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섬유

Glasfaser Roving.jpg

1 개요

말 그대로 유리섬유처럼 가늘게 뽑은 물질. 파이버글라스(Fiber Glass) 라고도 불린다. 단열성이 뛰어나고 녹슬지 않는데다 가공이 쉬워 건물 단열재석면의 대용품으로 쓰인다. 석면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석면이 치명적으로 위험한 물질이라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최근에는 석면 대신 유리섬유를 많이 이용하는 추세다. 물론 유리섬유도 잘못 만지면 따갑지만, 최소한 폐에 침투하여 무서운 질병을 일으키는 석면보다는 낫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다.

2 종류

2.1 유리강화섬유 플라스틱

흔히 FRP(Fiber Reinforced Plastic), 혹은 GFRP(Glass FRP)라 부른다. 철근 콘크리트가 그물모양의 철근위에 콘크리트를 부어 서로 약한 부분을 보완함으로써 그 강도를 높이것과 비슷한 원리다, FRP의 경우에는 유리섬유에 일종의 플라스틱 재질의 일종인 레진, 페놀 등을 액체상태로 만들어 바른 다음 여러겹을 겹처 포개거나, 혹은 유리섬유 주변에 그냥 액체상태의 플라스틱을 부은 다음 굳힌다.

이렇게 만든 유리강화섬유 플라스틱은 일반 플라스틱 수준으로 가벼우면서도 대단히 튼튼하기 때문에 낚시대, 우산이나 텐트용 폴대, R/C 장난감 같은 생활용품은 물론 산업용 기계나 차량, 항공기, 미사일에도 쓰인다. 특히 유리섬유는 일종의 직물이다 보니 '결' 방향이 있는데, 여러겹의 유리섬유를 겹칠때 이 결 방향을 어느 각도로 붙이냐에 따라 유리섬유의 특성이 대단히 달라진다.

비슷한 제작방식으로 탄소섬유를 이용하는 CFRP(Carbon FRP)도 있다.

흔히 하이바라 부르는 방탄모나 오토바이용 헬멧 역시 이 유리강화섬유플라스틱으로 많이 만든다.'하이바'는 Glass Fiber(글라스 파이버), 즉 유리섬유를 뜻하는 영 단어에서 나온 명칭.[1] 국내 업체로는 한국화이바가 유명하다.

2.2 단열재

파일:Weather-proofing-x.jpg
가느다란 유리섬유 뭉치를 솜처럼 만든형태의 건축용 단열재를 일컫는다. 영어로는 인슐레이션(insulation)이라고 한다.

3 안전성

1987년 국제보건기구(WHO) 산하의 국제 암 연구기관(IARC :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이 유리섬유는 발암물질이 아니라고 공식 발표한 바 있다. # 국내에서도 1995년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한 실험결과가 있다. 장기적인 유리섬유의 경구투여가 흰쥐의 생체에 미치는 영향 결론부터 말하자면 폐나 주요기관지에 들어가더라도 인체에 무해하다.

2015년 12월 14일 위기탈출 넘버원에서 유리섬유의 위험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2015년 당시 유행하던 난방텐트 폴대에 유리섬유가 쓰였는데, 이 폴대 표면에 유리섬유 가루들이 무방비하게 노출되어 잔뜩 묻어 있었다. 제작진이 장갑을 끼고 표면을 쓸어보자 미세한 가루들이 묻어나왔다. 청소기를 돌려도 여전히 가루들이 남아 있는 것도 문제. 여기에다 만약 폴대가 부러지기라도 한다면 그야말로 유리섬유 가루들이 미친듯이 흩날린다고 한다. 가격대가 좀 있는 알루미늄 폴대가 비교적 안전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사실 이전에도 유리섬유가 위험하다는 주장은 일부 있었다. 그러나 "아직 많이 연구되지 않은 물질이라 어떤 위험이 있는지 잘 알려지지 않았고, 무엇보다 이 분야 끝판왕인 석면에 가려 알려지지 않았을 뿐"이라는 건 그야말로 엉터리 환경단체들의 사이비과학이 어느 수준인지를 보여주는 증거일 뿐이다. 유리섬유의 안정성은 이미 수많은 연구에 의해 증명되어 있으며 안정성이 증명되지 않은 물질이라는 주장은 이쪽으로 공부를 전혀 안 했다는 걸 스스로 밝히는 것에 불과하다.


방송에 나온 업체측에서도 해명자료를 내놓았다.

국내 유리섬유 유해성 관련 논문은 두 편이 있으며, 이중 업체가 위의 해명자료에도 근거자료로 제시한 '장기적인 유리섬유 경구투여가 흰쥐의 생체에 미치는 영향'이란 논문은 말 그대로 유리섬유를 사료에 섞어서 흰쥐에게 장기간 먹인 실험이다. 이 논문에서 유리섬유가 석면에 비하여 안전한 이유는 유리섬유가 석면보다 더 굵고 길어서 모세혈관등으로까지 침투하지 못해서라 보고 있으며 실제 실험 결과로도 인간이 일반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유리섬유를 생쥐에게 6개월간 사료에 섞어 주어보았으나 특별한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

또 다른 사례는 '승용차 내장제에 의해 발생한 유리섬유에 의한 건강장해 1례'인데 구입한 소형 지프차 천장의 내장재에서 떨어진 유리섬유로 가려움증과 기침등을 호소한 사례이다. 차량 운행을 중지하자 곧 증세는 없어졌고 특별히 별다른 장애는 없었다. 다만 역학조사로 추정하기로 환자가 운전중일때 차내 공기중 유리섬유 농도가 허용치를 초과했던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내장재를 보수후에는 더 이상 문제가 생기지 않았다. 더불어 해외사례등을 소개하였는데 유리섬유가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는 주로 유리섬유 가공공장에서 근로자들이 허용치 이상의 유리섬유 환경에 노출될 경우 가려움증이나 기침을 호소하는 경우인데, 만성질환이나 발암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없었고 환경을 개선하면 곧 문제가 없어졌다.

사실 유리섬유는 이미 40년 가까이 석면대체제 및 기타 다른 용도로 쓰여왔기에 어떤면에선 위기탈출 넘버원측이 갑자기 무슨 생각으로 유리섬유를 태클을 걸기 시작했는지까지 의문이 들 정도.

이 와중에 위기탈출 넘버원의 해당 방송에 '시청자 제보'라고 떴던 글은 전혀 엉뚱한 야외용 텐트에 대한 내용이었고, '피해사례'라고 내보낸 발진이 생긴 피부에 대한 사진 역시 전혀 엉뚱하게 풀밭에 갔다가 생긴 발진에 대한 사진을 방송에 내보낸 등, 정말 방송사측에서 제대로 조사는 한게 맞냐는 의혹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1. 단 최근에는 케블라라는 재질을 사용하여 만드는 경우도 많은데, 사실 재질의 차이일뿐 제작 방법은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