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병의 이름

이 문서는 의학과 관련된 내용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언급하는 정보는 기초적인 지식으로만 받아들여야 합니다. 바다위키에 등재된 의학 정보를 맹신하지 마십시오. 본 문서를 의료행위, 자가 진단, 교육 등에 활용함으로 인해 불이익이 발생해도 바다위키는 법적 책임을 질 의무가 없습니다. 건강 관리와 질병 진단은 반드시 병의원·보건소 등 전문 의료기관만을 이용해야 합니다.

의학 관련 문서에 오해를 낳을 가능성이 있는 자의적인 생각이나 공인되지 않은 학설 등의 확인되지 않은 정보는 타인의 건강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국어:옴
영어: scabies
한문:疥癬症(개선증)
일본어:かいせん

옴은 피부 기생충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이며, 임상 증상 및 전염성은 기원전 약 1,000년경부터 알려져 있다. 옴은 집단 생활에서 생기기 쉬운 질환으로 옻과 혼동하기 쉽다. 옴벌레는 사람의 피부에다 알을 낳아 번식하며, 번식력이 강하여 예전엔 치료하기가 쉽지 않지만, 요즘엔 약만 3일정도 바르면 충분히 치료된다. 손가락 발가락 사이, 팔목 양쪽, 아랫배, 둔부 등에 좁쌀 같은 발진이 생기며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한다. 최근엔 거의 발병하지 않는 병이나 자주 발생하는 곳이 있다. 바로 요양병원과 요양원. 환자 관리만 제대로 하면 발병하지 않아야 정상이나 일부 관리 상태가 엉망인 곳에서 자주 보인다. 옴이 발생했을 때 제대로 치료만 하면 금방 완치되는 병인데도 불구하고 약값도 아깝다고 약을 안 주려는 막장 병원[1]이 문제다.

엄청나게 가렵다. 거동에 문제 없는 사람은 긁으면 순간 해소라도 하지 거동이 불가능한 환자가 옴이면 일상생활에 지장이 오게 된다. 밤에 증상이 더 심해지게 된다. 낮에는 살이 접히는 부분에 작은 굴을 파고 숨어있다가, 어두워지면 나와서 이동하는 데 이때 가려움증이 극에 달한다.

개선증은 성관계, 잠자리를 같이 하는 지속적인 접촉으로 감염이 될 수 있으며 그외 단순 접촉으로도 감염이 될 수 있다. 개인의 위생 상태와는 크게 연관이 없다고 한다. 개선증에 걸렸다고 판단되면 치료가 될 때까지 누군가와 성관계를 갖거나 잠자리를 같이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약은 몸에 바르는 크림 타입으로 목 아래 전신에 바르게 된다. 성관계나 잠자리를 같이 하는 파트너에게도 알려주어 증상이 없다고 해도 마찬가지로 약을 바르는게 좋다. 가족이 있다면 가족 전체가 약을 바르는 것이 권장된다. 침구류와 수건은 뜨거운 물로 씻어 남아 있는 옴이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면발니와 비슷하게 국방부 퀘스트 중에 조우할 수 있는 피부병 중 하나이다. 다만 증상이나 치료의 용이성 등을 보면 옴이 훨씬 악질이다. 사면발니와 가장 쉽게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은 옴은 귀두 부분에도 증상이 생길 수 있다는 것. 귀두 부분에 발진이 있으면 사면발니가 아닌 옴이라고 보면 거의 틀림없다.

재수 옴 붙었다에 나오는 옴이 여기 나오는 옴 맞다. 그만큼 성가시고 감내하기 힘든 질병이라는 말.

2 인도 계통 종교의 진언

Aum.png
ⓒ 위키미디어 공용

Om / Aum

인도 계통의 종교(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에서 신성시되는 진언이자 주문.

글로 쓸 때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1음절로 쓰지만, 소리 내어 외울 때는 3음절 길이로 '오오옴' 하고 읽거나, A-U-M(아-우-ㅁ)처럼 읽는다. 참고로 저 ㅁ발음은 한국어 ㅁ보다 콧소리가 더 들어가서 m과 n의 중간쯤으로 들린다.

단순해 보이는데도 이것저것 신비적인 해석이 많으며, 우주의 언어, 신의 이름 등으로 신성시되기도 한다. 기본적으로는 생성, 유지, 소멸의 3가지 원리를 소리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한다.

본래는 우파니샤드 철학자들의 저서에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대승 불교 및 자이나 교 등에서도 이를 차용해 수행 시 외우는 진언이나 주문 등으로 사용했다. 단순히 옴 한 음절만 길게 소리내기도 하고, 옴 마니 반메 훔처럼 각종 만트라의 앞에 붙어서 쓰이기도 한다.

옴진리교의 명칭도 여기서 유래했는데, ㅁ받침을 표현하기 힘든 일본어의 특성상 '오우무' 로 발음한다.

3 독일의 물리학자

게오르크 시몬 옴은 옴의 법칙을 발견한 물리학자로 유명하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3.1 전기 저항의 단위

위 사람의 이름에서 따온 SI 단위전기 저항의 단위이다. 그리스 문자인 오메가(Ω)로 쓴다. 옴의 법칙에 의해 1암페어전류가 1볼트전압으로 흐를 때의 전기 저항의 값이 1옴이 된다.

전기 저항 항목 참고.
  1. 환자를 방치하는 관리 인력 문제인 경우도 있지만 간병인이나 간호사 입장에서 옴이 생기면 자기들도 옮는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어떻게든 노력을 하는 편이다. 관리가 안되는것도 문제지만 전염성이 끝내주고, 요양원과 요양병원의 환자는 자주 오고가기에 한번 잘못 옮겨질경우 순식간에 전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