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갑옷

일본갑옷(니혼캇추: 日本甲胄)
일본에서 사용된 갑옷을 총칭하는 말.
요로이(鎧)라고 부를 때는 갑옷 그 자체를 통칭하는 말이며, 풀 슈트를 표현할 때는 요로이가부토(鎧胄)라고 부른다.

1 일본 갑옷의 역사

일본도 사람이 사는 동네이니만큼 선사 시대에 해당하는 야요이 시대부터 갑옷이 있었다. 가죽제를 비롯한 다양한 갑옷이 있었다고 전해지나 유기질이므로 유물은 남은 바가 없다. 다만 나무를 깎아서 만든 목갑이 현존하며, 이 형태가 고분 시대의 단갑(短甲)과 유사하여 단갑의 스타일의 원조로 인정되고 있으며 일본의 전통적인 양식, 또는 삼국과의 활발한 교류에 의한 스타일의 공유로 추정된다.

야마토 정권이 일본의 주도권을 잡고 세력을 확대해 간 고분 시대에는 단갑(단코:短甲)과 괘갑(掛甲)이라는 갑옷이 주류를 이루었다. 단갑은 일본과 신라, 백제, 가야에서 공유하고 있던 것으로 철판의 연결 방식과 패턴에 따라 종장판갑, 횡장판갑 등으로 구분한다. 단갑은 철판을 리벳으로 연결하여 몸에 맞게 제조한 철판갑옷, 즉 라미나 아머(Laminar Armour)로써, 기본적으로 몸통만을 방어하는 것이었으나 나중에는 어깨와 다리를 방어하는 부품들도 등장한다.

헤이안 시대 후기에 이르러 지방에서 사무라이들이 크게 세력을 늘리고, 중앙 정치에도 개입하기 시작하는데 이때부터 확인되는 갑옷이 바로 오오요로이(大鎧)이며, 일본 갑옷 하면 바로 떠올리는 바로 그 모양새이다. 투구의 커다란 V자 장식, 얼굴 옆부분의 커다란 판, 사각형의 거대한 어깨 보호구, 형형색색의 화려한 실로 엮은 외장에 이르기까지 이후 1000년간의 일본 갑옷의 기원은 직접적으로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시대에는 무사들이 말을 타고 원거리에서부터 활을 쏘며 접근하여 근거리 저격전으로 들어가는 전투 양상이었고, 오오요로이는 화살에 대비하여 크게 펑퍼짐하고 갑옷과 맨살 사이에 넉넉한 공간을 두는 경향이 있었다. 하급무사들의 갑옷으로는 도오마루(胴丸)이 있었는데, 걷기 편하게 만들어졌고 이때에는 투구 말고는 다른 부속품이 따로 없었다.

가마쿠라 막부시대까지는 오오요로이가 대세를 타고 있었지만 몽골침공 이후 벌어진 사회 혼란속에서 대두된 악당(惡黨)이라는 신흥 무장세력과 그들의 새로운 전투 방식은 더이상 고리타분하고 의식화된 마상 활쏘기 전투가 아닌 산악에서 매복하고 기습하며 지형을 충분히 활용하는 전투 방식이었고, 전쟁의 형태 자체가 바뀌어갔다. 그래서 몸에 딱 붙고 도보전투가 간편한 도오마루가 정규 장비로 격상되어 투구를 비롯한 다양한 부속품이 붙어 풀 슈트의 제식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전투 양상은 가마쿠라 막부 멸망에서 겐무 신정, 남북조 시대에 이르는 수십년간의 내전기간 중 완전히 정착되며, 간이 장비로 여겨졌던 하라마키(腹卷)까지 가볍고 활동이 편하다는 점 때문에 정규 장비로 격상되게 된다. 또 이 내전기간 동안 방어가 부실했던 무릎과 허벅지 부분을 가리는 하이다테(佩盾)가 등장하고, 왼팔에만 차던 팔 보호구인 고테(籠手)를 양팔에 모두 차게 되는 등, 일본갑옷의 방어 범위와 방어력이 크게 향상된 시기이기도 하다. 이때는 이러한 갑옷의 강화와 중장화에 따라 백병전용 무기가 크게 흥하였고, 금쇄봉이나 가리봉같은 타격무기, 노다치, 나가마키, 같은 신무기들이 많이 등장하였다.[1]

