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주받은 검

1 말그대로 저주가 걸린 검

흔히 사용자를 에 미치게 하거나, 지배하려 들거나 한다. <드래곤 라자>의 프림 블레이드는 저주받은 검은 아니지만, 그 끝없는 수다로 인해 사용자를 미치게 만드는 무시무시한 검. 이상한 던전 시리즈에서는 저주받은 검은 장착 해제를 할 수 없다(저주받은 방패도 동일하다.).

마검의 상당수가 여기에 속한다.

2 하스스톤의 카드

항목 참조. 정말 엄청난 저주에 걸리기 때문에 아무도 쓰지 않는다(...)

3 캡콤의 게임 던전 앤 드래곤 2에 등장하는 아이템

1과 2로 두 종류가 있다.

저주받은 검 2는 절망의 숲(비홀더가 보스로 나오는 루트)에서, 1은 라파엘의 동굴(낙하하면서 지하로 내려가는 스테이지)에서 얻을 수 있다. 단 절망의 숲 루트로 가는 파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저주받은 검 2은 거의 못 본다(에인선 마을 루트/절망의 숲 루트로 나뉘는데 에인선으로 가는게 돈을 더 많이 얻을 수 있으며 좀 더 쉽다.). 다만 당시 초딩이 하던 플레이 한정으로는 절망의 숲 루트가 거의 무조건 기본 루트였고(어디가 더 유리하다던가 하는 정보는 얻을 수가 없었고 텔'아린에서 버벅거려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경우도 많았으며 일단 무기가 뜨니깐... 뭐 마법검이 나온다고?) 요즘은 에뮬레이터 넷플이 활성화되어 그나마 자주 볼 수 있지만…

저주받은 검이기 때문에 둘 다 그냥 쓰면 사용자에게 피해를 입힌다. 저주받은 검 2는 휘두르면 마비에 걸리고, 1은 오히려 사용자가 데미지를 입게 된다. 데미지를 입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은 저주를 해제하고 쓰는 방법 뿐. 그러나… 사실 저주받은 검 1의 경우 저주받은 상태라고 해도 데미지는 저주가 풀린(전설의 검) 것과 동일하다. 이것을 이용하여 체력이 뒷받침 된다는 전제 하에 레드 드래곤을 저주받은 검으로 잡는 것도 불가능하지는 않다.

게임상에 넣어놓은 작은 이벤트로 재미있는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2스테이지 분기점 스콜피온 맨의 분기점으로 가게 되면 땟목을 타던 중 미리 준비된 질문과 답변을 들을수있는데 선택지 1번인 최강의 검에 대한 질문을 하면 그 검의 주인 이름이 현재 기록된 랭킹 1위의 이름으로 뜨며, 후에 저주받은검 1의 저주를 풀었었을때 "당신은 (랭킹 1위의 이름)의 검의 저주를 풀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뜬다. 참고로 랭킹 1위의 디폴트 네임은 야마노우(ヤマノウ)/엘링(ERLING).

3.1 저주받은 검 -1

가장 유명한 아이템. 그냥 휘두르면 저주로 데미지를 받으므로 휘두르긴 휘두르되, 데미지를 받기전 모션을 캔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보통 54번을 휘두르면 된다고 하는데 좀 더 정확하게 설명하자면 54번이 아니다. 저주받은 검-1에는 데이터상으로 1바이트의 숫자가 걸려 있는데 이는 저주받은 검-1이 전설의 검이 되기 위해서 필요한 휘두른 숫자[1]가 기록되어 있으며 이 숫자가 80이상이 될때까지 휘두르는 것이 풀리는 조건이다. 해골마크가 뜨지 않으면 1, 해골마크가 뜨면 2가 올라가며 해골마크가 뜨는 빈도수가 보통 20번 정도 뜨기 때문에 푸는 사람의 경우에 따라서 그 숫자의 오차가 조금씩은 다르다. 게임상에서는 해골이 뜨는 빈도수는 거의 바뀌지 않기 때문에 보통 54번이라는 숫자가 나오게 되는 것. 플레이에 따라서 1~2번의 오차는 존재한다. 아래 동영상에서 설명하는 레이테이션 부츠를 이용한 버그를 쓴다면 해골마크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 해골마크가 뜨는지 여부로 전설의 검으로 만들기 위한 카운트가 올라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레임/프로즌 샐러맨더 전에서 한명이 레비테이션 부츠를 먹고, 하늘을 날고 있는 상태에서 피니쉬를 날린후에 신나게 검을 휘둘러서 저주를 푸는 방법이 있다. 한명이 떠 있기 때문에 바닥에 내려오기 전까지는 스테이지 클리어가 되지 않는다. 단, 저주받은 검을 착용한 캐릭터가 레이테이션 부츠를 착용해서 부유상태로 올라온 상태로 저주받은 검을 휘두르면 해골마크가 뜨지 않으나 이 경우에는 전설의 검을 풀기위한 휘두른 숫자에는 집계되지 않으므로 게임이 끝나지 않는건 동일하나 풀리지는 않는다. 이때는 아예 해골마크가 안 뜨기 때문.

