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메가 포인트 이론

(오메가 포인트에서 넘어옴)

OmegaTip1.jpg
물리학이 종교와 만나 만들어낸 전지전능

1 유래

OMEGA POINT THEORY
오메가 포인트란 프랑스 종교 철학자 Pierre Teilhard de Chardin 이 주장한 용어로서 우주의 진화가 최대한 이루어지는 지점을 뜻하는 용어였으나, 20세기 후반 Tulane 대학의 물리학자 '프랭크 J 티플러에 의해 재설립 된 물리학 이론(가설)이다.

2 설명

인간의 약점을 극복한 먼 미래 기계(로봇)후손들이 우주로 계속 뻗어나가, 심지어 다중우주를 넘어 그들의 문명이 극도에 도달하면(즉 오메가 포인트) 모든 우주들은 하나의 전지전능한 슈퍼컴퓨터 슈퍼로봇 가 되어 자신의 매트릭스 안에 과거에 모든 사건과 과거에 존재했던 모든 존재들마저 부활시킬수 있다는 이론이다. [1] 사실 증명될 수 없으므로 이론 중에서도 가설이다. 초끈이론과 마찬가지
이거 정말 물리학자가 내놓은 이론입니다 사실 잘 믿기지는 않는다



저명 인사들의 학술 강의 프로젝트 TED에서 The Ultimate Future 라는 제목으로 이론의 창시자 프랭크 J 티플러가 직접 강의하였다.

3 오메가 포인트와 연관된 과학 이론들

이론은 제법 다양한 과학이론과 연관이 되어있다.

  • 일단 레이 커즈와일이 주장하는 기술사학적 특이점과 매우 유사한 가설을 보여준다.
  • 명 물리학자인 프리만 다이슨의 저서 "Time without End: Physics and Biology in an Open Universe" (1979) 및 Infinite in All Directions (1988)에 소개된 이론에 영향을 받은것으로 알려져있다.
  • 예일 대학과 옥스포드 대학의 철학교수 Nick Bostrom 이 주장하는 simulation argument(시물레이션 논쟁)과도 상당히 유사한 부분이 많고 이 이론들을 다루는 서적에서도 두 이론을 상호보완 설명하는데 종종 사용한다.
  • 양자 컴퓨터의 권위자이자 평행우주 신봉자로 유명한 이스라엘 출신의 과학자 데이비드 도이치(David Elieser Deutsch)는 오메가 포인트 이론의 종교젹 부분은 비판하지만 그 과정의 단계는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입장이다.평행우주+컴퓨터 조합
  • 스웨덴 출신의 미래학자겸 트랜스휴먼 주의자인 앤더스 샌드버그 (Anders Sandberg)도 오메가 포인트 이론에는 많은 오류가 있으나 트랜스휴먼 주의자로서 매우 흥미롭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 2015년 초에 스티븐 호킹 교수가 인류는 A.I에 의해 큰 위협을 받을것이라는 주장을 했는데 이에 A.I를 우주와 미래의 궁극점이라고 생각하는 이 이론의 창시자 프랭크 티플러는 EDGE.ORG라는 사이트에 A,I는 인류에 큰 역할을 할거라는 반박문을 기재하여 화제가 됐다.#
  • 2015년 5월 영국왕립 천문학자 마틴 리즈경은 한 강연에서 “외계지능생명체탐사(SETI)를 통한 신호가 잡힌다면 그것은 유기체보다는 기계로부터 오는 것일 가능성이 훨씬 크다”고 주장했고 또 “수세기 안으로 우주를 지배하는 지능은 기계가 될 것이다”며 “우주사적으로 봐서 유기체적 생물(beings)이 존재하는 시간은 아주 짧고 앞으로 수십억년은 기계가 우주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는데 외계에서 오는 기계문명에 대해선 다소 오메가 포인트 이론과 배치되지만 다중우주를 초월한 초 우주적인 기계문명과 더 나아가 그 문명이 구동하는 시물레이션 다중우주 이론등은 오메가 포인트와 유사성이 있다고 해외 학술지에서 언급했다.

4 비판

1. 당연하지만 이 이론은 적지 않은 비판을 받고 있다. 한 예로 <skeptic>의 발행인이자 편집장인 마이클 셔머는 저서인 '왜 사람들은 '이상한 것을 믿는가'에서 이 이론에 대한 비판을 가하고 있다.

