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

이 문서는 종교에 관한 내용을 다룹니다.

이 문서가 다루는 종교, 종교인에 대한 내용은 읽는 이에 따라 민감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잘못된 요소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문서에 쓰여진 내용을 전적으로 신뢰하지 마십시오. 편집할 시에는 문화상대주의를 기반으로 객관적으로 작성하고, 논란이 될 수 있는 내용은 신중히 검토한 뒤 작성하십시오. 또한 문서의 사실에 관한 내용을 수정할 때에는 신뢰가 가능한 출처를 기입하시거나, 토론 과정을 거치신 뒤 하시고, 다른 종교를 비방하거나 비하하는 내용을 넣지 마십시오.

이 틀을 적용할 경우, 문서 최하단에 혹은 분류:종교의 하위 분류를 함께 달아 주시기 바랍니다.

1 東學

1860년 수운 최제우조선에서 창시한 종교. 현재 천도교의 모태라 할 수 있다.

최제우가 <논학문>에서 "나 또한 동쪽에서 태어나 동도(東道)를 받았으니 도(道)는 비록 천도(天道)이나, 학(學)은 동학(東學)이다"라고 하여 이름을 동학이라 한다. 흔히 동학 하면 바로 천도교와 동일시하는 경우가 많으나, 엄격히 말하면 천도교는 동학의 가장 직계 분파다. 천도교 외에도 시천교(이쪽은 일진회 못지않은 친일종교다), 제우교 등 많지는 않지만 여러 군소 분파가 존재한다.

1.1 최제우

수운 최제우는 경주 최씨로, 능력이 뛰어났으나 당시 그의 아버지 최옥은 벼슬을 하지 못해 가세가 기운 데다가 그의 어머니 곡산 한씨와 아버지와의 결혼이 재가였기에 재가녀의 자식이라는 이유로 사회적 차별을 받아야 했다. 더욱이 어머니는 그가 10살 때 사망한다. 13세 때 울산 출신 박씨와 결혼했으나 17세에는 아버지마저 돌아가셔 결국 처가인 울산으로 옮겨간다. 울산으로 옮겨간 1844년 한 승려가 <을묘천서>(乙卯天書)라는 비서를 전해주고 사라지며, 이에 영향을 받아 수도를 시작하여 1859년 5월 9일 용담정에서 도통하게 된다. 학계 일각에서는 이 비서를 기독교성경 혹은 <천주실의>라고 주장하나, 주류 학계와 천도교 측에서는 이를 부정한다. 사상적인 부분에서도 기독교와 동학은 차이가 분명하며, 당시 이미 널리 알려진 기독교계 서적을 굳이 비서로 왜곡할 이유가 없고 최제우는 울산으로 옮겨가기 전 3년간 전국을 유람하며 갖가지 세상경험을 하며 자신의 사상을 형성했기 때문이다.[1] 이후 부분은 천도교 문서 참조.

남학 계열에서는 그가 수도생활을 할 때, 조선 후기의 도사인 연담 이운규의 제자였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에 따르면 최제우, 김일부(김항)[2], 김광화(김치인)[3]와 동문 출신, 혹은 동문수학한 사이라는 것이며 시천주 주문 또한 이운규에게서 전수받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셋의 연령 차이가 있고, 행적 역시 잘 맞지 않는 부분이 있어 이 설은 부정되고 있다. 셋 모두 후천개벽을 자신들의 중심 사상으로 놓았던 점은 사실이다.

1.2 사이비 동학

안중근 의사가 젊은 시절 동학 토벌에 적극적으로 가담한 사실이 있었는데, 지금 기준에서는 일종의 흑역사라고 볼 수도 있지만 당시 안중근 같은 양반 계층에서 보기에 신분 질서를 거스르고 항명하는 행위는 금기시 되었다. 즉 안중근 의사처럼 동학을 적대시하는 것은 당시 기득권층으로서는 너무나 당연한 일이었다. 또 그만이 아니라 딱히 군기가 정비되지 않을 수 밖에 없는 농민반란의 특성상[4] 관군과 싸우기만 하는게 아니라 그간의 억눌림이 분노로 분출되며 그냥 양반이면 다 습격하고 재물을 뺏거나 양반집 여인을 겁탈하거나 외국인 상인을 공격하는 일들도 적지 않았다. 원래 의의와 벗어난 행위지만 아는 양반집들이 약탈되며 나라를 뒤엎는다고 하는것을 보면 부정적으로 인식할 수는 있을것이다. 원래 이기면 혁명이 되고 지면 폭동이 된다. 또 같은 지역에서 같은 시기에 동학 지역 지도자로 활동했던 김구 선생의 백범일지에 따르면 산적패가 동학군 이름을 사칭하고 약탈을 한 일도 많았으며 안중근 의사 집안이 토벌한 동학군은 대부분 이런 사이비 동학군이었다 한다.

다만 안중근의 자서전을 보면 안중근은 동학을 일진회와 동급의 매국 도적집단으로 알고 있었다. 사실 일진회가 동학의 분파로 시작하기도 했고.

