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림 시어터 멤버 | ||||
존 페트루치 | 존 명 | 제임스 라브리에 | 조던 루데스 | 마이크 맨지니 |
1 개요
드림 시어터의 베이시스트로 한국계 미국인이다.[1] 본명은 John Ro Myung으로 1967년 시카고에서 태어났다.
국내에서는 흔히 '존 명'이라고 부르지만, 미국인인 본인은 '존 마이엉'이라고 발음한다. 발음 기호는 [ˈmaɪ.əŋ]. My-ung으로 끊어서 읽었다고 보면 된다.[2]
고등학교 동창인 존 페트루치와 버클리 음대를 입학하여 그곳에서 마이크 포트노이와 친교를 맺어 드림 시어터의 전신인 'Majesty'를 결성하였다. 존 명은 마이크 포트노이, 존 페트루치와 함께 드림 시어터 결성 원년멤버이다.
팬들 사이에서는 엘라스틴 머리, 늙지 않는 사람 등으로 불리고 있다. 실제로 존 명은 데뷔 때부터 지금까지 한결같은 엘라스틴 머릿결을 가지고 있으며 젊었을 때와 지금이 별반 차이가 없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 팬들에게는 1999년 트라이포트 락 페스티벌을 위해 내한했을 때 무대에 올라 머리를 푼 순간부터 지금까지 머릿결 좋은 장발의 대명사로 통하고 있다.
어려서부터 바이올린을 배웠으며[3], 15살 때 같은 동네에 살던 존 페트루치가 밴드 만든다고 베이시스트를 찾고 있던 중, "바이올린이나 베이스 기타나 줄이 4개니깐, 할 수 있을 것이다"라는 말을 듣고 베이스 연주를 시작한 걸로 알려져 있다. 그 후 베이스 연주와 락 음악에 심취하게 되어 베이스를 하겠다는 그의 말에 아버지는 베이스 기타를 창밖으로 내던졌다고 한다. 한국계 맞네 베이스를 연주한 후 적성에 맞다고 느껴 다시는 바이올린을 연주하지 않게 되었다.
여담으로 소음을 싫어한다. 2000년 한국 음악지와의 전화인터뷰에서 근황을 묻자 음악 이야기를 기대했던 인터뷰어의 의도와 달리 집 주변에서 나는 시끄러운 소리 때문에 잠을 이루기 힘들었다고 한다. 원래는 대단히 마른 체구였으나, 6현 베이스를 연주하기 시작하면서부터 팔굽혀펴기를 하루 50차례씩 하면서 체력을 기른 결과 악기를 장난감처럼 다루는 등발이 완성되었다.[4] 동료인 존 페트루치 역시 틈나는 대로 헬스장을 찾아 체력을 단련하여 '곰'이 되버렸다(...) 그냥 연주만 해서 만든 체격이 아니다. 한 번의 무대에 3시간씩 연주를 해야 하기 때문이란다.
2 실력
드림 시어터의 멤버답게 초절정의 연주 실력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4현 베이스가 아닌 6현 베이스를 다루는 것으로 유명해 6현 베이스 하면 떠오르는 인물 중에 하나다. 현재는 뮤직맨 봉고 6현 모델을 사용중. 시그네쳐 모델은 아니지만, 5현넥에 6현을 걸어 보통 베이스보다 극단적으로 좁은 현 간격을 가진 본인만의 커스텀 베이스를 사용한다. 과거에 야마하 엔도저 였을때도 좁은 줄간격의 시그네처 모델을 사용했다.
연습덕후로 알져져 있으며 드림시어터의 전 키보디스트 데렉 쉐레니언의 말로는 무대가 끝난 후에 '웜 다운' 연습을 하는 뮤지션은 존 명이 유일하다고 한다. 또, 존 페트루치와 버클리 음대에 다니던 때, 하루에 적어도 6-8시간(...) 연습하는걸 제안했었다고 오늘 심심한데 아침먹고 연습이나 할까 프로 현직에 있는 지금까지도 그정도 연습을 하는 걸로 유명하다. 피킹의 강약 연습, 프레이즈 연습, 코드보이싱 등등 체계적인 연습 루틴을 가지고 있고 천재성도 타고난데다 노력까지 겸비하다 보니 사실상 이 분야에 있어서는 빌리 시언(Mr.Big), 신 말론(시닉), Stephan Fimmers(Necrophagist) 등의 인물들과 함께 끝판왕 중 한명으로 뽑힌다. 말도 안되는 정확도의 핑거 피킹을 쏟아 내면서 그루브가 살아있는 헤비한 베이스 사운드를 뿜어댄다. 베이스 플레이어 매거진 과거 인터뷰에서 보면 레코딩 당시 절대 트랙을 잘라서 녹음하지 않고 처음부터 끝까지 한번에 이어서 라이브와 같이 연주하여 원테이크로 녹음을 끝내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트랙을 잘라가며 녹음하면 아무래도 원테이크보다 부자연스럽고 매끄럽지가 않다고 한다.
