々
유니코드 | U+3005 |
JIS X 0213 | 1-1-25 |
목차
1 개요
한자 문화권에서 쓰이는 반복 부호로, 앞 한자와 동일한 한자를 반복할 때 쓰는 글자이다. 이전에는 한자로 보았지만 현재는 한자로 보지 않고 부호로 본다.
반복 기호 자체는 본디 중국에서 사용된 것으로, 은나라 시절부터 기록이 등장한다. 한국에서도 비석이나 편지[1], 격문[2] 등에서 발견된다.
다만 々이라는 형태의 반복 부호는 일본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々 이 기호는 同(같을 동)의 다른 자형인 仝이 변형된 것. 일본의 영향으로 구한말-일제시대 활자 매체[3] 등에서 사용된 예가 있다. 또한 현대에 들어서까지 정서법에 해당 부호를 사용하는 나라는 오직 일본뿐으로 타국에서는 사라졌다. 일본 이외에서는 대만에서도 드물게 사용된다고 한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수립 이후에도 중국에서 간간히 쓰인 것으로 보인다. 이 중국 프로파간다용 영상에서 高高를 高々로 쓴 것이 확인된다.
일본에서는 오도리지(踊り字; おどりじ)의 하나라고 정의하며, 이 글자만 오도리지인 건 아니다(ゝ[4], ゞ[5], ヽ[6], ヾ[7], 〻 등이 존재한다). 이 글자는 のま(ノマ)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가타카나 ノ와 マ를 합친 글자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단지 생겨먹은 게 그렇다는 것일 뿐 이 글자가 진짜 가타카나라는 뜻은 아니니 주의.
PC 상에서 입력하고자 할 때는 세 가지 방법이 있다.
- 반복되는 단어를 발음 그대로 히라가나로 쓴 후 스페이스 바로 변환하면 자동으로 변환된다.
- おなじ의 변환 목록에 있다. 기본적으로는 同じ로 변환되므로 ↓ 키를 눌러 목록에서 골라야 한다.
- どう의 변환 목록에 있다. 역시 ↓ 키로 골라야 한다.
2 예시
주로 반복 표현에 많이 쓰인다.
- 意気揚々(いきようよう): 意気揚揚 (의기양양)
- 痛々しい(いたいたしい): 痛痛しい (딱하다, 불쌍하다, 애처롭다)
- 色々(いろいろ): 色色 (여러 가지, 다양한, 많은 종류)
- 国々(くにぐに): 国国 (여러 나라)
- 散々(さんざん): 散散 (몹시)
- 時々刻々(じじこっこく): 時時刻刻 (시시각각)
- 少々(しょうしょう): 少少 (조금, 약간)
- 正々堂々(せいせいどうどう): 正正堂堂 (정정당당)
- 赤裸々(せきらら): 赤裸裸 (적나라)
- 戦々恐々(せんせんきょうきょう): 戦戦恐恐 (전전긍긍)
- 図々しい(ずうずうしい): 図図しい (뻔뻔하다)
- 多々(たた): 多多 (많이)
- 次々(つぎつぎ): 次次 (차례차례)
- 津々浦々(つつうらうら): 津津浦浦 (방방곡곡)
- 時々(ときどき): 時時 (때때로, 가끔)
- 人々(ひとびと): 人人 (여러 사람들)[8]
- 日々(ひび): 日日 (나날들)
- 別々(べつべつ): 別別 (따로따로)
- 昔々(むかしむかし): 昔昔(옛날옛날에)
- 悠々自適(ゆうゆうじてき): 悠悠自適 (유유자적)
- 凛々しい(りりしい): 凛凛しい (늠름하다, 씩씩하다)
- 我々(われわれ): 我我 (우리)
- 様々(さまざま): 様様 (다양한)
- 星々( ほしぼし): 星星 (별들)
- 東方妖々夢(とうほうようようむ): 東方妖妖夢 (동방요요몽)
- 奇々怪界(ききかいかい): 奇奇怪界 (기기괴계)
- 虎視眈々(こしたんたん): 虎視眈眈 (호시탐탐)
- 威風堂々(いふうどうどう): 威風堂堂 (위풍당당)
- 瑞々しい(みずみずしい): 瑞瑞しい(윤이 나고 싱싱하다, 신선하고 생기가 있다)
다만 같은 한자가 두 번 연속될 때 무조건 々 기호를 쓰는 것은 아니고, 々 기호는 어디까지나 한 단어 내에서 같은 한자에 같은 독음(연탁, 촉음화 포함)을 가진 경우에 쓴다. ひび는 日々라고 쓰지만 ひにち는 日にち나 日日라고 쓰며[9], ひにち를 日々라고 쓸 수는 없다.
또한, 합성어에서 선행 형태소의 마지막 글자와 후행 형태소의 첫 글자가 같은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 々 기호를 안 쓰고 한자 그대로 쓰는 것이 옳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会社社長(O), 会社々長(X) - 会社와 社長로 분리되는 단어이므로 반복되는 社를 그대로 쓴다.
