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숨기기]1 개요
시공간을 무한히 확장시키는 소리, 잠비나이[1]
Exists Everywhere But Belongs Nowhere[2]
기존에 실행되던 퓨전국악의 한계성과 음악적 고립성을 탈피,전통음악 연주자로서 가지는 사고의 '재배치'를 통해 구현되는새로운 음악을 추구하는 예술집단 잠비나이는 국악을 전공한 동창생들인 이일우, 김보미, 심은용이 모여 이루어진 팀이다. 거문고와 딜레이 페달, 피리와 기타와 해금과 루프 스테이션, 이외에도 수많은 동서양 악기들이 이질적으로 맞부딫혀 이루어지는 이들의 음악은 전통과 탈전통, 정형과 비정형, 동양과 서양 같은 대비들이 하나의 흐름으로 어우러지는 기묘한 경험을 청자들에게 선사하며, 기존의 장르적 음악관에 대한 의문을 부여하고 있다. - 대중음악 평론가 박은석 |
이일우(기타, 피리, 태평소), 김보미(해금), 심은용(거문고) 의 3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명 모두 한예종 전통예술원 01학번 동기라고 한다. 49몰핀즈의 멤버이기도 한 이일우의 서브 프로젝트로 출발했다가 어느덧 정식적인 팀으로 자리잡고, 앨범도 내게 되었다. 국악기들을 기본으로 하지만 이것들을 가지고 국악과는 조금 다른 형식의 곡을 만들고 연주하며, 특히 거의 유일한 '서양악기'라고 할 수 있는 이일우의 기타 소리가 상당히 기괴하고 오묘하게 다가오는 크로스오버 스타일의 음악을 추구한다. 기존의 장르로는 구분할 수 없는 밴드라는 평가를 받으면서 대한민국과 세계 록 음악계에 독보적인 스타일을 보여주고 있다.
두 편의 온 스테이지에서 그들에 대한 좋은 설명을 볼 수 있고 라이브 영상들을 볼 수 있다.
[1]
[2]
2 음반
음반 | 제목 | 발매일 | 타이틀곡 |
EP | 잠비나이 (EP) | 2010.08.31 | 나부락 |
정규 1집 | 차연 (Differance) | 2012.02.02 | 소멸의 시간 |
정규 1집 리마스터링 | Differance (차연, 差延) | 2015.04.30 | 소멸의 시간, 커넥션 |
2.1 EP 잠비나이 (2010)
트랙 | 제목 |
1 | 손끝에서 손끝으로 |
2 | 나부락 |
3 | 나무의 대화2 |
2.2 1집 차연 (Differance) (2012)
트랙 | 제목 |
1 | 소멸의 시간 |
2 | Grace Kelly |
3 | 감긴 눈 위로 비추는 불빛 |
4 | 바라밀다 Part1 |
5 | 바라밀다 Part2 |
6 | 구원의 손길 |
7 | 텅빈 눈동자 Part1 |
8 | 텅빈 눈동자 Part2 |
9 | Connetcion |
2.3 2집 은서 (Hermitage) (2016)
트랙 | 영어 제목 | 한글 제목 |
1 | Wardrobe | 벽장 |
2 | Echo of Creation | |
3 | For Everything That You Lost | 그대가 잃어버린 그 모든 것들을 위하여 |
4 | Abyss | 무저갱[3] |
5 | Deus Benedicat Tibi | 부디 평안한 여행이 되시길 |
6 | The Mountain | 억겁의 인내 |
7 | Naburak | |
8 | They Keep Silence | 그들은 말이 없다 |
2016년 6월 17일 벨라 유니온을 통해 전세계 발매. 곡들이 1집에서는 '한글 제목/영어 부제'로 표시된 것과 다르게, '영어 제목/한글 부제'로 표시되어 있다. 1집 이후 달라진 이들의 위상을 짐작케 하는 대목. 한국의 여러 음악 웹진들에서도 거의 만점에 가까운 호평을 주고 있다.
weiv 리뷰
3 기타
2012년 한국대중음악상 크로스오버부분을 수상했다.
첫 EP는 3명으로만 사운드를 구성하였는데, 1집부터 드럼과 베이스를 추가한 사운드를 들려주고있다. 공연에서의 세션으로는 13스텝스에서 같이 활동하고 있는 류명훈(드럼)[4]과 김동경(베이스)[5]이 도와주고 있었는데 2015년 3월 이후에는 베이스가 비둘기우유의 옥지훈으로 바뀌었고, 2015년 8월 이후에는 드럼이 옐로우 몬스터즈의 최재혁으로 바뀌었다.대선배까지 영입했으니 이제 두려울것이 없다
해금 연주자 김보미는 2012년 나비맛, 2013년 한희정의 앨범에 피쳐링을 해주었고, 밴드 전체가 바세린의 앨범에 피쳐링을 해주었다.
