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치르는 날로, 임시법정공휴일 중 하나이다.
지방선거에서 선출하는 교육감, 도지사, 시장, 군수, 지방의원 등은 7월 1일에 새 임기를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보통 5월 31일에서 6월 10일 안에 선거를 치른다. 근데 문제는 날짜와 연도가 월드컵기간 중에 선거를 치르는 바람에 전국단위 선거 중에서 투표율이 가장 낮다는 점이다.
따라서 월드컵이라는 엄청난 악재로 인해 대통령 선거일이나 국회의원 선거일에 비해 존재감이 없는 데다가, 다른 선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권한이 약한 선출직 공무원을 뽑는 편이라 투표율이 다른 선거에 비해 낮다는 점이다. 2006년 5월 31일 지방선거는 51.3%의 투표율을 보였다. 2002년 6월 13일 지방선거는 아예 48.9%를 기록하며 전국단위 선거중 처음 과반에 실패했다.[1] 다만 2010년 6월 2일의 지방선거&교육감 선거에서는 여러 이슈들의 영향으로 투표율 54.5%를 기록하여, 15년 전인 1회 지방선거의 68.4% 다음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대한민국 국민들이 월드컵 축구를 볼 수 있는 유일한 기회여서 월드컵에 밀려 투표율이 낮은 편이고, 대통령이나 국회의원에 비해 영향력이 적은 교육감, 도지사, 시장, 군수 등을 뽑기 때문에 다른 선거에 비해 관심이 적은 편이지만, 양만으로 따졌을 경우 대한민국 선출직 공무원 중 90%는 이 날 선출된다. 보통 지방선거 때 뽑는 선출직 공무원은 3,600~4,000명[2] 수준으로, 국회의원의 300명과 대통령의 딱 1명에 비해 양에서만은 다른 선거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지방선거일이 사실상 정기적인 임시법정공휴일이기 때문에 몇몇 사람들이 하라는 투표는 안하고 놀러다니는 경우가 있는데, 반드시 투표하고 나서 놀러가든지 하자. 민주주의 사회에서 투표는 민주주의 시민들의 소중한 권리이다.
긴 말 할 필요 없이, 6월 항쟁 덕분에 지방자치제가 부활한거다. 이 글을 보는 위키니트들의 부모님 세대들이 6월 항쟁 때 어떤 노력을 했을 지 생각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