워킹 베이스 라인, 코드톤, 퓨전 재즈 라인, 펑키 라인 등등 그의 베이스 사운드의 활용 폭이 굉장히 넓다. 록/메탈 베이시스트의 덕목은 단순한 라인을 단단하고 견실하게, 든든히 연주하는것인데 비해, 멜로디컬하고 풍부한 라인도 특징. 변화가 많고, 여러 장르에서 테마와 모티브를 가져와서 접목하는 드림씨어터의 음악 스타일에 잘 어울린다.
메탈 베이시스트인 만큼, 두툼하고 헤비한 톤도 특징. 기본적으로 야마하[5]나 뮤직맨[6] 베이스의 액티브 험버커 픽업의 괴물같은 출력과 하이 게인 앰프드라이브에서 나오는 강렬한 톤. 그리고 서정적이고 느린 템포의 곡에서 공간계 이펙트를 자주 사용한다. 정말 간단하게 설명했지만, 다 설명하기에는 장비들이 너무 크고 아름다워서 여기다 다 쓰기에는 위키의 여백이 너무 좁다. 어떤 팬이 견적을 내보니 장비만 천만원 단위로 나온다 카더라 그리고 그가 만드는 톤은 이펙터 이전에 그가 장인처럼 갈고 닦은 핑거 피킹에서 나오는 것이다. 한 인터뷰에서 '듣다보면 한 곡에서 프렛리스 베이스 같은 부드러운 톤과 강력한 메탈톤이 모두 들리는데 어떻게 만드는 톤인가?' 하는 질문에 '전부 핑거 피킹의 강약으로 조절한거다' 하고 대답했었다. 악기와 장비의 교체도 있었고, 드림씨어터가 커리어 초창기에 비해서 점점 헤비함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갔기 때문에, 그에 맞춰 존 명의 톤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다만 해외 베이스 포럼들을 보면 지금 그의 톤은 보통 메탈 베이시스트와 차별화 되는 점이 별로 없어 지루하다는 의견도 있다. 커리어 초창기의 투명한 느낌을 주는 톤을 더 좋아하는 팬들도 많다.
프렛리스 베이스나 12현의 채프먼 스틱 연주를 보여주기도 하는데, 이는 메탈 베이시스트로서는 매우 이색적인 것으로, '헤비메탈 음악에서 베이시스트가 보여 줄수 있는 사운드의 스펙트럼을 한층 더 풍부하게 했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었다. 채프먼 스틱 연주는 토니 레빈이 킹 크림슨에서 선보인 적도 있다.[7]
존 명의 연주 스타일을 보고 싶다면 최근 앨범보다는 Images & Words부터 Scenes From A Memory까지 들어보자.......였는데 마이크 포트노이의 탈퇴후에 초기작이 연상될 만큼 독창적인 연주를 많이 들려주고 있다. 앞으로의 들려줄 연주도 기대해 보자.[8]리드와 서포트에 모두 능하면서, 화려한 솔로까지 소화하는 연주를 들을 수 있다.
괴물같은 테크닉을 앞세운다는 점에서, 빌리 시언과 자주 비교되는편. 그러나 두 사람의 연주를 들어보면 '테크니션'이라는 점 외에는 공통점을 찾기가 거의 힘들다는 것을 알수 있다. 드림 시어터의 전 드러머 마이크 포트노이가 최근 빌리 시언과 자주 협연을 하고 있는데, 둘의 스타일 차이가 정말 극명하다는 걸 쉽게 느낄 수 있다. 다만 존 명은 인터뷰에서 빌리 시언의 영향도 받았다고 밝힌 적이 있다. 오버 드라이브 톤이 멋져서 한번 따라해 봤었다고 한다.
3 성격
보다시피성격은 굉장히 내성적이다. 강렬한 연주와 굉장히 대비될 정도. 그래서 그런지 몰라도 사람 많은 곳에서는 말을 잘 안하려고하고 묵묵히 연주만 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2008년 내한공연 당시 공항에 마중 나온 팬들에게 다른 멤버들은 사진도 찍어주고 싸인까지 해주는 반면 존 명은 자신들을 보러 온 팬들을 보고 당황하고 수줍어 하며 재빨리 사라졌다는 일화가 있을 정도. 미국 팬들 중에는 존 명이 벙어리인 줄 알고 있었다는 사람마저 존재한다.
어릴적에는 상당히 사납고 시끄러운 성격이었는데, 그래서 어머니가 내놓은 해결책이 바이올린 배우기(...). 그 결과 정말지나치게 조용해젔다.
