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비 건담

1 개요

b98686fe2143c940eb754b397c19970e.png
장비 건담

5683fd878e9e0b8a1f0c76d2260c7fc6.jpg
뇌장 장비 건담

SD건담 삼국전의 등장인물로 본작 최고의 식신. 일본판 성우는 카토 마사유키, 한국판 성우는 최낙윤. 모티브는 Z 건담, 강화 형태는 뇌장 장비건담으로 무기는 뇌사[1]와 대뇌사[2], 필살기는 폭렬대뢰사와 폭렬초뢰교.[3] 1인칭은 俺様(오레사마).

유비 건담을 형(아니키)이라 부르는 다소 경박한 모습의 캐릭터[4] 로 2화에서 관우 건담과 서로를 황건적이라 오해하고 싸우고 있는 모습으로 첫 등장했다.

관우와 맞승부를 벌일만큼 전투력은 상위권으로 추정되었지만 1쿨(코믹스로 치면 풍운호걸편)에선 어째선지 그외의 네임드 무장과 싸우는 장면이 없었던데다가 유비 관우와함께 호로관 전투에서 3대 1로 여포 톨기스랑 싸우다 발린걸 빼면 딱히 활약하는 구석도 없어서 그다지 강해보이는 인상은 주지못했다. 여담이지만, 코믹스와 달리 애니판에서는 처음부터 어깨 갑옷이 대칭이다. 호로관 전투에서 여포에게 오른쪽 어깨갑옷이 잘리고 그 부분을 보수해서 코믹스 때와 같은 모양이 된다.

2쿨이 시작되면서 무장도 강화된데다가 기령 햄머햄머를 단칼에 쓰러뜨리며 강한 모습을 보였지만 하필 다음에 나타난게 여포(…)라서 순살당한다.

그 이후에도 딱히 활약상은 없고 조운 건담이랑 대련하면서 승부를 내지 못했다고 하는 모습도 보여주지만 문제는 그 조운도 딱히 활약이 없어서 별로 강해보이지 않았다.[5]

그랬는데 45화에서 장판교 이벤트가 드디어 등장하며 그동안의 한을 풀기라도 하듯 혼자서 조조군의 네임드 무장인 서황 서펜트, 장합 자쿠III, 하후돈 기로스, 하후연 다라스, 장료 겔구그를 차례대로 발라버리면서 유비군의 퇴로를 지키고 귀환했다.[6] 사실상 장비로선 이 에피소드가 최고의 활약상.

의외로 초기 프라모델판에선 꽤나 여자들을 많이 만난듯. 형님인 유비와 관우는 다 양자인 유봉과 관평을 들였는데, 얘만 친자식인 장포가 있다.[7]

여담으로, 국내 더빙판 한정으로 여러 드립이 꽤나 많다. 각주에 나온것 외에도, 애니메이션 최종화에서 다리 아프다고 징징댈때 관우가 "거 사내자식이 징징대서 어따 쓸 거냐!"고 까자 하는말이 "시끄러! 난 아빠한테도 혼나 본 적 없다고!!" 다(....)[8]번역팀이 건덕후

2 프라모델 목록

장비 건담
도원결의 세트(유,관,장 클리어)
진 장비 건담[9]
진 유비 건담 삼위일체 세트
진 뇌장 장비 건담
진 용장 유비 건담 삼위일체 세트

3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의 장비건담

속성 : 묵 랭크 : B
특징 : 장거리 다운기+리로드 다운

3.1 무장구성

1. 뇌사
2. 검기공격
3. 폭렬대뢰사
4. 난무형 필살기

3.2 스킬

베테랑 : 저력발동
에이스 : 공격력 업

3.3 설명

유비 형제의 막내. 관우보다 날렵해 보이며 실제로 더 스피디하게 운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묵기로써는 흔하지 않은 장거리 다운기를 보유하고 있다. 스킬이 공격력 향상에 치중되어 있기 때문에 화력 자체는 삼형제중 제일 높은편. 하지만 역시 캐쉬라는 점 때문인지 하후돈/손권/사마의와 함께 보기 힘든유닛중 하나.

뇌사는 세갈래 날이 달려있는 창으로 5타 다운 근접공격을 행한다. 근접공격은 등에 달린 대형 날을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휘두르기 때문에 상당히 짧아보이지만 관우 건담과 비교해서 그다지 짧거나 하지는 않은듯. 근접공격을 성공했을때 왠지 베는 맛 이 아닌 후려치는 맛이 든다는 것도 특징(사운드가 쾅 쾅 터진다). 그때문인지 5타까지 마무리하는 모션이 다소 느리게 느껴진다. 때문에 빠른 칼질후 빠지기엔 여러가지로 애로사항이 많은 편. 관우 건담과 마찬가지로 뇌사를 든 상태에서 대쉬/칼대쉬를 행하면 오른손으로 빙빙 돌리며 달려나간다. 다만 창이 관우보다 작고, 창 날이 작기때문에 관우보다는 의도를 파악하기 힘든편.

