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1 개요
위성 송신설비 및 지상 중계 설비를 이용하여 디지털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등의 방송 프로그램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형 멀티미디어 방송으로, 2004년 3월 중순에 한국과 일본이 동시 개발한 한별위성을 발사하여 대한민국에서는 SK텔레콤의 자회사인 TU미디어가 사업권을 얻어 2005년 5월 1일부터 2012년 8월 31일까지 서비스 제공하였다. MPEG-4 AVC(H.264) 코덱을 이용했다.
지상파DMB에 비해 높은 수신률과 (상대적으로) 풍부한 컨텐츠라는 장점이 있었으나, 유료 서비스인 특성상 가입자수가 적기 때문에 수익이 안 나오는 상황. 특히 도심에서 전파음영지역 (수신불량지역) 이 생기는 위성전파의 특성상 지상중계기를 대량으로 설치하다보니, 수익성이 저 세상으로 가셨다. 또한 위성방송의 특성상 악천 기상일 때 수신률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도 생기기 일쑤였다. 이것 역시 스카이라이프등의 다른 위성방송도 그렇다. 물론 그런 경우는 드물거나 금세 복구되긴 하지만..
분명 과거에 SK텔레콤이 투자했던 이리듐 계획이 도시의 전파음역지역 때문에 피본 경험이 있는데 어째서 자회사인 TU미디어를 통해 같은 일을 반복하고 있는지 의문... SK텔레콤은 단지 위성을 띄워보고 싶었던 것인지도.
지상파DMB는 광고에 의존해야 하는데 광고수입이 시원찮은 반면 위성DMB는 중계기 설치비용 등으로 인해 나가는 돈이 많다.
실제로 위성DMB의 지상중계기는 휴대폰 기지국에 스카이라이프와 비슷한 접시 안테나가 설치돼 있었다. 따라서 휴대폰이 터지는 웬만한 지역이라면 위성DMB도 함께 수신할 수 있었으며, 지상파DMB 보다 월등한 수신률을 자랑하긴 하였다.
위성DMB 는 타개책으로 SK텔레콤 가입자가 위성DMB 에 가입할 경우에는 TU팩이라는 무료 부가요금제에 가입하여 DMB 시청료 (6,000원) 와 약간의 음성통화료를 할인해주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었다. 정확히 말하자면 SK텔레콤이 자회사인 TU미디어의 적자를 메워주기 위해 실시하는 정책이다. 참고로 컴팩트 패키지가 6,000원이라서 SK텔레콤 고객은 컴팩트 패키지가 공짜다: 비디오(9개) : MY MBC(11), YTN(12), EBSu(13), 애니박스(14), 코미디TV(16), NGC(20), mbn(22), BBC(22), MBCNET(23), 오디오(13개) : Play On(6), 히트 인기가요(54), 트로트(55), 최신인기팝(56), 히트팝(57), TU Request(61), 그린뮤직(62), 오디오북(63), Arirang Radio(64), BBC World Service(65), TBSe FM(66), TBS FM(67), YTN FM(68)]
위성 DMB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지상파 재전송 합의에 실패한 것으로 꼽힌다.[1] 그 결과 지원하는 단말기는 한창 사업 중이던 2008년에 이미 고사상태였다. 가뜩이나 휴대전화 이외의 지원 단말이 없는 마당에 가장 최후의 스마트폰 기종이 T*옴니아이니 망했어요. 이후 후속기종인 옴니아 II는 위성 DMB를 버리고 지상파 DMB로 갈아타 버렸다. 피쳐폰 기종은 이후 발매된 LG전자의 피처폰인 SB260(빅토리아 시크릿, 2G)이다. 그나마 2010년에는 프로야구 4경기 동시중계라는 최종병기로 야구 매니아들을 꼬셨는데, 2011년에는 지상파 DMB마저 4경기 동시중계(QBS, MBN, U1, U1 PLUS)를 하고 있는데다 SBS CNBC에서는 이승엽, 박찬호가 있는 오릭스 버팔로즈 경기까지 중계하는 중이라 완패.[2]
사업법인인 TU미디어의 적자를 견디지 못한 SK는 SK텔링크에게 흡수합병으로 해결했으나, 그걸로도 역부족이었는지 결국 사업 종료 계획서를 제출했고 2012년 9월 1일 0시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3] 여담으로 위성DMB 종료는 국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휴대전화 서비스와 달리 신고만으로 가능하다. 종료 보상은 공고시점부터 완전 종료시점까지 약 2개월간 시청료 면제 및 현금 1만원.
