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헌

SANNOH (산노)
width=100
산왕
4 이명헌 · 5 정성구 · 6 최동오 · 7 신현철 · 8 김낙수
9 정우성
15 신현필
감독 도진우
틀:북산 · 틀:능남 · 틀:상양 · 틀:해남대부속고 · 틀:풍전 · 틀:산왕공고

KazunariFukatsu.png
슬램덩크의 등장인물.

일본명은 후카츠 카즈나리(深津一成)

전국 최강 산왕공고의 3학년이자 팀의 캡틴이고 포지션은 포인트 가드.

첫 등장시에는 구먼유 같은 사투리 말투를 사용했는데 북산과의 경기에서는 용이라는 말을 말끝마다 붙이는 버릇으로 바뀌었다. 일본판 원판에서는 ~~뿅이라는 말을 말 끝마다 붙이는 버릇으로 나온다.

정우성, 신현철만큼의 압도적인 임팩트는 없지만, 경기 운용, 주장으로서의 팀 멘탈 관리에 엄청난 재능이 있고 절체절명의 순간에도 냉정한 판단을 잃지 않는다. 마지막화에서 감독이 타임아웃을 포기 하고 이명헌의 작전에 모든걸 걸만큼 명문 산왕공고의 주장역을 톡톡히 해낸다.[1]

북산과의 경기에서 몰리는 극한의 상황에도 1번을 제외하고[2] 제 페이스를 잃지 않고 폭넓은 시야와 놀라운 패스 센스와 3점슛과 서태웅의 패스 커트로 경기 시작부터 최후반까지 내내 북산을 몰아친다. 실제로 마지막 화에서 산왕의 마지막 득점도 이명헌의 어시스트에 이은 정우성의 슈팅으로 이루어졌다. 그런 것 치고는 실제로 표현된 장면은 5점 8어시스트[3] 정도에 불과한데, 처음 2점과 17점차로 좁힌 정대만의 3점슛을 카운터치는 3점슛 한방이 전부. 물론 산왕의 득점 중 만화에 드러나지 않은 것이 21점이므로 이명헌의 스탯 또한 더 높아지겠지만, 시합전 이명헌에게 슈팅 비중을 높여줄 것을 주문한 감독의 요청은 그닥 반영되지 않은 듯 하다(...).

신체조건이나 플레이 스타일,어시스트 능력을 보면 존 스탁턴과 비슷한 부분이 있다.

처음 언급될 때 나온 1년전 경기 영상에서는 만화 공식 사기캐인 이정환과의 매치업에서 이명헌의 수비를 제치고 돌파하려는 이정환의 드리블을 커트해내는 모습을 보여준다. 맨투맨 수비로 이정환과 대등하게 맞서서 1대1로 막아내는 장면은 작중에서 사실상 이게 유일. 2학년 산왕공고 비디오 보여줄 때 송태섭이 심지어 "이정환이 아니었다면 이명헌한테 볼 지키기가 어렵다고" [4]

당시 시합도 당연히 산왕의 압승이었기에 이정환이 이명헌에게 발렸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많을 정도. 다만 이정환이 상당히 고전했다고는 해도 그렇다고 해서 어느 쪽이 확실하게 더 우위라거나 하는 언급은 없다. 3점슛이 가능한 이명헌이 약간 더 우월하게 보이기는 한다.