그동안 여러 국내, 해외 페스티벌을 통해 인지도가 아주 조금 올라갔다. 아주 조금이라고 하지만 핀란드, 브라질, 미국 등의 다양한 해외 로케이션 페스티벌에 참가하고 있다. 유튜브의 '소멸의 시간' 공식 뮤직비디오 댓글란을 보면 세계 각국에서의 댓글을 볼 수 있다.
2014년 현재 신보를 준비 중이고 트위터에서 매그니토 이그니토가 참여한다고 밝혔다! 라이브 무대에서 신곡들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2집의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다.
2014년 네이버 뮤직에서 "K-ROCK INVASION"이란 제목으로 잠비나이의 해외 행보에 대한 스페셜 칼럼이 연재되고 있다.
신곡의 라이브 영상들을 볼 수 있다. 정식으로 곡이 발매되면 삭제 바람
2014년 3월 북미 최대 음악 축제 SXSW에 장기하와 얼굴들, 3호선 버터플라이 등과 더불어서 참여했다. 존 레논의 아들 숀 레논이 반했다고 한다(...) 더불어 현지에서도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글로벌 밴드 잠비나이
국악을 소재로 하였고 국내외로 활발하게 활동한다는 점에서 고래야와 공통점이 있으며, 실제로 두 밴드가 합동공연을 한 적도 있다. 하지만 들어보면 알겠지만 두 밴드의 색깔은 정말 많이 다르다. 고래야가 한국 음악과 월드 음악 간의 조화를 중심으로 한 밴드라면, 잠비나이는 한국 음악과 메탈 간의 조화를 중심으로 한 밴드다. 그냥 둘 다 좋다
현재 제목이 정해지지 않은 신곡들은 2곡 정도고, 제목이 정해진 신곡들은 ZEN[7], 그대가 잃어버린 그 모든것을 위하여, 무저갱(feat.이그니토)이다.
2015년 새해, 1집의 리마스터링 LP 발매 소식과 함께 1집 수록곡 'Connection'의 공식 뮤비가 떴다.
2015년 2월, 제 12회 한국대중음악상의 선정위원회 특별상을 수상했다.
2015년 4월 30일, 1집의 리마스터링 음원이 공개됐고, 이어 5월 15일, 리마스터링 CD가 발매되었다.
2015년 11월 5일, 아시아 음악인으로는 최초로(!) 영미권의 대표적인 인디 레이블인 벨라 유니온(Bella Union) [8] 과 계약을 하며 2016년 상반기에 정규 2집을 세계 발매한다는 소식을 전했다. 경사났네 경사났어
그리고 2016년 프랑스의 HELLFEST 무대에도 서게 되었다!!!!!
정규 2집 발매 정보가 떴다. 제목은 은서(隱棲)라고 하며, 영제목은 Hermitage. 2015년 말에 계약한 벨라 유니온을 통해 전세계 발매된다고 하며, 발매 소식과 함께 신곡 '그들은 말이 없다'가 벨라 유니온의 사운드클라우드에 올라왔다.
4 영상
"소멸의 시간" M/V
"Connection" M/V
"나부락" 온 스테이지
"Connection" 서정적인 곡 EBS 스페이스 공감 [9]
"무저갱" (Feat. 이그니토) EBS 스페이스 공감
"그들은 말이 없다"
- 이동 ↑ 온 스테이지 소개글
- 이동 ↑ 최근에 범고래 로고와 같이 쓰기 시작한 밴드 슬로건이다.
- 이동 ↑ 음원 사이트에 적혀 있지 않지만, 후술하듯이 이그니토가 피처링하였다.
- 이동 ↑ 할로우 잰에서도 활동중이다
- 이동 ↑ 13스텝스에서의 담당은 사실 보컬이다(...)
- 이동 ↑ 잠비나이와 함께 술탄 오브 더 디스코와 최고은이 무대에 섰다
- 이동 ↑ 그러나 2집에 수록되지 않았다.
- 이동 ↑ 콕토 트윈즈의 멤버들을 중심으로 생긴 레이블로 플릿 폭시즈, 비치 하우스, 익스플로션스 인 더 스카이, 플레이밍 립스 등이 이곳에 소속되어 있거나 앨범을 냈다.
- 이동 ↑ 시작 전 멤버들의 멘트가 심금을 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