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유저 인터페이스

1 설명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인터페이스는 락이 걸려 있지 않고 XMLLua로 작성되어 있다. 전체적인 외관은 XML로, 스크립트 함수는 Lua로 작성되어 있다. 이 파일들을 적절히 제작, 수정함으로써 유저가 자기 입맛에 맞게 플레이 환경을 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작한 커스텀 인터페이스를 와우저들은 '애드온'이라고 부른다. 물론 블코에서는 꿋꿋이 커스텀 UI, 유저 인터페이스 등등 공식 명칭으로 부르지만 로그인하면 '플레이하기 전에 애드온을 업데이트해주시기 바랍니다' 라고 나오는 것을 보아 반쯤 혼용하고 있는 듯.
단, 저 녀석들은 프로그래밍 언어이므로 쉽게 건드릴 수 있는 것들은 아니다. 대개 능력자들이 선의로 제작한 애드온을 내려받아 쓴다. 국내 여러 WOW 팬사이트들에 모음집이 올라와있으며, WOW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로 가장 큰 애드온 관련 사이트는 curse.com이며 국내에서는 와우섬게[1] 와우인벤 애드온 자료실이 유명하다. #

제작한 애드온들은 와우 설치폴더인 \Interface\addons 에 집어넣으면 작동하며, 각국 언어 지원방법도 매우 편리한 편이라서 이제 어지간한 애드온들은 거의 대부분 한글화되어 있고 한글화되지 않은 애드온일지라도 locale 폴더/파일의 enUS를 베껴 고치는 방법으로 koKR로 직접 한글화할 수 있다.

와우 UI 는 세로 해상도를 무조건 768 로 정해놓고, 여기서 스케일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즉, 세로해상도가 768 인 모니터라면 1:1 픽셀매칭이 되지만, 오늘날 그런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니 어느정도 스케일을 해줘야 1:1 픽셀매칭이 된다. 1:1 픽셀매칭의 효과는 보통은 UI 가 좀더 선명해보이는 효과정도지만, 주로 사용하는 통합 애드온인 ElvUI 같은 경우는 폰트 자체에도 비트맵 폰트를 여러군데 사용하기때문에 1:1 픽셀매칭이 매우 중요하다. 문제는, CVar 를 통한 스케일은 0.64 가 한계이고, 이 이하로는 안된다는것. 즉, 세로해상도가 768/0.64 = 1200 까지만 1:1 픽셀매칭이 가능한셈. 2560x1440 의 경우는 0.533.. 의 스케일이 필요한데, 일반적인 CVar 를 통해서는 0.64 까지밖에 안되니 UIParent 를 통해 UI 전체를 재스케일하는 방식으로만 가능하다. 그런데, ElvUI 에는 이런식으로 재스케일을 하면 여기저기서 애로사항이 꽃피니 안하는게 좋다.

애드온이 하도 많이 나오다보니 대부분의 애드온에서 사용할만한 기능들을 묶어서 Ace2, Ace3 같은 애드온 전용 LUA 라이브러리까지 나온 상태. 어떤 애드온은 서로 연동까지 된다. 이 정도면 거의 프로그램에 준할 정도다.

게다가 TradeSkillMaster 라는 애드온은 아예 추가로 설치하는 서버프로그램을 따로 배포하고, 이걸로 북미와 유럽 모든 서버의 경매장에 올라온 모든 아이템 가격을 매 시간마다 체크하여 사용자가 아이템에 마우스를 갖다대면 글로벌 경매장 평균가격과 본인서버 경매장의 최저가격을 표시해주기도 한다.

제작한 애드온의 저작권 자체는 블리자드에서 제작된 리소스를 이용한 부분을 제외하고는 제작자에게 있지만, 애드온을 유료로 판매한다던가 하는 정책은 블리자드에서 금하고 있다.그래서 몇몇 애드온 제작자는 기부를 해달라고 강조를 한다.

