첩해신어

1 개요

捷解新語. 조선 중기 1676년에 강우성(康遇聖)이 저술한 일본어 교습서. 총 10권 10책.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

중국어몽골어, 만주어 교습서는 고려말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노걸대가 있었으나 일본어 교습서는 없었다. 때문에 외국어의 번역과 통역 업무를 담당하던 관청인 사역원(司譯院)의 역관(譯官) 강우성이 일본어 학습을 위하여 책을 편찬하기 시작하는데, 1618년(광해군 10년)에 처음 원고가 탈고되었고 1676년(숙종 2년)에 교서관(校書館)에서 활자로 간행되었다.

권1에서 권4까지는 동래와 부산포의 조선관리와 부산의 왜관(倭館)에 거주하는 일본인과의 대화를 중심으로, 일본인의 내왕과 접대, 무역할 때 사용되는 회화들을 문답체로 엮었다.

권5에서 권8까지는 저자인 강우성이 1617년, 1624∼1625년, 1636∼1637년 세 차례에 걸쳐 조선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왔는데 그 경험을 토대로 대마도, 오사카를 거쳐 에도를 왕복하는 동안에 일어난 일들을 학습하기 쉽게 대화체로 엮어 놓았다.

권9에서는 당시 일본의 8주(州)의 이름과 그에 속한 66군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10은 당시 대왜관계에 쓰이던 각종 공문서나 소로문체(候文體)의 서간문 서식을 담았다.

히라가나를 한 문장씩 쓰고 한글음을 나란히 쓴 다음, 연이어 한글로 뜻을 풀이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의의

237건의 학술논문이 있을 정도로 조선 중기 일본어와 한국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이후 만들어진 일본어 교습서인 인어대방과 함께 일본어 교육의 주 교재로 자주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