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기 | |||||||||||||||||||||||||||||||||||||||||||||||||||||||||||||||||||||||||||||||||||||||||||||||||||
목관악기 | 플루트 · 피페 · 트라베르소 · 피콜로 · 오보에 · 코랑글레 · 오보에 다모레 · 두둑 · 클라리넷 · 피콜로클라리넷 · 베이스클라리넷 · 바순 · 콘트라바순 · 색소폰 · 리코더 · 백파이프 · 틴 휘슬 · 오카리나 · 대금 · 중금 · 태평소 · 소금· 피리 · 퉁소 · 단소 · 생황 · 훈 | ||||||||||||||||||||||||||||||||||||||||||||||||||||||||||||||||||||||||||||||||||||||||||||||||||
금관악기 | 호른 · 트럼펫 · 트롬본 · 튜바 · 코넷 · 유포니움 · 오피클라이드 | 마우스피스 | |||||||||||||||||||||||||||||||||||||||||||||||||||||||||||||||||||||||||||||||||||||||||||||||||
Free Reed | 멜로디카 · 하모니카 | ||||||||||||||||||||||||||||||||||||||||||||||||||||||||||||||||||||||||||||||||||||||||||||||||||
타관악기 | 오르간(파이프오르간) | ||||||||||||||||||||||||||||||||||||||||||||||||||||||||||||||||||||||||||||||||||||||||||||||||||
기타 | 카주 |
太平簫
1 개요
대한민국의 전통 관악기로 국악기에 속한다. 새납[1]이나 쇄납(嗩吶), 날라리(…)라고 하며 북한에서는 '랄라리'라고 한다.
2 설명
나무로 깎아 만든 관에 구리나 놋쇠 등으로 나팔과 같이 벌어져 있는 '동팔랑'을 끼워 만든다. 입으로 부는 곳에도 따로 금속으로 된 동구(銅口)가 있고 여기에 작은 서(reed)를 끼워 분다. 서는 원래 갈대로 만들지만 요즘에는 플라스틱으로도 많이 만들고, 빈곤한 대학생들은 굵은 빨대를 사포에 갈아서 만들기도 한다. 서가 더블 리드의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양악기의 분류기준을 적용하면 더블 리드를 사용하는 목관악기가 된다. 지공은 뒤에 한 개, 앞에 일곱 개로 모두 여덟 구멍이 있다. 총 길이는 한 자가 조금 넘는 35cm정도이다. 음역은 仲부터 㳞까지이며, 역취하면 㳲까지 낼 수 있다. 물론 㳞보다 높은 음은 따로 음공을 짚지 않고 비성(鼻聲)으로 낸다.
유래에 대해 기록마다 얘기가 분분한데,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이란에서 surna, sorna, zurna 등으로 불리는 악기까지 연결된다. 이 악기가 세계 여러 곳으로 전파되는데, 중국에 들어 와서는 쇄납(嗩吶, 병음: suǒnà)이라는 악기가 되었다. 한국의 태평소는 중국의 쇄납과 유사점이 많다고 한다. [2]
언제 국내에 도입이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기록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태조실록에는 명나라에서 들어왔다고 적는데, 고려때 정몽주가 한시에 태평소 얘기를 한 것을 보면 태조때 들어왔다는 얘기는 신빙성이 부족하다. 또 정약용의 아언각비에 보면 원나라때 들어왔다고 한다.
서를 가지고 연주한다던가 소리가 무척 크고 아름답다던가 음자리가 비슷하다던가하는 것은 피리와 대개 비슷하고, 또 악학궤범에서도 음률이 향피리와 비슷하다고 나와 있다. 하지만 일단 현행 태평소는 향피리와 음정이 다르며, 서도 훨씬 작아서 입 안에 쏙 들어가는 점이 차이가 있고, 또 한 음자리에서도 음이 왔다갔다하는 피리와 달리 같은 포지션에서 여러 음을 내기 힘든 점도 차이점으로 꼽힌다.
무엇보다도 무척 크고 또 쾌활한 음빛깔을 가져서 군대에서 행진곡이나 신호용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대취타의 유일한 가락악기로도 사용된다. 또 풍물놀이에서도 빠질 수 없는 가락악기로 꼽힌다. 태평소 시나위라고 해서 다른 악기들로 치면 산조 비슷한 음악도 있는데, 태평소가 워낙 음이 크고 아름다운 악기이다 보니 다른 악기처럼 장구반주를 하지 못하고 꽹과리 장구 징 북 등 사물놀이 악기로 반주를 하게 된다.[3] 특이하게도 종묘제례악에서도 태평소가 사용되는데, 역대 왕들의 무공(武功)을 찬양하는 정대업의 소무, 분웅, 영관 등에 태평소가 편성되고 경모궁제례악에도 편성된다. 또 시나위라든가 불교의 종교음악 등에서도 쓴다.
소리가 굉장히 크기 때문에 주로 야외에서 연주된다. 그야말로 국악계의 백파이프. 실제로 백파이프와 일견 비슷해보이는 음색때문에 서양인들에게는 익숙하면서도 이국적인 맛을 줘 그쪽에서 비교적 어필할수 있는 국악기다.
3 관련 영상
서태지와 아이들 2집에는 국악을 접목시킨 시도가 보이는데 타이틀 곡 하여가의 클라이막스 부분(1:34~, 4:27~)에 태평소 소리가 또렷이 들린다. 여기서 태평소 반주는 사물놀이로 유명한 김덕수 선생이 했다. 라이브 때는 소리꾼 장사익 선생이 연주하였는데, 원래 가수 이전에 태평소 연주자로 매우 유명했다. 들어보면 굉장히 잘 어울린다.
2008년 퀘벡 세계군악대회 오프닝 연주장면
위 연주장면과 터키의 'zurna' 연주를 비교해보자. 음색 차이가 거의 없다
- ↑ 국립국어원 에서는 '새납'을 표준어로 하고 '태평소'를 허용한다고 한다. 물론 다들 태평소라고 부른다
- ↑ 터키에서는 zurna라고 부르는데, 태평소랑 구조가 똑같다 그러니까, 주르나를 연주하는 사람이 태평소를 연주할 수도 있다는 소리! 다만 터키의 주르나는 나팔부분까지 나무로 되어있고 갈대로 리드를 만들며, 음역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주르나의 경우 파부터 시작해 기본적으로 1옥타브 분량의 지공(앞에 7개, 뒤에 1개)를 갖는다. 크기와 기본음의 종류에 따라 17가지의 다양한 주르나가 존재하며, 대부분은 전체를 목재로 만들지만 가지안텝지방의 주르나는 한국의 태평소처럼 구리위에 주석을 입히거나 은으로 만든 팔랑을 끼워서 만든다.
- ↑ 악기 소리가 크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센호흡으로 불어야 하는 학기라 산조의 진양장단을 도저히 소화시킬 수가 없어서 산조는 없다고 한다. 단, 한일섭에 의해 호적산조가 발표된 적이 있다고 한다. 참고로 한일섭은 아쟁산조, 태평소 산조를 창안했을 뿐 아니라 판소리 장단, 민요 작곡 등 못하는게 없던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