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조선 철종 13년(1862) 백성들이 처음 진주에서 일으킨 민란을 시작으로 하여 전국적으로 퍼진 봉기를 의미한다. 다른 명칭으로는 처음 민란이 일어났던 진주의 명칭을 따서 진주민란, 임술년에 일어난 민란 혹은 농민전쟁이라 하여 임술민란, 임술농민전쟁이라 한다. 교과서 용어로는 임술농민봉기로 되어 있다.
2 원인
학계 다수의 의견은 삼정의 문란으로 주로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원인으로 구조적 문제를 지적하기도 한다. 조선 후기 상품화폐경제의 발달로 인해 지주가 성장하고, 하층농민들이 상당수 몰락하는 농민층의 분해상황이 일어난 상황에서 새로운 조세체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었다.
하지만 조정은 세도정치의 극성기로 인해 매관매직이 성행했고, 영조와 정조의 수령권 강화정책으로 인해 향촌에서 수령의 권한이 강해진 상황에서 매관매직을 통해 관직을 얻게 된 수령들이 수탈을 자행하는데 이를 막을만한 기제가 향촌사회에는 사실상 없었다. 그래서 이미 농민들의 정치의식이 향상된 상황에서 불만이 축적되자 이게 대규모 항쟁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3 전개과정
진주 농민 봉기에서 시작해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진주는 상당히 부유한 곳이었으나, 진주목과 경상도 우병영으로 인해 상당히 많은 부담을 지고 있었고, 이러한 불만들이 1862년 1월부터 표현되기 시작하였고, 결국 1862년 2월 4일 단성에서부터 봉기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그리고 2월 14일 읍내를 공격하기로 결의하고 본격적인 항쟁이 벌어졌다.
이후 장시를 통한 유통망의 확산으로 인해 인근 고을로 항쟁 소식이 퍼져나갔으며 그로 인해 전국적으로 봉기가 확대되었다. 거기다 안핵사 등의 파견으로 해당 고을의 상황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가 활성화되자 이를 기화로 삼아 항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지리산 기슭의 진주권에서는 2~3월내에 항쟁이 일어났고, 경상도 상주권에서는 3~4월에 항쟁이 일어났다. 경주권에서는 10월에 항쟁이 벌어졌다. 전라도권에서는 3월 27일 익산지역을 시작으로 4~5월에 집중적으로 항쟁이 발생했고, 충청도권에서는 5월에 발생했다. 이후에는 경기도 광주일대까지 항쟁이 올라와서 조정을 당황시키기도 했다.
4 결과
백성들의 민심을 달래주기 위해 암행어사가 파견되었고 삼정이정청이 창설되었다. 그러나 당시 위정자였던 김좌근 등은 이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고 결국 예전 제도로 환원되고 말았다.
한편 삼정의 문란상에 대한 개혁은 1863년 흥선대원군이 집권하면서 양반에게도 군포를 물었던 호포제와 환곡제의 폐단을 시정한 사창제를 실시함에 따라 어느 정도 해결되는 기미를 보였다. 하지만 이후에도 농민의 반란은 줄곧 이어졌는데 특히 1871년 이필제의 난을 기점으로 동학과 결합하시 시작했으며, 1894년에 벌어진 동학농민운동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5 이모저모
군도: 민란의 시대의 배경이 되는 사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