- 民主主義(O), 民主々義(X) - 民主와 主義로 분리되는 단어이므로 반복되는 主를 그대로 쓴다.
인명, 지명에도 많이 쓰인다.
- 代々木(요요기)
- 佐々木(사사키)
- 野々村 竜太郎(노노무라 류타로)
- 小野寺 菜々子(오노데라 나나코) - 니세코이[10]
- 姉ケ崎 寧々(아네가사키 네네) - 러브 플러스
- 安部 菜々(아베 나나) - 신데마스
- 白鬼院 凜々蝶(시라키인 리리치요) - 이누보쿠
- 須々木 マコ(스즈키 마코) - 역전재판 시리즈[11]
- 水樹 奈々(미즈키 나나) - 성우
- 阿良々木 暦(아라라기 코요미) - 이야기 시리즈
조금 오래된 책을 보면 個人々々 과 같이 반복되는 한자어를 통째로 々만으로 표기한 걸 볼 수도 있는데, 현재는 일반적인 용법이 아니다. 지금은 個人個人이라고 쓰는 게 보통. 어차피 こじんこじん을 통째로 한자변환을 해도 個人々々로는 안 나온다
유니코드에는 모양이 거의 똑같이 생긴 한자 𠚤(U+206A4)가 존재한다. 々과의 관계가 어떤지는 불분명하다.
3 서양의 디토 마크
위 예시에서 ditto나 do.라고 써 있는 부분이 바로 윗줄의 단어를 반복한다는 뜻이다.
라틴 문자를 쓰는 서양권에서는 없을 것 같지만 여기도 예전에는 같은 단어를 반복하기 귀찮을때 따옴표 비슷한 표시나 ditto라는 단어로 얼버무리는 경우가 많았었다.[12] 아예 반복 부호로 쓰는 따옴표 자체를 ditto mark라고도 했었다. Ditto라는 말 자체는 이탈리아어의 detto에서 온 말로 '(이미) 불렀다'라는 뜻이다. 단, 동양권과 달리 일반적인 글보다는 주로 표나 영수증 등에서 사용했다는 차이점이 있다.
현대 한국에서도 인쇄체가 아닌 일상적인 필기로는 간혹 같은 글씨를 쓰기 귀찮을 때 따옴표 비슷하게 디토 마크를 쓰거나 〻 비슷하게 표시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간혹 있다. 유니코드에는 〃 (U+3003, DITTO MARK) 문자가 존재한다.
GS 홈쇼핑에서 만든 사이트 이름도 여기서 유래했다. #
현재는 인쇄 문화가 컴퓨터 위주로 바뀌면서 없어진 관습이 되었다. 다만 현대에도 학술 자료 등을 반복해서 인용하기 귀찮을 때 각주 부분에 비슷한 표시를 하는 경우가 있다. Ibid 문서 참고.- ↑ 숙종의 한글 편지(네이버 제공)의 본문 오른쪽에서 5번째 줄을 보면 섭섭하옵셔도라고 쓰인 부분의 두번째 '섭'을 반복 기호(〻자와 비슷한 모양)로 표시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동학농민운동의 격문
- ↑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의 20세기 초 기사들을 찾다 보면 이따금 볼 수 있다. 다만 々 자체는 검색이 안 되는지라 다른 키워드 검색 중에만 발견할 수 있다.
- ↑ 히라가나용 오도리지. 사용 사례로는 후쿠자와 유키치의 저서 学問のすゝめ가 있다.
- ↑ ゝ에 탁점이 찍힌 형태. 일본의 자동차 기업 이스즈(いすゞ)가 이 문자를 쓴다.
- ↑ 가타카나용 오도리지.
- ↑ ヽ에 탁점이 찍힌 형태
- ↑ 人たち와의 차이점은 人々는 한 사람 한 사람이 모인 여러 사람들을 뜻하지만, 人たち는 여러 사람들이라는 뜻만 있다. 쉽게 말해 一人一人+人たち=人々의 느낌.
- ↑ 다만 실제로 ひにち를 日日라고 쓰면 잘못 읽을 수 있기 때문에 보통 日にち라고 쓴다. でだし도 出出し라고 쓸 수는 있지만 보통 出だし라고 쓴다.
- ↑ 喜喜 美々子(키키 미미코)라는 인물도 나온다. 왜 위의 예외 사항이 아닌데 성씨에는 々가 쓰이지 않는 건지...?
- ↑ 스즈키라는 성은 보통 저렇게 쓰지 않고 鈴木으로 쓴다. 이는 작중 트릭과 관련될 정도로 중요한 포인트.
- ↑ 영화 사랑과 영혼(Ghost)에서도 남자 주인공이 여자친구의 "사랑한다"는 말에 이 표현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