이후 서비스 종료로 남게 된 2.6GHz 주파수는 경매를 통해 LG U+가 LTE용으로 가져갔다.
위성전파라는 특성상 일부 버스업체의 경우 스카이라이프 설비 대신 위성DMB tv-out으로 갈음하기도 했다.
사실, 고속버스처럼 이동하면서 TV를 시청하는 경우는 스카이라이프보다 위성DMB가 더 나은 면도 있다. 물론 스카이라이프가 위성DMB 보다 비교가 안 될만큼 많은 채널을 가지고 있다해도 터널이나 교각 아래를 지날 때, 즉 하늘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는 화면이 깨지거나 수신이 안 되는 단점은 있으나, 위성DMB는 위성신호를 지상중계기가 수신하여 단말기로 송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서울에서 부산까지 끊김없이 TV를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었다.
그러나 고속버스 등에 설치돼 있는 TV는 대부분 대형화면이다 보니 화면 크기에 따라갈 수 없는 저화질이었다는 점과 스카이라이프에 비해 가입절차가 복잡하고, 단말기도 한정되어 있다는 치명적인 단점도 있다.
애초부터 위성DMB는 휴대폰이나 내비게이션 등 작은 화면에 저화질에 맞춰 송출하였기 때문에 고속버스 등에 설치된 대형TV에는 화질이 잘 맞지 않다는 것이다. 스마트폰으로 지상파DMB를 보면 화질이 낮아보이는 것처럼..
2 지상파DMB와의 차이점
1. 무엇보다 지상파DMB가 위성DMB보다 장점으로 꼽히는 건 별도의 신청할 것도 없이 수신 단말기와 수신 안테나만 있다면 무제한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다만, 위성DMB는 별도의 가입절차와 유료 서비스라는 점으로 만약 휴대폰과 결합 시 별도의 신청과 해지절차가 필요하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물론, 유료 서비스이니만큼 지상파DMB 보다 다양한 채널과 영화 등을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도 존재하였다.
2. 지상파DMB는 라디오처럼 수신용 안테나 (또는 수신용 이어폰) 를 단말기에 설치해야만 시청이 가능하다. 하지만, 위성DMB는 수신용 안테나를 설치하지 않아도 원활한 시청을 할 수 있으며, 오히려 안테나를 이용하여 시청하는 지상파DMB 보다 수신률이 더 높은 편이었다.
3. 지상파DMB는 지역마다 채널이 다르며, 해당 지역방송 및 채널을 시청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지역으로 이동하여 지상파DMB를 시청하려면 채널검색을 다시하여 그 지역에 맞는 채널을 찾아 시청해야 한다. 하지만, 위성DMB는 어느 지역을 가나 채널은 모두 동일하다. 어쩌면 장점이자 단점일 수도 있다.
서울에서는 채널이 많이 잡히는 반면, 지방으로 갈 수록 채널수가 굉장히 줄어들고 볼 수 없는 채널들이 많아진다는 것.
위성DMB의 가장 번거로운 점은 하루에 한 번씩 채널을 검색해줘야 한다. 위성DMB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검색하는데, 그다지 시간은 오래걸리지 않기에 큰 불편한 점으로 꼽히지는 않는 듯 하다.