와우저들은 편리한 아제로스 생활을 위해 몇 가지 애드온을 공통적으로 쓰고 있다. 애드온이 뭔지도 모른 상태로 와우 계정을 만들어도 어느 시점에선 Omen쯤은 다운받기 마련이다. 무엇보다 없으면 공대에서 까이니 아무리 저항해도 만렙달고 나면 DBM, 어그로미터기, 데미지미터기, 레이드프레임은 깔게 된다. 그리고, 그렇게 몇개 깔아보고 맛을 들이면 어느새 애드온 갯수가 수십개를 훌쩍 넘어가는일도 흔하다.

몇몇 애드온은 거의 GUI 상에서 클릭질로 프로그래밍을 하는듯한, 미니멀하면서도 강력한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데, 대표적인게 WeakAuras2 이다. 애드온 제작에 손 좀 대본 사람이 보면 WoW API 를 그대로 노출시킨듯한 디자인임을 알 수 있다. 게다가 LUA 코드 임베딩까지 가능하기때문에 이 애드온 하나로 상당히 여러가지가 가능한셈. 이런 애드온은 보통 많은사람이 달라붙어서 업데이트가 꽤 활발히 되므로, 와우 대규모 패치때마다 나오는 구버전 애드온 대란에서 빠르게 벗어나고 싶지만 애드온을 직접 제작하는건 부담스러운 사람들은 보통 업데이트가 활발히 되는 소수의 강력한 애드온으로 UI 를 다 제작해서 쓰기도 한다. 물론, 그마저도 부담스러운 사람들은 그냥 통합애드온과 부수적인 몇개의 애드온으로 끝낸다.

블리즈컨이나 MLG같은 대규모 투기장 대회에선 점감 효과같은걸 나타내는 '특수 부가 기능'이 추가되는 애드온의 사용이 금지된다. 하지만 기본 블리자드 UI의 Lua코드를 사용해서 유닛 프레임의 크기나 위치를 바꾼다거나 초상화 대신 직업 아이콘을 넣는 단순한 변화는 허용된다.[2] 또한 지나치다고 판단 되는 것들도 금지 당한 경우가 몇번씩 있어서 어느정도의 선은 있는 셈.

가끔 대규모 패치, 소규모 패치로 잘 되던 애드온이 맛이 가서 정상작동이 안 되는 일이 있다. 그리고 이런 경우 해당 애드온을 만든 이가 빠르게 애드온 버전을 업데이트해주면 모를까 그렇지 않는다면 해당 애드온 이용자들이 혼돈에 빠지게 된다. 특히 판다 -> 드레노어로 넘어가면서 상당수의 애드온이 맛이 가서 그야말로 혼돈의 장을 열었었다. 당시 와우에 접속했던 사람이나 와우인벤을 다닌 사람들은 그때의 혼돈을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2 대표적 애드온

2.1 통합 UI

애드온을 처음 사용하거나 이것저것 따로 설치하기 귀찮은...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 데빌 UI : 2015년 3월 4일 이후 업데이트가 되지 않고 있다.
  • 블루 UI
  • 드래곤 UI (Draddon UI, 하랭 UI로도 불리며, 2016년 2월 10일 이후 업데이트가 되지 않고 있다.)
  • ElvUI

많은 통합 UI들이 있지만 유명하고 업데이트가 지속적으로 되는 것들이다.