무로마치 시대 후기와 전국시대에 당세구족(도오세이구소쿠:當世具足)이라는 양식이 등장한다. 당세구족이란 요즘 시대의 갑옷이라는 뜻인데, 그 양식이 굉장히 다양해서 그 특징을 한번에 말하기 어렵다. 이 시대의 주요한 변화는 소찰을 엮어 만들고, 그 실도 굉장히 촘촘하게 엮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큰 철판을 사용해 갑옷을 만들고, 실도 꼭 필요한 만큼만 듬성듬성 엮어서 기존의 갑옷에 비하면 화려함이 덜하지만, 실용성은 매우 좋고 양산하기 편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이 점은 현대 재현갑옷에서도 동일해서 소찰을 엮어 만드는 고전 갑옷은 그 가격이 수백~수천만원이지만, 당세구족은 싼 것은 수십만원에도 구할수 있다는 점이다.

또 크게 보급된 총기류에 대한 방어를 신경썼다는 점도 특징이다. 유럽제 판금 흉갑과 투구(모리용 투구)를 수입해서 일본식으로 개조해서 쓰기도 했으며, 총알을 막을 수 있다고 알려졌다. 이러한 유럽제 판금 흉갑을 남만동(南蠻胴)이라고 불렀고, 차후일본인의 체형에 맞추어 국산화시키기도 했다.

에도 시대에 들어서는 더 이상 갑옷이 실전에서 사용되지 않았으므로 갑옷도 실전용이라기보다는 장식용으로써 더 선호되었다. 그래서 당세구족보다는 과거의 오오요로이 양식이 주류를 이루었다. 막부 말의 혼란기에 다시 갑옷이 사용되었는데 이때의 갑옷은 과거의 당세구족이 아니라, 쇠사슬로 짠 쿠사리 카타비라로써, 옷 밑에 받쳐입어 칼싸움에서 살아남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였다. 접이식 간이 투구나 가죽제 방어구도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갑옷 착용은 유신세력과의 갈등이 내전으로 비화되면서 더이상 최신예 유럽식 소총과 대포앞에서는 갑옷이 실전에서 의미있는 방어력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이 입증되면서 완전히 소멸하게 된다.

2 일본갑옷의 종류

2.1 용어

다음은 일본갑옷을 이해하는 데 있어 기본적인 용어이다.

  • 가부토(兜) - 장교용 투구.
  • 진가사(陣笠) - 사병용 투구.
  • 멘구(面具) - 얼굴을 보호하는 마스크. 전체를 덮는 것과 밑만 덮는 것이 있고, 뺨과 턱만 가리는 것도 존재한다.
  • 도오/동(胴) - 몸통부위를 지칭.
  • 소데(柚) - 어깨를 보호하는 부분. 흔히 알려진 사각형의 커다란 것은 오오소데(大柚)라고 부른다.
  • 쿠사즈리(草接) - 동에 연결된, 아랫배와 사타구니를 보호하는 늘어진 부분.
  • 하이다테(佩盾) - 허벅지와 무릎을 가리는 부분. 허리에 둘러 착용하며 쿠사즈리가 가려주는 부분은 그냥 천으로 되어 있고 쿠사즈리가 못 가리는 부분부터 갑찰들이 붙어 있다. 쇠사슬로만 만든 것, 사슬과 철판을 결합시킨 것, 소찰을 엮어 만든 것 등 그 방법과 스타일이 매우 다양하다.
  • 전단판, 구미판 - 오오요로이의 동에 부속된 것으로 겨드랑이 노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 고테(籠手) - 팔을 보호하는 장비. 팔 전체를 천으로 만든 고테 안에 쑥 집어넣기 때문에 농수라는 이름이 붙었다. 가마쿠라 시대만 하더라도 다 천이고 방어판의 범위가 적었지만, 점차 시대가 갈수록 방어범위가 팔 전체를 다 덮게 되고 철판과 쇠사슬을 사용하여 움직이는 부위까지 철저하게 방호하게 된다.
  • 진바오리(陣羽織) -모모야마 시대때부터 전국무장들이 방한용으로서 갑옷위에 걸쳐 입던 겉옷인 하오리(羽織)의 일종이다.