4. 지상파DMB는 대부분 TV와 동일하게 실시간 방송으로 송출하고 있다. MBC, KBS, SBS 등 공중파 방송으로 중심을 두고 있으며, 위성DMB는 TU 미디어에서 별도로 설정한 편성표로 운영되고 있다. 물론 MBC 나 YTN, 야구나 축구중계 및 일부 채널은 실시간으로 운영하고는 있었으나, 대부분 재송신 프로그램이나 TU 미디어에서 편성한 프로그램을 송출한다.
5. 지상파DMB는 별도로 편성표를 확인하기 어렵거나 따로 검색을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나, 위성DMB는 오늘 하루동안의 TV 편성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시청 중인 채널에 오늘 볼 수 있는 TV 프로그램의 시작, 종료시간 및 다음 프로그램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알람설정으로 TV를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지상파DMB도 스마트DMB 2.0 앱이나 싸이언 카페폰을 통해 지상파DMB도 확인할 수는 있지만, 위성DMB는 기본으로 탑재돼 있었고, 특히 스마트폰이 없었던 과거엔 싸이언 카페폰만 유일하게 지상파DMB 편성표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위성DMB는 하루에 최소 한 번씩은 채널검색을 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6. 지상파DMB는 VHF 라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여 보통 높은 산악에 설치하여 방송을 송출한다. 그런데, 특정지역이 아닌 이상 VHF 를 제외한 중계기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신률과 화질이 떨어지는 편이다. 지상파DMB는 광고료로 수익을 얻어 중계기 설치가 어렵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는 가운데, 서울지하철에 DMB 중계기를 설치하였지만, 철거 논란이 자주 불거졌다. 다만, 위성DMB는 휴대폰 기지국마다 수신용 안테나를 설치하여 음영지역을 최소화하여 지상파DMB에 비해 수신률은 다소 높은 편이긴 했다. 그러나 위성DMB도 지하철에서는 잘 터지진 않았다.
7. 위성DMB는 날씨영향을 받는다. 위성DMB 구조상 위성신호를 받아 송출하기 때문에 악천후 기상일 경우 DMB 시청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스카이라이프도 비슷한 현상을 겪는다.다만, 금세 풀리는 편이고 웬만한 악천후가 아닌 이상 극히 드문 현상이며, 지상파DMB에 비해 날씨에 민감하다는 점은 있다.
3 채널 목록
3.1 비디오 채널
- MBC every1
- SBS 드라마
- KBS 드라마
- TU CINEMA
- M-net
- TU 스포츠
- tvN
- TUBOX
- YTN
- EBS+
- 애니박스
- 온게임넷
- 팍스TV
- SBS 골프&스포츠
- J골프
-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
- CNN
- mbn/BBC
- OBSW
- 한국경제TV
- MBCNET
3.2 오디오 채널
- 최신인기가요
- 파워댄스
- 발라드
- 히트인기가요
- 트로트
- 최신 인기팝
- 히트팝
- 이지클래식
- TU Request
- 김기덕의 골든팝
- 오디오북
- Arirang Radio
- BBC World Service
- tbs eFM
- tbs FM
- YTN FM
3.3 ch.BLUE
위성DMB의 운영사 tu미디어는 자체 채널 ch.BLUE를 운영하면서 프로그램을 많이 제작했다. 이때 제작한 영상을 CU미디어가 많이 사가서 우리가 알고 있는 코미디TV의 프로그램이 사실 여기서 제작한 것이 많다. DMB에 적합하도록 짧은 영상을 주로 제작했는데 지식채널e와 비슷한 '180도 상상력의 힘', 스펀지와 비슷한 '지식 파파라치', '나는 펫' 시리즈가 있고 하지만 특별히 유명한 건 역시 시키면 한다! 약간 위험한 방송인듯.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DMB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 「지상파 재전송 논란 위성DMB에서 재현 조짐」, 2004-08-17, 미디어오늘
- ↑ 다만, 지상파DMB의 경우 일부지역에서는 야구 및 스포츠 등을 볼 수 없다. 지상파DMB는 지역마다 채널이 다른 점이 특징이자 단점으로 꼽힌다.
- ↑ 「SK텔레콤, 위성DMB 방송 8월 종료」, 2012-07-04, SBSCN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