  • 티플러의 이론은 미래의 과학 발전에 대한 강한 맹신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과학에서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해서 그것이 반드시, 100% 일어날 것이라고 증명하지는 못한다. 과학의 발전 속도를 완벽하게 예측할 수는 없으며 그 방향 역시 마찬가지이다.
  • 티플러의 이론은 반드시 과학 문명이 극도로 발전함을 '가정'하는 것에 그 바탕을 두고 있다. 하지만 인류가 그 약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기계(로봇)후손을 남기지 못한채 사라질 수도 있으며, 기계 후손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후손을 남길 수도 있다. 또한 기계 후손을 남겼다 하더라도 그것이 완벽하리란 보장은 없으며, 인류가 예측하지 못한 어떤 원인으로 인해(가령 엔트로피의 증가 속도가 예상보다 훨씬 빠르다거나) 이 우주가 소멸할 가능성도 있다.
  • 만에 하나 미래의 전지전능한 슈퍼컴퓨터가 존재한다고 가정해도, 과거의 기억과 사건들을 100% 되돌릴 수 있을지도 회의적이다. 나비효과에서 알 수 있듯이 하나의 사건이 어떻게 영향을 가해서 다른 사건들을 발생시키는지 알아내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며, 정보가 100% 보존되리란 확신을 가지기도 힘들다.

2. 이 이론의 가장 강한 비판의 어조를 보인 물리학자는 '스타트렉의 물리학'이라는 저서로 유명한 로렌스 크라우스 교수인데, 오메가 포인트의 창시자인 프랭크 티플러와 한차례 격렬한 논쟁을 벌인적도 있을 정도로 이 이론의 여러 모순을 각종 미디어에 여러차례 비판했다.

5 대중 문화속 오메가 포인트

1262800048787.jpg

초월성을 다루는 이론답게 서구의 SF 문화와도 역시 깊은 연관성을 보여준다.

대표적으로는

  • Stephen Baxter의 소설들 역시 초월적인 존재들을 잘 다루는 소설가 답게 그의 대표작 Manifold: Time 과 Time like Infinity는 오메가 포인트 이론과 연관이 높다.
  • 트랜스포머의 절대존재 the one도 모든 우주들 혹은 원천 그 자체로 설명되어지고 있으므로 이 이론과 관계가 깊다.
  • 프레데릭 폴(Frederik Pohl)의 '에스카톤(Eschaton)' 시리즈 및 찰스 셰필드(Charles Sheffield)의 Tomorrow and Tomorrow 등 원 미래(far futuer) sf 문학에 영향을 주고 있다.[2]
  • 스타 트렉 Motion Picture 1편의 거대 로봇우주선 비저(V'GER)의 전체적 설정이나 최종 단계로의 진화 과정도 이 이론의 가설과 매우 유사하다.
  • 맵스의 최종보스 신제 바아의 경우도 그저 한 종족의 역사를 기록하던 기록장치에서 점차 성장해 최종적으로는 전지전능에 가까워졌다는 점에서 이 이론의 가설과 상당부분 유사하다. 전지전능함을 유지하려면 우주 하나를 통째로 에너지로 전환해야한다는 결함이 있지만 넘어가자
  • 테렌스 맬릭 감독의 영화 트리 오브 라이프 블루 레이의 "eternity " 챕터 부분은 이 이론이 주장하는 모든 생명의 부활 모습을 영상 이미지로 매우 유사하게 표현했다는 평론도 있다.#
  • 우주 문명의 단계설 즉 카르다세프 척도의 추가 문명 단계 중 최상위 문명을 넘어선 전지전능에 근접 하거나 그 이상의 문명의 단계가 이 이론의 최종 지점과 유사하다.[3]한 마디로 SF나 픽션에서 묘사된 최종 문명 조차도 넘어서야 된다는 말이다.

6 연관항목

  1. http://en.wikipedia.org/wiki/Omega_Point 자세한 것은 외국위키를 참고하자
  2. 우주 문명의 단계설이나 겁스 무한세계의 최종 단계 그 이상이 돼야할듯...
  3. http://en.wikipedia.org/wiki/Kardashev_scale 여기서 이 내용은 간단히 언급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