2.2 스타일

  • 단갑(短甲)
  • 괘갑(掛甲)-찰갑을 말한다.
  • 면오갑(綿襖甲)

파일:Attachment/일본 갑옷/12066253.jpg
면오갑을 입은 병사(가운데)와 괘갑을 입은 병사(오른쪽)가 귀족을 제지하는 모습.*에헤이, 아저씨! 술먹고 마부 밀쳐내고 마차 몰았으면 저희랑 같이 경찰서로 가셔야죠! 아...아니, 잠깐 화장실 좀... 면오갑과 괘갑은 둘 다 대륙에서 전래된 것으로, 괘갑이 먼저 들어온 후 당나라 때 중국에서 면오갑이 전래되었다.

  • 도오마루(胴丸) - 오오요로이와 동시기에 사용된 갑옷. 그러나 오오요로이가 말을 타고 활을 쏘는 정규 무장의 갑옷이었다면 도오마루는 걸어다니고 정규 무사를 보조하는 하급무사의 갑옷이었다. 따라서 오오요로이와는 달리 소데와 같은 정규 갑주의 부속물이 원래는 붙지 않았으며, 복잡하게 착용하는 오오요로이보다 간소하여 와키다테를 따로 착용할 필요가 없이 그냥 입고 두르고, 어깨끈과 옆쪽 끈을 묶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착용이 가능했다. 더불어 도보를 상정하였기에 A체형의 오오요로이와는 달리 H체형의 스타일을 가지고 있었으며, 걷기 편하도록 쿠사즈리도 여러개로 나누어져 있었다.
가마쿠라 시대까지만 하더라도 하급무사들이나 착용하는 갑옷이라는 선입견이 있었지만 몽고습래를 비롯해 전투방식이 변화하게 되는 과도기를 거치면서 점차 정규 무사들도 도오마루의 가능성에 주목하게 되고 점차 소데를 갖추고 정규 무장의 풀슈트로 사용되게 된다. 오오요로이의 상체 양식에 도오마루의 쿠사즈리를 장착한 것이 확인되기도 하며,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에 이르러서는 갑옷의 비율이 도오마루와 하라마키로 완전히 이행하게 된다.
  • 히메요로이(姬鎧) - 의외지만. 여성을 위한 갑옷이였다. [1]일본에서 여성은 전쟁 중에는 남자는 밖에서 주군을 보필하며 전쟁터에 있을 때, 가족을 보호하는 의무가 있기 때문이었다.
  • 하라마키(腹卷) - 도오마루보다 좀 늦게 출현하였다.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하급무사들이나 착용하는 물건으로 여겨졌으나, 도오마루와 마찬가지로 전술 변화 때문에 정규 장비의 위치까지 올라갔다. 도오마루와는 달리 등쪽이 갈라지며, 허리 뒤쪽에 연결된 끈을 당겨 배 쪽에서 매듭을 짓는다. 그러다 보니 등쪽이 완전히 폐쇄되지 않고 살짝 벌어져서 틈새가 드러났는데, 이것을 보완하기 위한 후판이 따로 존재했다. 남북조 시대까지는 그러한 후판의 착용을 경시하는 풍조가 있었지만, 무로마치 시대부터는 너도나도 착용하기 시작했다. 목숨에 장사 없다.
  • 하라아떼(腹當) - 앞서 나온 갑옷들이 등까지 다 가려주는 데 비해 하라아떼는 배를 중심으로 앞만 가리며, 등쪽은 완전히 텅 비어있다. 쿠사즈리고 형식적으로 아주 짧게 붙어있는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그야말로 간이형 갑옷이라고 부를 물건. 도오마루나 하라마키가 하급무사의 물건으로 취급되다 정규 장비로 격상된 것과는 반대로 끝까지 하급무사의 장비로만 여겨졌으며, 정규 무사가 사용할 경우에도 평복 속에 호신용으로 입는 등의 간단한 용도로만 사용되었다.