검기의 운용은 관우 건담을 참조. 사실 검기가 다 그렇고 그렇지…

폭렬대뢰사는 장비 건담의 등에 있던 큰 날을 뇌사에 장착시켜 용모양의 검기를 날리는것. 대뢰사 상태가 되면 비로소 장비 특유의 사모라는 느낌이 든다. 사용할때 약간의 경직이 존재하며, 탄속이 빠르고 착탄범위도 넓은편으로 공중의 적에게 노리고 쏘면 거진 맞출수 있다.(하지만 이펙트가 워낙 크다보니 느려보인다.) 히트한 적은 다운되며(노련인파 달린 적은 2대 맞아야 다운된다.) 리로드 다운 효과가 있다. 나쁘지 않은 성능이지만 문제는 장비건담이 묵 유닛 이라는것. 다운효과가 있으니 131콤보가 불가능하다.(11113 정도는 가능) 데미지도 그다지 높다고 할 수 없으며 리로드도 상당히 느린편. 자주 사용하기엔 여러가지로 문제가 많다.

관우 건담과 달리 무장구성이 근접보다는 원거리에 특화되어 있다. 게다가 1번 근접기 자체도 그다지 높은 성능이라고 할 수 없는것도 문제. 대신이랄까 검기와 대뢰사를 적절히 운용하면 근접전으로 끌고가지 않아도 적을 농락할 수 있다. 묵기이지만 굳이 커스텀 포인트를 스피드에 넣지 않아도 될지도…(검기를 더 쉽게 운용하고 싶으면 민첩에 2~3포인트정도 넣어주는것도 좋다)

4 슈퍼로봇대전

슈퍼로봇대전 UX에서 삼국전이 참전하기에 당연히 형제들과 함께 등장한다. 꽤나 초반에 등장하며 유비의 합체 공격에 필요하기에 보스를 노린다면 한동안은 필수 출격 유닛이 될 것이다.

본인의 기체 스펙은 삼국전 유닛중에선 장갑이 높지만 기본적으로 SS 사이즈이니 과신할 수 없다. 무장은 모두 격투 판정이고 P무기 하나에 필살기는 사거리가 좀 있는 저격형 무장이다. 화력 자체는 조역 유닛으로서는 나쁘지 않기 때문에 초반에는 나쁘지 않으나, 본인에게 사거리/이동력 보너스도 없고 당연하게 공중 대응도 없기 때문에 진행하면서 늘어나는 공중 저격 유닛에 밀려난다. 일단 장비를 해당 저격 유닛의 파트너로 주는 방법도 없진 않지만 특출나게 강한 것도 아닌데다가 유비가 상렬제로 각성해버리면 결국 존재의의중 하나인 합체기도 써먹기 곤란해지기 때문에 결국 함내 대기 후보가 된다.

시나리오상에서는 기본적으로 개그인데, 어째 조금 미묘하게 메타성(?) 개그를 꽤 한다. 손상향이 삼국지에서 자신의 얘기를 보고 자기는 안그렇다며 부정할 때 대충 맞다며 추가타를 먹이거나 공명한테 공명이 하와와라고 하는 세계도 있는건가 라는 말을 해서 그를 화나게 한다. 그 외에는 공기라는 발언에 민감해서 말만 나오면 "날더러 누가 공기 무장이란거야!" 라며 화낸다.

허나 번개를 다룰 수 있기 때문에 히어로맨 관련 에피소드만 되면 활약이 늘어나는 괴현상을 보인다(...)그래서 사실 유관장중 최고 공기는 관우. 적의 전기 공격을 히어로맨처럼 무시해서 움직여대질 않나 히어로맨 스토리의 막바지에 손상향과 함께 강제 출격하는데다가 해당 에피소드에서 히어로맨에게 전기 에너지를 보내는 장면에 장비도 거드는 등 꽤나 활약한다. 일단 위에서 설명한대로 다른 유닛에 밀리는 것 뿐이지 기본적인 성능 자체는 나쁘지 않기 때문에 적어도 여기까지 키워두면 꽤 편하다.
  1. 뇌장버전의 경우 생김새가 장팔사모와 거의 흡사하다.
  2. 등에 장비되있는 칼날을 뇌사에 장착시키면 대뇌사가 된다.
  3. 애니판 45화에서 사용했다. 연출은 기존 대뢰사의 강화버전.관우는 새로운 필살기가 아직 없는데 장료와의 합동기는 있다
  4. 사실 원판은 그나마 형님에 가까운 호칭이지만 한국판은 재대로 형이라 부른다. 관우의 경우 원판은 유비를 '유비 도령' 또는 '유비님'이라 호칭.
  5. 애니메이션에선 여포랑 조조 건담, 손책 사이살리스가 너무 비중있게 나와서 상대적으로 유비쪽 무장들이 활약을 못했다.
  6. 참고로 한국 더빙판에서는 여기서 빨간 건 세배 빠르다고 믿는 장비님이시다!" 라고 했다(.....)
  7. 홈페이지 코멘트에서 장포 건담의 킷화가 나온다길래 '내가 아무리 여자들이랑 많이 만났다지만 엄마가 누구야!!'라고 했을 정도.
  8. 참고로 원판에선 "다 큰 사내놈이 웬 우는 소리냐!" / "시끄러! 남자라도 울고 싶을 때가 있다고!" 이다.
  9. 초판과의 차이점은 오른쪽 어깨의 갑옷파츠 일부분이 2가지로 돼 있다. 즉, 위에 설명했던 극중의 설정을 반영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