2.2 스펙확인

2.3 어그로미터기

  • Omen3
오멘이라고 표기하며 오멘이라고 해서 모르면 대충 '어그로 미터기'라고 해도 알아듣는다. 어그로 미터기라는 말 그대로 현재 선택한 대상에게 획득한 어그로를 보여주며 탱커보다 이 어그로가 높지 않도록 해주는 고마운 애드온. 레이드에서 어그로가 튀어버리면 매우 곤란해지기 때문에 딜러, 탱커, 힐러 모두 사용한다. 오리지날부터 대대로 이어져오는 유서깊은 애드온이라고 할 수 있다.
상당히 오랫동안 오멘 등의 어그로미터기는 각 플레이어가 설치해둔 어그로미터기 에드온이 플레이어가 사용하는 스킬과 그 스킬의 적중여부/피해량/치유량 등을 감지해서 다른 플레이어의 애드온과 동기화, 정보를 교환하여 표시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동기화가 되지 않는 플레이어의 어그로는 표시되어 있지 않았고 현실적으로 에드온이 표시해준 어그로 수치는 추정치였으며 레이드 중 갑자기 동기화가 꼬여서 어그로미터기를 버리고 감을 믿어야 하는 일도 있었다. 그러나 불타는 성전 말기~리치 왕의 분노 도입 전, 블리자드는 그냥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면 현재 자신의 위협수준을 공개하기로 결정했다. 따라서 이 이후로 어그로미터기는 동기화 기능을 배제하고 단순화되었으며, 표시되는 어그로 수치는 추정치가 아닌 확정치가 되었다.
한 가지 문제가 있다면 광역탱킹과 힐어글. 오멘은 단일 대상의 어그로만 보여주기 때문에 광역탱킹 때도 '내가 지금 어글을 제대로 먹고 있나' 하는 걱정이 들기 일쑤. 마찬가지로,힐어글은 딜어글과 달리 주변 몹에 분산되는데, 탱커가 풀링을 제대로 하지 않았을 경우 힐어글로 인해 애드가 나고 깜박하다 힐러가 저세상을 간다. 광역구간에서 애드가 나면 일단 탱커 장판을 향해 달리자. 와우 시스템상 대상이 아니면 클라이언트에 어그로 보고를 안 해서 이런 거지만······.
탱커의 어그로가 막강해진 대격변 이후론 없어도 그만인 상황.

2.4 데미지 미터기

사용 중인 플레이어 및 파티원의 공격량, 회복량, 사망시의 기록등 각종 활동 수치를 측정한 후 그래프로 만들어 보여준다. 자신이 얼마나 활약했는지, 까놓고 말해 이게 제일 중요한 어느 파티원의 실력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고 싶을 경우 사용하지만 다른 여러가지 분석을 위해서도 사용되기에 준 필수 애드온으로 취급된다. 만랩을 처음 찍은 와우저라면 한번 깔아보자. 자신의 파티 기여도를 보고 깜짝놀라는 유저가 많다.

  • Recount
대표적인 데미지 미터기. 시스템에 부담을 주는편인지 게임이 느려진다는 불만을 가진 유저들도 있으며, 이런 불편을 겪을경우 다른 미터기로 교체하는것이 좋다.
  • Skada
Recount보다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이 낮다.
  • TinyDPS
  • Details!
2015년에 제작된 미터기로 매우 낮은 CPU 사용량과 높은 RAM 사용량을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미터기 계산 요소를 미리 캐시로 만들어서 쓰기 때문에 램 사용량이 다소 높지만 CPU 연산 부담이 줄어 레이드에서 미터기로 인한 랙이 상당히 경감된다.

2.5 유닛프레임 및 레이드프레임

유닛 프레임은 좀 생소할 수 있는데, 플레이어나 파티원, 적들의 HP, 마나 등이 표시되는 왼쪽 상단의 바를 의미한다. 특성상 가장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는 애드온으로, 그야말로 기상천외한 방식으로 UI를 자유자재로 변형할 수 있다. PitBull이나 SUF의 경우에는 아예 변형을 전담하는 옵션창을 내장해서 이걸로 수백 수천가지의 UI를 만들어 낼 수 있다. oUF 같은건 아예 유닛프레임 DIY 에 도움되는 라이브러리 모음집 수준. 대부분의 유닛프레임 애드온은 설정이 자유로운만큼 설정할것들도 많아서 디폴트로 쓰면 모를까, 뭐하나 건드리기 시작하면 하루가 후딱 지나간다. (..) 이게 귀찮은 사람들을 위해서 PearlClassic이나 XPearl, 인벤 유닛 프레임같이 여러 개의 프리셋을 미리 만들어두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도 있다.