레비테이션 부츠가 없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꼼수로 백점프(점프버튼을 따닥 연속으로 누른다.)를 하며 착지 직전에 휘두르는 방법이 있고, 또는 상대에게 걸어줄 수 있는 마법(상처회복, 스트라이킹, 인비저빌리티)을 타이밍에 맞춰서 써주면 데미지를 받지 않는다. 하지만 마법횟수가 제한이 있기 때문에 몇 번 걸다가 다시 백점프를 하기 마련. 상대에게 걸 수 있는 마법반지로도 캔슬이 가능하다. 해골마크가 뜨면 감전과 함께 대미지를 받게 되는데 해골만 띄우고 감전 모션을 착지 모션, 마법받는 모션 등으로 강제 캔슬해서 대미지를 피하는 꼼수이다.

새도 오버 미스타라 아케이드판에서는 이와 관련해 버그가 있는데, 저주받은 검-1을 얻고난 뒤 비밀장소를 벗어나 다른 맵상에서 백점프를 이용하여 저주를 해제하려고 하면 저주데미지 기준이 첫타만 감전 경직이 아니라 해골마크로 바뀐다. 감전모션이 나오지 않아도 데미지가 들어가는 현상. 첫타 그 이후로는 동일하게 감전이 기준이 된다.

저주를 해제하면 '전설의 검(Sword of Legend)'이 되며 전설의 검을 뽑고 나서는 턴 언데드나 아이스 스톰 등을 난사해주는게 예의(풀렸을 때 이펙트 색이 붉은 계열에서 푸른 계열로 변한다. 검의 위력이 오른다는 루머가 있어서 그렇다고 하나 실제로는 저주받은 검 상태 그대로도 전설의 검 데미지가 나오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루머다.).

3.2 저주받은 검 -2

파티에 성직자가 있어야 풀 수 있다.그냥 사용하면 일정 확률로 잠들어버린다.성직자가 검을 들었다 놓았다 8번하면 저주가 풀린다.

저주가 풀리면 '홀리 어벤저(Holy Avenger)'로 변하며 홀리 어벤저는 무조건 언데드 계열 적을 한방에 죽이는 특수능력을 갖고 있다(턴 언데드와는 다르게 경험치, 아이템도 얻는다.). 저주가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언데드 계열 적을 2방에 보낸다.

당연한 얘기지만 언데드 보스가 한방에 죽는다던가 하지는 않으며, 마법검 취급이 아닌건지 가고일한테 안박힌다(…). 사실 특정 계열에 고데미지를 주는 검은 딱히 마법검인 것은 아니다.[2]
  1. 정확히는 해골이 뜨는 확률이 존재하는 행동이다. 때문에 노 인벤토리 상태에서의 캔슬공격은 여기에 해당하진 않지만 상자를 따는 행위는 카운트가 들어간다.
  2. 본래 홀리 어벤저는 +3, 특히 팔라딘이 들 경우 +5의 준 에픽급 보너스를 받지만, 클래식에서는 홀리 어벤저 관련 룰이 없었다. 이에 따른 듯 하다. 게임에 함께 등장하는 드래곤 슬레이어도 마법검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