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식론

認識論 Epistemology, theory of knowledge

1 개요

인식론은 혹은 지식의 본성과 범위를 연구하는 철학의 분과에 해당한다. 즉 사람이 무언가를 안다는게 어떤 것인지, 사람이 무언가를 어떻게 알 수 있는지 등을 탐구하는 것이 주된 과제다.

'존재'를 주로 다루는 형이상학과 더불어 서양 고대철학 시기부터 철학의 핵심 분야로 간주되었고, 특히 근대 철학 시기엔 데카르트로크 등의 철학을 통하여 가장 중요한 학제 중 하나로 다루어졌고, 데이비드 흄 이래 형이상학과는 상당부분 분리되었다고 여겨지고는 한다.

2 인식론의 주된 문제

  • 정당화된 참인 믿음은 모두 지식인가: 플라톤의 『테아이테토스』 이래 앎은 '정당화된 참인 믿음(justified true belief; JTB)'이라고 받아 들여졌다. 하지만 에드먼드 게티어는 그에 대한 반례로 보이는 두 가지 사례를 제시하였다[1]. 이들 반례는 정당한가? 만약 그렇다면 우린 기존의 '앎' 정의를 어떻게 수정해야 하는가?
  • 인식적 정당화란 무엇인가: p라고 믿는 것은 어떤 경우에 정당화되는가? p를 지지하는 어떤 확고한 토대 믿음이 있을 때인가? 그런 토대 믿음이라는 게 있는가? 혹시 p라는 믿음은 다른 모든 믿음과 아귀가 맞으면 곧 정당화되는 것 아닌가? 어쩌면 p가 앎이 되기 위해서 그런 '내적 정당화' 과정이 꼭 필요하지는 않은 것일 수도 있지 않을까?
  • 우리가 아는 게 있는가: 데카르트의 책이나 매트릭스에서 상상되었듯이 어쩌면 악령이나 외계인 같은 게 우리를 통 속에 가둬 두고 거짓 정보를 보내는 건 아닐까? 그렇다면 우리가 믿는 믿음 대부분은 틀리는 것일 텐데, 우리의 믿음은 과연 여전히 정당한 앎인가? 어떻게 확실한 믿음을 확보할 수 있을까? 통 속의 뇌 참조.

3 인식론의 하위 분야

  • 진리론(Alethiology)[2]
  • 형식인식론: 논리학, 확률론, 통계학 등의 형식과학에서 발생하는 인식적 문제를 고찰하는 분야.
  • 사회인식론

4 인식론을 다루는 작품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분석철학 문서의 221판, 3.4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1. Edmund L. Gettier, "Is Justified True Belief Knowledge?" Analysis, Vol. 23, pp. 121–23 (1963).
  2. 다만 진리론의 경우 인식론이 아닌 형이상학에서 다룬다고 보는 견해도 유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