레이드 프레임은 Grid가 상당히 유명한데, 현 와우의 기본 레이드 프레임은 이 Grid를 차용한 것이다. 원래 오리지널 시절의 레이드 프레임은 HP바와 파워바만 작게 있던 형식이라 알아먹기 어려웠는데, Grid라는 애드온에서 알아먹기 쉬운 큰 사각형 형태의 HP바를 차용하면서 일대 혁명이 일어났다. 공대원들의 HP 상황을 한눈에 알 수 있었기에 대단히 유용했고, 제공되는 기능들도 편의성이 좋았기 때문. 결국 와우도 기본 레이드 프레임을 이 Grid의 형식을 차용해서 다시 만들게 된다. 그래도 애드온에서 제공하는 기능이 더 좋은 경우가 많아서 레이드 프레임은 애드온을 추가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레이드 프레임은 아무래도 공대의 체력을 책임지는 힐러가 가장 뚫어지게 쳐다보는만큼, 힐러에 최적화된 경우가 많다. 예를들어, 레이드프레임에 나와있는 누군가를 좌클릭하면 그사람에게 자동으로 힐이 나가고 우클릭하면 자동으로 디버프해제를 한다던가...특정 타겟 중심으로 광역힐을 사용할때 누구에게 사용하는것이 위치적으로 가장 많은이가 효과를 보는가같은것들이 표시된다던가...클릭-힐 방식 애드온의 대표주자중 하나였던 Clique 라는 애드온의 제작자는 옥스포드 컴퓨터 과학 박사출신으로 애드온 관련 블리자드와 협업을 할 기회를 갖기도 했는데, 그와중에 이 클릭-힐 방식이 막히지 않게끔 심혈을 기울여 지금까지 막히지 않았다는 이야기도 있다.

  • Aguf
  • PearlClassic
  • Xpearl
  • PitBull
데빌 통합 애드온에서 사용하며 폭넓은 커스터마이징을 지원한다.
  • Grid
외국의 대표적인 레이드 프레임이다. 강력한 기능과 부가 기능을 지원하지만 CPU 사용량이 다소 높다. Grid2랑은 별개의 애드온이다.
  • Grid2
레이드 프레임 중 매우 낮은 CPU 점유율을 보여준다. Grid 애드온과는 바닥부터 다른 애드온이므로 헷갈리지 말자.
  • Vuhdo
  • oUF
  • 인벤 유닛 프레임
한국 인벤에서 만든 국산 유닛 프레임 애드온으로 업데이트가 중지되었다. 군단에서 사용 불가.
  • 인벤 레이드 프레임
한국 인벤에서 만든 국산 레이드 프레임 애드온으로 공식 업데이트가 중지되었다. 비공식 팬픽스 업데이트로 군단에서 사용은 가능하다.
  • Hud시리즈
  • Silver Ui
마치 아이언맨에 탄 듯한 인터페이스로 관심을 끌었던 중국발 UI.

2.6 액션바

  • Bartender
  • Dominos
  • 인벤 액션바

2.7 공격대 경보

  • BigWigs
  • DBM (Deadly Boss Mods)

2.8 쿨다운 타이머

판다 이전까지 와우 기본 UI에는 남은 쿨다운을 표시하는 기능이 없었다. 물론 아이콘에 불이 들어오기는 하지만 몇 초나 남았는지 직관적으로 알려주지는 않기 때문에 추가 애드온을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 지금은 쿨다운 표시를 기본적으로 해주기 때문에 보통은 깔지 않는다.

  • OmniCC
  • SexyCooldown

2.9 지도

  • Mapster
  • GatherMate

2.10 아이템

  • Atlasloot Enhanced
  • oGlow
  • 블루 아이템 인포
  • 인벤 크래프트 인포

2.11 가방

  • ArkInventory
  • Bagnon
  • OneBag3

2.12 전투

  • SCT - mik's scrolling battle text
  • nnCast
  • Parrot
  • PlateBuffs
  • LoseControl
  • InterruptBar
  • Ovale - 딜 사이클 알리미 애드온. 현재 기술의 쿨다운 버프, 디버프 및 기력 분노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가장 높은 딜을 낼 수 있는 스킬을 알려준다.