양 선수의 스타일을 비교하자면 이정환은 강력한 파워 플레이로 적극적으로 안쪽을 공략하면서 득점을 올리거나 수비를 무너뜨리고 외곽으로 볼을 빼줘 찬스를 만드는 타입이고 이명헌은 그야말로 포인트 가드의 정석에 충실한 정통파 가드. 굳이 말하자면 스스로의 힘으로 게임의 흐름을 주도하는 역량이나 돌파력, 피지컬은 이정환이 우위지만 포인트 가드로서의 본분인 게임 리딩이나 중장거리 슈팅 능력은 이명헌이 우위로 보인다.예를 들어 축구로 치자면 이명헌이 사비,이정환이 지단정도 될것이다.스타일의 차이이니 어느 쪽이 더 낫다고는 하기 힘들지만 멤버 전원의 기량이 우수하고 포지션 밸런스가 우수한 산왕의 스타일에는 확실히 이명헌 이상의 PG는 없을 듯.
어찌됐건 이명헌이 이정환보다 최소한 아래라고 보기는 힘든게 산왕의 비디오를 보며 북산선수들은 "산왕에는 초고교급 선수가 가드, 포워드, 센터에 하나씩 있는 셈인가..."라고 언급한다. 이 3인방은 말 그대로 고등학교의 수준을 넘어선 선수들이란 소리. 게다가 정우성은 연습에서는 이명헌, 신현철같은 선수들이 있어서 집중할 수 있었지만, 타팀과의 시합에서는 전국대회에서조차 제대로 붙어볼만한 상대가 없어서 지루해하고 있었다는 걸 보면, 이 둘은 다른 선수들과 다르게 그나마 정우성과 상대는 됐다는 얘기다. 또한 이명헌이 남아있다는 말을 듣고 채치수가 식은땀을 흘리며 "주전이 한 명 남아있는 건가... 권준호는 모두 태섭이를 지원해서 어떻게든..."이라고 하는데, 이 말은 이명헌 한명만 봐도 북산멤버 전원이 공포를 느낄 만큼 엄청난 존재라는 것이다. "모두 태섭이를 지원해서"란 말에서 보면 해남전의 이정환처럼 이명헌을 다굴이칠 작정을 한 모양.

수비에서도 빠른 백코트나, 180cm의 신장임에도 불구하고 168cm인 송태섭보다도 자세를 낮게 잡으며 수비하는 모습 등 신현철과 더불어 이 작품에서 사각이 없는 가장 완성된 선수라는 느낌.[5]. 덧붙여서 독자들은 눈치채지 못한 부분이지만 전.후반을 다 뛴 멤버 중 유일하게 강백호에게 당하지 않은 인물이다.(김낙수는 후반에 안 뛰었으니 제외.) 이는 그가 득점을 잘 안 한 점도 있지만 그만큼 그의 경기 운영능력이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정우성이나 최동오, 정성구만큼은 아니지만 실력의 편차가 나름 심한 선수다. 단적으로 송태섭에게 인테셔널 파울을 저지른다거나 정우성에게로 가는 패스를 송태섭이 커트하는 걸 막지 못한다던가. 하지만 북산이 추격 의지를 불태울 때는 3점슛을 때려넣는다던가 서태웅의 패스를 커트한다거나 송태섭의 몸에 공을 맞게 해 강백호가 부상을 감수하며 루즈 볼을 살려내야 할 정도의 실력을 발휘한다. 실제로 이정환도 상대가 추격의지를 불태울 때 조심해야 할 선수로 언급할 정도.

후일담에서는 교실에서 턱을 괴고 조용히 앉아있는것을 풀이 죽어있는거라 생각한 정성구김낙수가 '북산전에서 진건 이미 지난일이니 생각해봤자 소용없다'고 격려하지만 실은 그저 ~뿅에 이은 새로운 말버릇을 궁리하고 있었을뿐이었다. 이에 정성구는 식은땀을 흘리며 '농구에 관해서는 정말 존경하고 있으니 말이지, 후카츠(이명헌의 일본판 성)'라고 뇌까린다...
  1. 경기 시작 직후 북산의 기습공격에 경기장 전체가 놀랐으나, 혼자 냉정한 판단과 빠른 속력으로 볼을 몰고 가 2:2 동점으로 만들고 "같은 2점이다"라는 명대사를 간지나게 날려줬다. 안선생님도 그런 와중에서도 이명헌은 역시 특별하다고 얘기.
  2. 인텐셔널 파울을 송태섭에게 했다.
  3. 어시스트는 판단하기 애매한 장면들도 있다
  4. 윤대협의 수비도 이정환을 어느 정도 애먹이긴 했지만 아무래도 버거운 인상이었다. 물론 이정환도 윤대협을 상대로 고전했고 종합적으로 둘의 대결은 거의 호각이었지만. 변덕규가 빠진 능남과 동등할 정도로 이정환 외 해남 멤버는 안습 다만 이건 남진모 감독이 홍익현을 투입하지 않아서 벌어진 일이다.
  5. 꼭 뽑자면 경기 전 감독과의 대화에서 보이듯 득점을 잘 안한다는 것 정도이나, 북산전에서 득점은 은근히 많고 슈팅 능력은 확실히 뛰어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