물론 벙어리가 아닌 만큼, 교습용 DVD나 인터뷰 영상에서는 잘만 말한다. 너무나 또박또박 잘 말해서 보는 사람이 당황스러워질 정도. 과거에는 레슨도 했었는데 프로페서라고 불릴 정도로 분석적인 수업으로 유명했다.
인터뷰에서 '베이스 실력이 상당한데 왜 기타나 키보드처럼 전면에 나서지 않나요'라는 질문에 '음역대가 달라서 그냥 쳐도 다 들리지 않나?'같은 이야기를 할 정도로 음악적으로도 굉장히 밴드 지향적이고 내성적이다.
헌데 한번은 무대에서 갑자기 같은 멤버(제임스 라브리에)를 향해 어깨돌진을 하는 기행을 선보였다. 팬들은 "대체 무슨 일이 있었길래 명이 저렇게 빡친거야?" 하고 안절부절했지만, 본인이 밝힌 바에 따르면 몇 백 달러가 걸린 내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멤버들은 내기를 했다곤 하지만 내성적인 존 명이 감히 그런 짓을 저지르리라곤 상상도 못했던 모양. 이 충격과 공포의 돌진은 이후 '명 태클'로 불리게 된다. 이 사건 이후 라브리에가 자신의 홈페이지에 올린 분노의 게시글(물론 장난)도 가히 압권이다. 그래서 언사이클로피디아에선 그를 베이시스트겸 태클리스트 라고 소개한다(...).
4 기타
그리고 존 명은 여성 헤비 메탈 밴드 'Meanstreak'의 베이시스트 Lisa Martens Pace와 결혼하였다. 그런데 이 여성 메탈 밴드의 구성원 가운데 또 다른 두 명 역시 드림 시어터 멤버 존 페트루치, 마이크 포트노이와 결혼하였다.
최근 뮤직레이더가 선정한 베이시스트 TOP 25 중에서 1위로 선정되었었는데 지금은 TOP 60중 15위로 밀려났다. # 1위에 선정될 때가 마이크 포트노이의 밴드 탈퇴 한창 시끄러울때라, 드림 시어터에 꽤 많은 이목이 집중된 상황에서 진행된 통계라서 그렇다는 추측이 있다.
1위로 선정된 후 인터뷰를 가졌는데 이 인터뷰를 본 해외 팬들은 "존 명이 말을 하다니!!" 하며 놀라워했다(...)
게다가 최근 새로 들어올 드러머와 관련된 라브리에의 인터뷰 중에서 존 명이 말문 터졌다고 말하기도 하였다.
옛날 뮤직비디오나 사진들을 보면 꽤 한 미모 하셨다. 다른 멤버는 Images and Words 이후부터 다 우락부락하게 역변한데 비해 체구도 작고 피부도 고와서(...) 서양인들이 흔히 생각하는 동양 미소년의 느낌 홍일점
그런데 의외로 간혹 재미있는 기행들을 벌이기도 했다 #
(1위는 물론 명 태클 그러나 사진만 있다)
김현모 선생님?
페트루치도 망가지는데 혼자서만 멀쩡하게 찍는 명이형
어떤 DT팬은 팀 해체되기 전에 이 사람 웃고 떠드는 모습 보는게 그리 소원이라더라 사실 가만히 있는 점이 웃긴거다
- ↑ 부모님 두 분 다 한국인이지만 존 명은 미국에서 태어나고 자랐기 때문에 한국어는 조금밖에 못한다고 한다. 1993년 첫 내한때 간단한 인사말을 한국어로 나눌 수 있었다고 하며, 부모님의 한국어를 들으면서 자랐기 때문에 스피킹은 능숙하지 못해도 리스닝은 가능한 수준이라는 것을 투어 스탭, 팬, 기자들에게 알려주었다. 사실 한인 2세들의 한국어 실력이 일반적으로 저렇다.
- ↑ 사실 '존 마이엉'이 옳은 표기이고, '존 명'은 엄연히 틀린 표기이다. 왜 그런지는 자주 틀리는 외래어 문서의 이 부분 참고.
- ↑ 원래 성격이 매우 사나워서 어머니가 해결책으로 바이올린을 시켰다고 한다.
- ↑ 사실 드림 시어터의 최초창기인 머제스티 시절 존 명뿐만 아니라 페트루치와 포트노이 역시 눈물이 앞을 가릴 정도로 엄청나게 마른 체구들이었다. 그 중에서도 존 명은 거의 피골이 상접할 정도로 마른 체형이었다.
- ↑ 과거에 사용.
- ↑ 현재 사용중
- ↑ 참고로 토니 레빈은 드림 시어터와 접점이 있다. 존 페트루치, 마이크 포트노이, 조던 루디스와 함께 리퀴드 텐션 익스페리먼트라는 프로젝트 활동을 한 바 있다.
- ↑ 마이크 포트노이가 지향하던 헤비한 드림 시어터의 음악에 약간의 매너리즘이 없지 않아 있었던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