3.jpg

  • 도오세이구소쿠(當世具足) - 당세구족으로도 부른다. 뜻은 현대의 갑옷. 이 이름이 전국시대 그 당시에 붙은 것이기 때문에 전통적인 찰갑 계열의 하라마키까지의 물건들과 구분하는 용도에서 붙은 이름이다. 괘갑의 영향을 받아 작은 소찰을 끈으로 엮는 방식으로만 만들어진 오오요로이~하라마키에 비해 통짜 철판을 많이 사용하고, 끈의 비중이 크게 줄어들었으며, 몸에 타이트하게 맞는 스타일로 변화된 것이 가장 큰 식별 포인트이다. 제작 방식은 아주 다양하며, 당세구족 이전 양식과 절충하는 경우도 있었다. 사진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갑주로, NHK사극 등지에서 자주 그 모습을 보인다. 서양과 교류가 늘어나면서 난반(남만)갑주라고 해서 발전된 플레이트 아머의 흉갑이나 파츠들을 혼합해서 입는 스타일도 있었으며 카부토의 형태가 유럽 투구와 흡사한 경우도 있었다. 고증에 충실한 일본 사극이라면 드물지 않게 얼굴을 비춘다.

0000225_0.jpg

  • 오카시구소쿠(御貸具足) - 영주가 병사들에게 빌려주는 갑옷. 전국시대에 들어 아시가루(足輕)을 징집하게 되었으므로 그들의 무장을 지급해야 할 필요가 생겼기 때문에 등장한 갑옷이다. 당세구족의 형식을 띠고 있으며 그 스타일이 정규 장비에 비해 매우 간단하다. 몸통을 보호하는 동(胴)과 쿠사즈리(草接), 정강이를 보호하는 스네아떼, 팔을 보호하는 고테(籠手)등으로 구성된다. 재질은 철, 가죽, 종이 등으로 천차만별. 투구인 진가사(陣笠)가 장수들의 투구와는 달리 머리 옆면을 보호하지 못하고 모양도 그냥 삿갓처럼 생겼다.
  • 쿠사리 카타비라 - 주로 에도시대 말의 혼란기간에 많이 사용된 갑옷. 일본에서 사슬은 방어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전국시대까지는 팔과 같은 유연함이 필요한 부분의 연결부를 방어하는 용도로 사용될 뿐이었으나, 에도시대 말기에는 가벼우며 착용이 편하고 도검의 베기를 막아준다는 이유로 옷 밑에 받쳐입고 싸움에 나설 때에 사용되었다. 막부 말의 혼란함이 결국 막부와 유신세력간의 정규 내전으로 비화되자 당연히 총알을 막지는 못했으므로 퇴출되었다.

2.3 투구

s4.jpg

  • 진가사(陣笠) - 사극에서 군졸들이 흔히 쓰고 다니는 삿갓 모양의 투구이다. 아시가루들만 착용하며 사무라이 이상은 착용하지 않는다. 모양이 모양인지라 얼굴과 머리 옆, 뒷부분은 방어가 안된다. 종류에 따라 자신이 모시는 주군의 문양이 새겨져 있는 종류도 있다. 튜닝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었는데 일부 진가사는 옆면을 충각부추처럼 철판을 가로로 늘여뜨려서 덧대기도 했다.
image4.jpg image22.jpg
  • 충각부주 - 미비부주와 함께 고분시대 일본 투구의 대표적인 양식. 철판을 가로로 늘여뜨려서 둥근 투구 형태를 만든 뒤 이마 중간부터 뒤로 이어지는 철판을 덧대고 볼과 뒤통수를 가리는 철판을 층층이 이어붙인 형태이다. 가야, 백제 지역에서도 소수 발굴되고 있다.
image7.jpg image6.jpg
  • 미비부주(차양주) - 역시나 고분시대 일본 투구의 대표 양식. 한반도의 종장판주처럼 철판을 세로로 이어붙여 형태를 만든 뒤 차양을 달았다. 역시 가야, 백제 지역에서도 소수 발굴되고 있다. 이에 대해 일본 학계에서는 한·일간 교류 과정에서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도래한 장인들이 일본에서 만든 것이 백제와 가야로 역수입된 것이 아닐까 하는 견해를 냈으며 국내에서도 대체로 그런 견해를 따르고 있다. (주류 학설은 아니지만 한반도에서 만들었을지도 모른다는 견해를 제시하는 학자들도 있긴 하다.) 근초고왕(드라마)계백(드라마)의 백제 병사들은 차양투구를 쓰고 있다. 고증이 제대로 안된 것이 문제지만.
image25.jpg image21.jpg
  • 몽고발형미비부주(종장판차양주) - 종장판주 자체는 한반도에서 유행한 양식으로 일본에서는 출토 예가 매우 적다. 차양투구와 혼합된 특이한 형태는 한반도와의 교류과정에서 생긴 것이 아닐까 하는 추측이 있다.

