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취봉

1 개요

"옳은 일을 해라. 스스로 생각해서 옳은 일을 하는 것이다. 그것이 잘못되었다면 뉘우치고 반성하고... 그릇된 일은 하지 않으려 노력하는 거다. 그것이 협의(俠義)라는 거지. 다른 뭐가 협의겠느냐?"[1]

풍종호 무협소설 『일대마도(一代魔刀)』의 등장인물로, 핏빛의 혈염포로 된 옷을 자주 입고 서시에 비견될 정도의 미녀이기에 혈서시(血西施)라는 별호로 불리운다. 장강오귀(長江五鬼)를 단신으로 도륙해서 그 명성이 널리 퍼졌다.[2]

만박왕(萬博王)의 다섯 제자 중 막내이며, 기종의와 함께 어릴 때 만박왕에게 거두어졌다. 그래서 나이차가 심한 사부보다는 대사형인 위진천(威震天)에게 더 많은 것을 배우게 되는데, 덕분에 사부보다도 위진천과 기종의를 친혈육처럼 가깝게 생각하고 있다.[3] 때문에 위진천의 죽음을 알고 나서는 사부인 만박왕에게 대들 정도이고, 심지어 관외삼살(關外三殺)의 죽음을 알았을 때, 만박왕이 위진천의 죽음을 방조했으리라는 의심이 들자 만박왕을 상대로 살기를 일으키기도 한다.

만박왕이 위전천을 죽인 흉수를 쫓는 추적조를 구성하지만, 임취봉은 위진천을 죽인 흉수에게 직접 복수를 하고자 추적조에 합류하지 않고 따로 행동을 한다. 그래서 개방(丐幇)의 호북맹주인 설개(舌丐) 고량을 꼬드겨 흉수를 쫓는 만박왕의 행적을 뒤쫓기까지 한다. 그러나 만박왕의 눈을 벗어날 수는 없었기에 한동안 만박왕 곁에서 신기루(蜃氣樓)와 연적심의 싸움을 지켜보게 된다. 결국, 연적심의 틈을 노리던 임취봉은 연적심이 영사창(靈蛇槍) 무자허와의 대결 뒤에 바로 이어진 백호인(白虎人)의 공격으로 빈틈이 생기자 암습을 시도한다. 하지만 연적심이 피해버리자 정면대결을 벌이게 되고, 그의 사나운 기세에 몰리다 본능적으로 유운장(流雲掌)의 구명절초인 부풍유운(浮風流雲)을 구사한다. 여기에 연적심은 즉사할 뻔하여 몹시 분노하고 임취봉을 죽이려 하는데, 갑작스레 임취봉이 울어버리자 그는 당황하여 칼을 멈춰 세운다. 그리고 이때 기종의의 적절한 도움까지 받아 임취봉은 연적심의 칼날에서 벗어나 구사일생(九死一生)한다.

이후부터는 위진천의 가르침에 따라 연적심의 목숨을 노리기보다는 오히려 그를 구하고자 한다. 연적심이 만박왕과 천외사기(天外四奇)의 합공에 잡히자 그가 갇힌 육천개의 비룡선에 숨어들어가 난리를 피우기도 하고,[4] 백룡와(白龍渦)의 절벽에서는 도(刀)를 부수고 자신만의 길을 떠나던 연적심을 황보추의 암수로부터 구해준다. 그러나 같이 절벽 아래로 떨어져 백룡와의 거친 물살에 휩쓸리고 마는데...[5]

2 무공

대부분 위진천에게 전수받은 무공이다. 위진천에게 전수받은 무공은 실(實)을 중시해서 적을 재기불능으로 만드는 강맹함이 있다. 그리고 백옥조(白玉爪)[6]와 금봉침(金蜂針)이라는 무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 환옥수(幻玉手) : 만박왕에게 전해받은 무공이다. 만박왕의 무공은 허(虛)를 중요시 해서 적을 상처 입히지 않고 제압할 여지가 많아 임취봉이 육천개의 제자인 곽풍을 제압할 때 이 환옥수를 사용한다.
  • 유운장(流雲掌) : 위진천이 임취봉을 위해 특별히 고안한 쓸모없는 허식을 철저히 배격한 임취봉만의 독문장법이다.
  • 배격장(排擊掌) : 한자를 보면 상대의 공격을 물리치는 장법이라는 뜻인데, 임취봉은 문짝을 쳐서 오히려 문짝 뒤에서 기습한 천위단원에게 타격을 준다. 이를 본 천위단주도 이 장법을 배웠는지 알아본다.
  • 이매보(魑魅步) : 귀신이라는 뜻의 '이매'가 붙은 말 그대로 귀신같은 빠르기를 가진 보법이다. 매우 빨라서 오건생이 기습으로 무영창의 수법으로 던진 쌍편간과 속도가 비슷할 정도이기에 연적심을 구해낼 수 있었다.
  1. 임취봉이 만박왕에 의해 갇힌 연적심을 구해내고자 할 때, 임취봉은 위진천이 과거에 한 이 말을 회상한다.
  2. 임취봉의 명성을 널리 퍼지게 한 일이나, 당시의 싸움에서 위진천이 선물한 백포가 벌겋게 물들은 관계로 그녀는 그 일이 언급되는 것조차 싫어한다.
  3. 위진천과 기종의도 마찬가지이다. 특히나 위진천은 이 둘을 매우 아껴서 그 둘에게 어울리는 무공들을 새로이 창안해서 전수해 줄 정도이다.
  4. 사심귀도(邪心鬼刀)를 잡기 위해 만박왕이 꾸민 함정이었는데, 난데 없이 임취봉이 나타나 난리를 친다.
  5. 임취봉이 연적심을 백룡와의 깊은 물결에서 끌어올려 구해준 것이 소설의 마지막에 드러난다. // 이 임취봉이 연적심을 구하는 장면은 본래 '뫼'에서 출간된 초본에는 없는 내용으로, '북박스'에서 재출간 되었을 때 추가 된다.
  6. 백철(白鐵)과 백금(白金)을 섞어서 만든 임취봉만의 병기로 백옥처럼 하얀 손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