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도 나마쿠라

시키자키 키키완성형 변체도
절도 칸나참도 나마쿠라천도 츠루기박도 하리
적도 요로이쌍도 카나즈치악도 비타미도 칸자시
왕도 노코기리성도 하카리독도 멧키염도 쥬
斬刀・鈍
라이트 노벨칼 이야기》에 등장하는 일본도.

1 설명

가장 날카로운 칼.
장미칼

시키자키 키키가 제작한 열 두 자루의 완성형 변체도 중의 한 자루로 변체도로서의 특성은 베는 능력. 제대로 된 칼이 별로 없는 완성형 변체도 중 천도 츠루기와 더불어 가장 일본도다운 모습을 하고 있는 변체도이다. 그나마 정상적인 절도 칸나도 코등이가 없다. 칼집, 코등이, 손잡이등 검을 구성하는 모든 부위가 전부 검은색인 것이 특징. 시치카가 의외로 별 거 없다(...)고 평한 칼날에는 지그재그 모양의 하몬이 새겨져 있었다.[1]
하나하나가 저마다의 특수능력을 가진 완성형 변체도 중에서도 가장 검 다운 능력을 가진 변체도로 어떠한 물체라도 베어버릴 수 있는 극도로 예리한 검이다. 후에 나온 언급으로는 보통 예리한 정도가 아니라 베는 대상의 분자구조를 파괴하는 단분자 커터. 이름인 나마쿠라의 뜻은 무딘 칼인데, 검의 특성을 생각하면 매우 역설적인 이름이다.

참도로서의 한정 오의는 '참도 사냥'. 칼집 안에 피를 흘려넣어, 칼과 칼집 사이의 마찰력을 0에 가깝게 만들어 발도의 예리함과 속도를 극한으로 끌어낸다. 안그래도 날카로운 검의 예리함과 속도를 극한까지 끌어내기 때문에 검사와의 싸움에선 거의 무적에 가까운 기술.

2 행방

과거 구 쇼군이 내린 '칼 사냥'때 이나바 번의 무사인 우네리 킨카쿠는 참도를 바치라는 쇼군의 명령에 불복하였으며, 이에 쇼군측에서 토벌군을 보내자 킨카쿠는 참도로 혼자서 토벌군 1만 명을 베어버리는 기염을 토하며 참도를 지켜내었다. 그리고 현 소유자인 우네리 긴카쿠는 그 우네리 킨카쿠의 자손이다.[2]

우네리 긴카쿠는 이나바 사막 한가운데에 위치하는 게코쿠 성의 한 비좁은 방에 거처하며 참도 나마쿠라를 노리는 자들을 격퇴하고 있었다. 일단 게코쿠 성은 사막 한가운데에 있어서 접근하는 것 자체가 어려우며, 신기루 때문에 코앞에 성을 두고도 찾지 못하게 되는 천연의 요새다. 설령 성을 찾게 된다고 하더라도 긴카쿠는 창문도 없고 문도 하나밖에 없는 골방에 처박혀 있는지라 그와 상대하기 위해서는 정면으로 다가가는 수밖에 없고, 긴카쿠는 문이 열리는 소리를 듣고 바로 깨어나도록 하고 있으므로 기습을 가하는 것은 애초에 불가능하다. 그리고 긴카쿠는 자신이 거처하는 골방으로 들어오는 상대는 문답무용으로 베어버리므로 마니와 시라사기처럼 심리전을 걸려고 하는 것 자체가 자살행위가 되고 만다.