1011-01.jpg

  • 호시가부토(星兜) - 호시가부토는 철판을 리벳으로 연결한 헤이안~가마쿠라 시대에 등장한 투구를 일컫는다. 이른바 몽고발형 투구처럼 위로 뻗은 긴 철판을 여러개 나열하여 하나의 돔을 만들었는데, 과거에는 끈으로 묶어서 연결했지만 이 호시가부토는 리벳으로 연결했다. 투구를 하나의 천구(天球)로 보았기 때문에 리벳을 별(星)이라고 불렀고 따라서 호시가부토라고 부르는 것이다. 호시가부토는 2개로 나뉘는데 다음과 같다.

20130417-3.jpg

  • 이가보시가부토(厳星兜) - 호시가부토의 한 종류. 여러 판을 고정하는 리벳이 커다란 것이 특징이다. 헤이안~가마쿠라 시대까지 애용되었고 오오요로이와 한 세트로 각광받았으나 가마쿠라 시대부터는 리벳이 작은 코보시가부토가 애용되면서 사장되었다. 일본갑옷 하면 떠올리는 바로 그 형태로 후키카에시(吹き返し)[2]가 매우 큰 것이 특징.

  • 코보시가부토(小星兜) - 가마쿠라 시대부터 등장하고 에도 시대까지 선호된 투구. 이가보시가부토와의 가장 큰 차이는 투구의 돔 부분을 구성하는 철판을 연결하는 리벳(星)이 매우 작고 많은 숫자가 박혀 있다는 것이다. 리벳이 작으므로 작은 별이라는 뜻의 코보시(小星)이라 부르는 것. 스타일은 시대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20120612_584307.jpg

  • 스지가부토(筋兜) - 가마쿠라 시대부터 등장한 투구. 기존의 호시가부토가 리벳을 돌출시킨 데 비해, 리벳을 박은 다음 겉을 연마하여 평평하게 만들어서 겉으로는 철판 가장자리 말아놓은 부분만 보이기 때문에 마치 줄기같다고 하여 스지가부토라고 불리는 것이다. 기존의 호시가부토가 오오요로이와 한 셋트로 인식된 데 비해, 스지가부토는 도오마루나 하라마키와 어울리는 새로운 스타일로써 사용되었다.

12257_163479120314110202447_300.jpg

  • 아고타나리 스지가부토(阿古陀形筋兜) - 스지가부토의 한 종류. 무로마치 시대에 수입된 식물인 아고타우리(阿古陀瓜)의 형태를 본따서 디자인한 것이다. 그때까지의 투구가 반구형의 디자인이었던 것에 비해, 이 아고타나리부터는 위가 움푹 눌린 듯한 형태를 띠게 되었다.

04.jpg

  • 즈나리가부토(頭形兜) - 전국시대를 상징하는 양산형 투구. 기존의 투구가 철판을 옆으로 이어가며 돔을 형성하는 방식인 데 비해, 이것은 커다란 철판을 여러장 이어 접합해서 만들기 때문에 제작기간이 짧고 쉽게 만들 수 있으며 튼튼하고 가격이 쌌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다이묘부터 하급병사에 이르기까지 많이 보급되었다. 즈나리가부토에는 3개의 종류가 있으며 사용되는 철판의 숫자와 방식에 따라 3판식과 5판식이 있다. 다음은 3종의 즈나리가부토 양식이다.

img_11.jpg

  • 코즈나리(古頭形兜) - 즈나리가부토 최초의 디자인. 무로마치 말기(이미 전국시대)에 등장했다.

f0a2f2d9289c3e055712360b266ec2a5.jpg

  • 엣츄(越中) - 후우젠노쿠니(豊前國) 코쿠라번주(小倉藩主 호소카와 타다오키(細川忠興)가 직접 디자인하고 스스로도 전쟁터에서 착용했던 즈나리가부토의 한 종류. 다른 즈나리가부토와는 달리 머리부분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더불어 모자의 챙에 해당하는 마비사시의 라인이 일직선으로, 마치 독일군 철모의 앞부분처럼 생겼다는 점도 특징.