1.3 동학의 분파

수운 최제우가 동학을 설립한 이후, 동학 신도가 늘어나고 근대시대 여러 사건을 겪으면서 동학도 여러 분파가 생겼다. 당연하다면 당연하겠지만, 다들 사이가 그다지 좋지 못하다. 동학은 창시자 최수운-최시형-손병희로 이어지는 교주 계승 관계가 확실하여, 천도교 외 교파들은 방계교단으로 분류된다.참조

  • 천도교 - 동학의 정통. 해당 문서 참조.
  • 수운교 - 승려였던 이상룡이 만든 교단. 창시자를 최제우와 동일인이라 주장하며,[5] 창시자가 승려였던지라 불교/민간신앙적 색채가 강하다. 흑역사로 1938년 진종계통의 일본 불교와 함께 흥룡사(興龍寺)를 건립, 일본식 아미타불상을 설치 하는 등의 사건이 있었다. 그러나 같은 해 교주가 죽었으며 해방 뒤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현재 대전광역시 유성구 자운대 근처에 본부가 있다.
  • 상주 동학교당 - 1915년 동학의 남접주였던 김주희가 만든 종교단체로, 옛 이름은 궁을도.* 인내천/시인여천을 주장하는 천도교와는 달리 한울님에 대해 유신론적인 관점을 가져 독립된 신으로서 신앙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교리에 대한 해석도 다르다.[6] 최제우의 뜻을 직접 이었다는 청림이라는 인물을 내세워 교조 김주희와 연결시키고 있는데, 문제는 이 청림이라는 사람은 가공의 인물이며 동학가사에 김주희의 창작본을 최제우의 작품과 같이 넣는 등 천도교하고는 차이점이 많다*. 참고로 상주 동학교당이 주장하는 청림이란 인물이 허구의 인물이라는 것을 직접적으로 밝힌 사람은 다름 아닌 상주 동학교당 창시자 김주희의 아들이다. 2014년도에 들어 교단의 적통을 내세우며 천도교 측과 마찰을 빚고 있다.*,*
  • 청림교 - 남정(南正)이라는 인물이 창시한 동학 분파. 은청림(隱靑林)과 현청림(顯靑林)의 두 파가 있다. 1933년 일제의 탄압으로 쇠퇴하였다. 이족 역시 청림선생이라는 인물이 자신들의 교주에게 도를 전하였다고 주장한다.

참고로 위의 동학 분파 중, 청림 혹은 남접이라는 용어를 쓰면서 천도교와 별개로 행동하는 분파들은 하나같이 청림이라는 인물을 내세우면서, 정작 그 청림의 본명에 대해서는 다 말이 다르다. 주된 청림의 본명으로만 김시종, 김낙춘, 정시종의 셋이나 된다.동에 번쩍 서에 번쩍 청림선생 이렇게 된 것은 최수운이 최해월을 후계자로 정하면서 해월의 직함이 '북접주인'(혹은 북접(대)도주, 북접법현 등의 표현도 사용. 어느 용어든 북접이란 말이 들어간다.)이 되자, 후에 동학 내 분파/급진파들이 스스로 남접이라 이름짓게 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북접이란 말은 1879년대에 만들어진 동학 초기기록부터 나오지만, 남접이란 말은 1894년 이후부터 등장하고, 그마저도 대부분 동학에 적대적이었던 관군이나 토벌군의 문헌자료에서 주로 등장한다.[7]

1.3.1 흑역사 - 친일 교단들

  • 제우교 - 친일단체인 일진회 회원인 김유영이 만든 종교. 일본 관동군의 밀정단체인 만주보민회 활동[8]을 하다 민간인들의 반발로 소멸하였고, 잔존 세력이 신앙의 대상을 미륵불로 바꾸면서 만든 단체가 대화교.
  • 시천교 - 일진회 창시자인 이용구가 창시한 교단.
    • 상제교(천진교) - 시천교에서 갈라져 나온 교단. 시천교의 간부였던 김연국[9]이 만든 교단.

1.4 관련 문서

2 動學

2.1 Economic dynamics

경제분석에서, 재화의 유기적인 흐름을 분석하는 학문이다. 1과 구별하기 위해 경제동학이라고도 한다.

2.2 Kinetics

물체의 움직임 자체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역시 1과 구별하기 위해서 운동학, 동역학으로도 불린다.

사람이나 동물 등이 나오는 애니메이션필수요소로, 특히 걷거나 뛰는 동작에서 동학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불쾌한 골짜기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1. 당시는 기독교는 물론이고 천주실의가 동아시아 전체에 알려진 상황이었고,(일반인을 위한 한글 번역본과 그 필사본도 있다.*) 청의 <천학초징/천학재징>, 일본의 <벽사관견록>, 한국의 <서학변>, <천학문답>등 천주실의와 기독교를 비판하는 서적까지 나올 정도로 널리 퍼진 지 오래였다. 즉 천주실의는 이미 알 사람은 다 아는 책이었던 것이다.
  2. 남학의 분파인 정역(正易)의 창시자. 유교 중심적이다.
  3. 남학의 다른 분파인 광화계의 창시자. 불교, 특히 미륵신앙 중심적이다.
  4. 다른나라의 봉건제 타도 혁명에도 잘 보면 이런 점들이 있었듯이. 프랑스 혁명도 분노에 찬 민중들이 가만히 있어도 귀족이나 특권층이면 있는대로 때려잡고 처형하는 일이 벌어지곤 했다. 이런 경우에도 귀족 입장에서는 아무리 역사적 의의를 가지는 일이라도 비극이니 입장의 충돌이라고 볼 수도 있는 셈.
  5. 동학 쪽 문헌에는 최수운이 처형당할 때 폭풍이 부는 기적이 일어났다고 하는데, 수운교 공식 홈피에는 최수운이 몸을 피해 이상룡으로 위장했다고 주장한다. 네이버 백과에는 수운의 혼이 강림했다고 주장한다고 나온다. 당연하지만 어느 쪽이건 다른 교단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6. 창시자 최제우의 사상과도 좀 차이를 보인다.
  7. 참조자료:<동학교조 수운 최제우>, 윤석산 저, 모시는사람들
  8. 사병을 조직해 독립운동가들을 탄압하기까지 했다!
  9. 최시형의 수제자 중 하나였으나 손병희와의 갈등으로 시천교에 붙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