하지만 야스리 시치카는 페인트 발기술을 이용하여 이러한 몇겹의 방어를 뚫고서 참격을 피해 긴카쿠에게 일격을 먹인다. 다만 시치카의 실전경험이 많지 않았던 탓이 공격이 얕게 들어갔고, 시치카의 공격에 '잠이 확 깨게 된'[3] 긴카쿠는 자신의 어깨죽지를 베어 나마쿠라에 피를 묻혀 참도 나마쿠라 한정 오의, 참도 사냥을 발동시키게 된다. [4]

그러나 결국 이는 토가메의 얼굴을 발판으로 삼고(…) 도약해서 '바치' 와 더불어 허도류 제 7오의, '낙화낭자'를 날린 시치카에 의해 무력화되고, 치명타를 입은 우네리 긴카쿠는 "이걸로 드디어 편히 잘 수 있게 되었다."는 멋진 유언과 함께 사망한다. 애니메이션에서는 낙화낭자에 몸이 둘로 쪼개지며 유언을 남길 새도 없이 끔살당했지만.(...)

마지막 권에서 야나리 쇼군가 11명의 측근 중 하나인 오니야도리 후라치가 들고 나온다. 우네리처럼 참도 사냥을 시전[5]하고 시치카에게 일격을 날리나 그 참격은 허도류의 기술 명칭조차 없는 칼날잡기[6]로 너무나도 손쉽게 막힌다. 그리고 제 3오의 '백화요란'에 의해 후라치와 나마쿠라 모두 박살이 난다.

첫 등장 당시에는 시치카가 결국 긴카쿠가 휘두르는 칼날을 보지 못했다는 점에서 뭔가 후반부의 떡밥처럼 서술되었는데, 결과적으로 나마쿠라의 칼날을 보게 된 허도류의 감상은 '그리 대단한 것도 아니었다', '왠지 평범하다'. 처음엔 거대한 떡밥처럼 등장했으나 그 끝은 심히 미약했다(…). 게다가 마지막에는 일도양단 전문의 칼인 주제에 자기 자신이 허도류에 두 쪽이 나고 말았다.

3 기타

애니판에선 우네리가 어깨를 베었을 때 토가메가 기책이랍시고 "이 상태에서 도망치면 저 자는 과다출혈로 죽는다!" 라는 기책을 내놓았다(…). 아니 뭐 기책이라면 확실히 기책이긴 한데….

시키자키 키키는 참도를 변체도 중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칼로 꼽았다. 더불어 작중 시치카와의 상성이 최악이기도 한 칼이기도 한데, 애초에 허도류는 칼의 날을 잡거나 피하는 식의 방어만 하기 때문에 칼날이 아무리 날카로워도 다른 칼들보다 특별히 더 위험한 것은 아니기 때문. 그래도 나름 위기감 있는 전투가 가능했던 것은 그 날카로움이 순전히 발도의 속도를 높이는 쪽으로만 부각되었고 무엇보다 참도의 사용자인 우네리 긴카쿠가 강했기 때문이다. 다만 칼과 칼이 필연적으로 부딪치게 되는 검사와의 대결에선 절대적으로 유리한 칼이기도 하다. 칼이든 뭐든 죄다 베어버리기 때문에.

마찰계수가 0에 가까워 모든 걸 베어넘기는 참도와 달리 무게를 극도로 가볍게 만들어 참격의 속도를 높인 박도와 부딪혔다면 어느 쪽이 이겼을지 궁금해진다.(아마도 절반은 베이고 절반은 막혀버렸다고 생각한다)
  1. 참고로 시키자키 키키와 그 후손의 목덜미에 이 무늬와 비슷한 문신이 있다.
  2. 선대는 금金자를 써 킨가쿠이고 손자는 은銀자를 써 긴카쿠다. 절대 같은 이름도 발음도 아니다.
  3. 항상 긴장하면서 적을 경계하는 탓에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는 것인지 우네리 긴카쿠는 항상 졸려하는 상태였다.
  4. 칼집에 피를 채워 도신과의 마찰을 줄이는 기술. 본래 적의 피를 묻혀 쓰는 기술이다. 즉 베면 벨 수록 빨라지며, 예의 일만명 베기도 이 때문에 할 수 있었던 것
  5. 소설에서는 이를 위하여 시치카와 대결하기 전에 몇 명을 베어 피를 묻혔다는 서술이 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그 과정은 생략되었다.
  6. 너무나 당연한 기술이기에 기술 이름조차 붙이지 않았다는 시치카의 독백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