  • 히네노 가부토(日根野兜)- 사나다 유키무라가 썼던 투구로 알려지며, 즈나리가부토에 사슴뿔 장식이 달린 것이 특징.

  • 톳빠이나리 가부토(突盔形兜)

  • 시이노미나리 가부토(椎実形兜)

  • 난반나리 가부토(南蛮形兜) - 유럽의 투구를 수입하여 일본식으로 개조한 투구. 주로 16세기 당시 많이 쓰이던 모리용 투구가 사용되었다.

e6c645374332314a102b3c875aeba2749fb51763.25.1.12.2.jpeg

  • 가와리 가부토(変わり兜) - 장식이 매우 화려하고 큰 투구이다.

Kurourusinurimomonaridaisuigyuwakidatekabuto.jpg

  • 모모나리 가부토(桃形兜) - 구로다 나가마사가 임진왜란 당시 쓰다가 세키가하라 전 우호의 목적으로 후쿠시마 마사노리와 투구를 교환하여 마사노리의 투구가 되었다.
  • 우에게가부토

  • 하리카케가부토(張懸兜)

20130301_1078532.jpg

  • 쵸친가부토(提灯兜) - 접이식 투구. 보통 투구에서는 접히지 않는 돔 부분까지 끈으로 엮어 접히도록 만들어놓았기 때문에 고정핀을 풀고 내려놓기만 하면 좌라라락 접혀서 마치 원판처럼 휴대할 수 있다.

1323309625953.jpg

  • 네리카와가부토(練革兜) - 네리카와가부토는 가죽을 경화시켜 단단하게 만든 것으로써 투구를 만든 것이다. 경화시킨 가죽은 매우 튼튼해서 도검의 베기도 막아냈기 때문에 이미 헤이안시대 이전부터 투구나 갑옷의 재질로 쓰기도 하였으며, 일본갑옷의 역사 전반에 걸쳐 사용되었다. 자연히 이가보시가부토에서부터 하치가네에 이르기까지 모든 양식의 투구가 모두 네리카와로 존재했다. 즉 달리 양식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가죽으로 만들었으면 모두 네리카와가부토이다.

img10094576720.jpeg

  • 하치가네(鉢金)- 막부 말에 등장한 간이형 방호구. 막말의 암살과 결투 등의 상황에서는 중장비 갑옷이 나올 여건이 아니었기 때문에 주로 이마 정도만 보호하는 접이식의 간이 투구가 사용되었는데 이것이 하치가네였다. 이후 내전으로 비화되고 나서도 역시 신형 소총 앞에서 갑옷이 쓸모없었기 때문에 하치가네가 일부 사용되었다. 주로 이마와 앞부분 머리 정도만 가리는 것이 많지만, 접히지 않는 것이나 야구의 포수 헬멧과 비슷하게 생겨 얼굴까지 보호해주는 것도 있었다. 나루토가 생각나면 지는거다

