는 말이 된다. 또 다른 설은 정현(鄭玄)의 육예론(六藝論)에서 '기 141편'을 보고 두 사람이 서로 별도의 축약본으로써 썼다-는 설이다. 어쨌든, '예기'라는 책은 공자 사후, 유가의 지식인들이 '예'에 대한 기록이나 공자의 언설을 중심으로 모아온 수많은 기술들로 구성된 '자료집'이며, 그 가운데 '대성'이 찬술한 '예기'가 대표적인 지위를 차지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하여간, 이렇게 성립된 예기는 또 여러 주석이 남았는데 그 가운데에서 정현의 '예기 주'가 유명하다. 여기에 당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를 달아 '예기정의'를 유통시켰으며, 이것이 13경주소에 포함되면서, 오랜기간 예기의 정통적 해석으로 굳혀졌다. 그랬던 것이 원나라의 주자학자 진호(陳澔)가 주자학적 입장에서 주석을 달았는데 이것이 '예기집설'(禮記集說)이다.[2]

사서의 하나인 대학(大學), 중용(中庸)은 이 예기의 한 편이었다.

예기는 기본적으로 17편에 불과한 의례, 6편으로 구성된 주례에 비교해 49편으로 기본적인 양부터 방대하며, 주석의 양도 매우 방대한 양을 자랑한다. 때문에 경문만 다 읽는 것도 일이라고 평가하는 연구자들도 있다.(...)

예기의 내용은 의례의 해설, 음악, 정치, 학문 뿐만 아니라 예의 근본 정신까지 다방면에 걸쳐 서술되어 있어 고대인의 '예'에 관한 생각을 알 수 있음과 동시에 고대인의 생활상에 대해 다소나마 파악 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다.

우리나라에는 백제의 오경박사(五經博士) 등의 호칭이 삼국사기에 보이는 것으로 보아 이미 삼국시대에는 전래된 것으로 생각되며 일본에도 전파되었다 한다.

현재 예기의 번역본은 3가지가 존재하는데 하나는 故 이상옥 교수가 번역한 명문당판 예기이고, 다른 하나는 한학자 지재희가 번역한 자유문고판 예기이다. 전자는 1987년, 후자는 2000년 번역이며, 주석 없이 경문만 번역된 것이다. 이 외에 나머지 하나로 정병섭이 번역한 '예기집설대전'으로 학고방에서 지난 2009년부터 출간, 판매하고 있으며, 2016년 현재 30개 편(총 35권)이 출간되어 있으며[3] 계속 출간 준비중이라고 한다. 막대한 주석의 양 때문인지 1권에 1개의 편을 다룬다. 문제는 분량이 많은 경우, 그걸 또 1, 2로 나눈다는 것. 대표적으로 곡례의 경우 원문에서도 상, 하로 나뉘어 있는데 이걸 또 각각 2권, 1권으로 출간하였고, 단궁은 한술 더떠서 상, 하편을 각각 2권씩 냈다. 예외적으로 26편 경해와 27편 애공문을 1권에 담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특생, 옥조, 악기 등은 또 2권씩 출간했다!! 그러니까 현재 남아 있는 편수가 19편이니 단순 계산으로 19권이 더 나와야 하고, 여기에 분량이 많아진다면 19권 플러스 알파로 분량이 남아 있는 셈. ... ㅎㄷㄷ 이쯤되면 근성.

2 銳氣

예리한 기운, 칼붙이 따위가 날카로울때 예기가 있다고 쓰기도 한다. 주로 무협지에서 사용되는 용어.

3 預妓

관기로 지원해서 들어온 기생.
  1. 당시까지 출간된, 혹은 되었다고 전해지는 서지에 대한 목록집이다. 한서의 예문지와 같은 성격.
  2. 그리고 영락제 때, 영락제의 명을 받은 호광에 의해서 여기에 대한 소가 또 붙었는데 이것이 '예기집설대전'이다.
  3. 출판사의 문제인지 번역자의 의도인지는 모르겠으나 완벽히 순차적으로 출간된 것은 아니다. 그래도 현재 29편 중니한거를 제외하고는 31편까지 번역된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