2.13 투기장 및 전장

  • Gladius
투기장의 필수 애드온으로 손꼽히는 국민 투기장 애드온. Proximo의 마이너 카피 쯤 되는 걸로 시작했지만 Proximo가 잠시 개발을 멈춘 사이 미친듯한 버전업으로 메인으로 떠올랐다. 투기장 상대의 직업, 특성, 체력과 마나 바, 캐스팅 바, 계급장 재사용 시간을 출력하는 애드온으로 대부분이 Proximo와 비슷하지만 이쪽엔 설정의 자유도가 압도적으로 높다는 장점이 있다. 캐스팅 바의 크기를 제 맘대로 할수 있고, 상대의 특성을 공격대 경보, 귓속말, 파티 대화로 띄울 수 있는 기능은 Gladius의 최대 장점이다.
하위 호환격 애드온인 Gladimish를 사용하면 상대에게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의 점감시간이 표시된다. 상대가 정확하게 언제 메즈기에서 깨어나서 그때부터 정확히 15초를 센 후 풀타임 메즈를 넣을 자신이 없다면 써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쓰기 싫으면 초시계에 익숙해지면 좋다.
  • Afflicted3
모든 플레이어의 쿨다운과 스킬 지속시간을 알 수 있는 최강의 애드온이다. 당연히 투기장에서도 먹힌다. 투기장 상위 플레이어들은 그런 거 없이 감과 기억력, 그리고 초시계로 다 해결하지만[3], 중수 미만부터는 진정한 사기 애드온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다. 적의 빠진 쿨다운과 안 빠진 쿨다운을 적절하게 화면에 출력한다는 것만으로도 좋은 애드온인데, 지속시간과 쿨다운까지 표시하는 바람에 전략을 세우기 쉽고, 뭣보다 캐스팅 훼이크에 필수적인 애드온이다.
캐스팅 훼이크가 특히 가장 중요해서 캐스팅 훼이크 표시 특화 애드온인 Interruptbar에 밀리는 감이 없지않아 있지만, 이쪽에는 장점이 있다. 도적의 마음가짐 이후 초기화되는 발차기의 재사용 대기시간과 흑마법사의 마의 지배 후 지옥사냥개의 주문 잠금 재사용도 전부 표시된다. InterruptBar는 이 점에선 넘사벽.
최대의 단점은 한글화가 안 됐는데, 설정이 필수라는 것. 설정을 안 하면 3:3 이상, 특히 전장에서는 화면을 덮도록 출력되는 쿨다운과 스킬 지속시간에 정신 못차리는 수가 생긴다. 또한 업데이트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Kollective같은 투게들이 직접 세팅한 에드온을 구하지 못하면 쓰기 힘들다.
  • BattlegroundTargets

2.14 경매장

  • Auctioneer

2.15 이름표

  • TidyPlate
  • DocsNameplate
  • NamePlateAdvanced
  • Aloft

2.16 우체통

  • EasyMail

2.17 파티찾기

  • FindParty
국산 애드온으로, 파티찾기라는 이름으로 시작했으나 그 유용성이 알려지면서 FindParty로 Curse에 등록되어 있다.

3 관련 사이트

애드온을 다루는 사이트 중 대표적 사이트를 소개한다. 제작자 입맛대로 등록이 되므로 한 사이트에서만 찾을 수 있다거나 중복 등록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외에 수도없이 많은 애드온이 존제한다. 애드온을 자작할 수 없다면 아래 사이트들을 참고하여 자신에게 맞는 애드온 조합을 찾아보자물론모드떡칠의 결말은 파멸이지만

WowAce
Curse.com
Wowinterface.com

와우인벤 애드온 페이지
  1. 에드온과 룩변으로 인벤보다 유명했지만 사이트가 망했다.
  2. 물론 직접 코드를 짜는거만 봐주고 애드온을 사용해서 바꾸는건 불가능하다
  3. 투기장 대회에선 애드온을 금지 시키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