3 이야깃거리

  • 일본갑옷은 굉장히 화려하고 특히 당세구족에 이르면 투구에 다는 장식물(다테:立)이 기상천외한 것까지 나올 만큼 다양해진다. 이것은 중세 일본 사회에서 사무라이가 취직하고 출세하려면 전쟁터에서의 자신의 활약상이 눈에 띄어야 하기 때문에 일부러 화려한 갑옷을 입고 자기PR을 하기 위해 그러는 것이었다. 장식물이나 갑옷의 색깔, 엮는 실의 색상을 다채롭고 개성적으로 하는 것은 자신만의 개성을 나타내어 지휘관들의 눈에 인상적으로 비춰지기 위해서이다. 다 먹고 살자고 하는 짓이지
  • 그래서 오오요로이~하라마키와 같은 찰갑계 일본갑옷의 경우 형형색색의 실을 잘 배치해 엮어 겉으로 보면 철판은 안보이고 실만 보일 지경. 실이라고는 해도 실을 엮어 만든 두꺼운 끈 같은 것이다. 덕택에 모르는 사람들은 털가죽 갑옷으로 착각하기도 한다. 다만 칼에 한번 베이면 베인 자국대로 실이 좌라라라락 끟어져 수리하기가 매우 거시기했다. 원래 끈을 잔뜩 엮어놓는 것은 몇군데 실이 끟어진다고 갑옷 전체가 붕괴하는 걸 막기 위한 방법이며 찰갑류의 특징이지만 오오요로이~하라마키와 같은 갑옷은 자기PR을 위해 지나칠 만큼 끈을 많이 엮어놓았기 때문에 그런 감이 더 심했다.
  • 하라마키까지는 철판의 색보다도 엮는 실의 색상과 적절한 색깔 배치로 패턴을 만드는 방식으로 화려하게 했지만, 당세구족부터는 실을 과도하게 엮지 않아 듬성듬성한 대신 철판에 색칠하는 방법으로 스타일을 살렸다.
  • 플레이트 흉갑을 수입한 남만동은 총알 막는 갑옷으로 명성이 대단했는데, 그도 그럴 것이 당시는 16세기로 유럽에서는 이미 화승총이 대량으로 사용되던 시절이었으며 총알을 신경쓰고 갑옷을 만들었기 때문에 수입된 것들도 그만큼 두껍게 만들어졌다. 다만 일본인들에게는 너무 무겁고 체형에 맞지 않는다 하여 그다지 많이 쓰이지는 않았다.
  • 전국시대를 다룬 사극에서 흔하게 나오는 다다미구족 형식의 당세구족은 실제로는 거의 쓰이지 않은 마이너한 양식이었다. 그런데 많이 쓰이는 것은 사슬로 철판을 연결한 거라 접을 수 있어서 운반과 적재가 편리하기 때문이다. 어른의 사정이라고 할 수 있다.
  • 국내에서 방영된 불멸의 이순신에서 나오는 일본갑옷은 임진왜란 당시의 당세구족이 아니라, 무로마치 시대 즈음으로 특정할 수 있는 더 옛날 갑옷이다. 이것 때문에 까이기도 했지만, 사실 일본 국내에서도 전국시대 배경 사극에 보다 옛날 갑옷을 사용하거나, 실제 무장들이 사용한 양식과 틀리게 만드는 경우가 있었다. 멋이 없다던가 혹은 비싼 갑옷가격 때문에 기존의 물건을 재활용하는 경우였다. 불멸의 이순신의 경우는 전자였고, 일본의 경우는 대부분 후자이다. 특히 일본의 경우 카게무샤(1980)에 사용된 이치노타니 투구가 2000년대 사극에 나오는 것도 볼 수 있다.
  1. 창은 헤이안시대까지 모(矛)라는 이름으로 쓰였으나, 이때에는 방패를 들고 한손으로 잡고 찌르는 무기였다. 이런 무기는 폴암인 나기나타에 비해 전투의 융통성과 다양성이 매우 부족하여 쉽게 제압될 수 있었기 때문에 점차 모는 쓰이지 않게 되었고, 헤이안 후기부터 남북조시대까지 백병전 무기의 1번은 단연 나기나타였다. 일본에서 창(야리:槍)이란 두손으로 잡고 쓰는 것을 호칭하며, 이 시대의 군기모노가타리(軍記物語:논픽션 군대소설. 황당한 소설에 가까운 것이 있는가 하면 사료적 가치를 지닌 것들도 많아 연구의 주요 자료가 된다.)에 창이라는 단어가 등장함으로써 남북조시대 전쯤에 재등장한 것으로 보고 있다.
  2. 일본 투구 하면 연상하는, 얼굴 옆부분의 확 젖혀지는 바로 그 부분. 당초에는 화살을 막기 위해서였다고 전해지지만 시대가 갈수록 간소화되며, 당세구족 시대로 가면 아예 생략되기까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