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동음이의어·다의어/ㅊ
1 대한민국의 지명
1.1 법정동
- 경기도 오산시에 있는 법정동(靑鶴洞). 행정동인 남촌동 관할하에 있다.
-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있는 법정동(靑鶴洞). 행정동인 청학동 관할하에 있다. 청학동(인천) 항목을 참조.
- 강원도 속초시에 있는 법정동(靑鶴洞). 행정동인 교동 관할하에 있다.
-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있는 법정동(靑鶴洞). 행정동인 청학1동, 청학2동 관할하에 있다.
1.2 행정동
1.3 자연마을, 옛지명
- 서울특별시 중구 남산동2가, 남산동3가 일대의 조선시대 지명.
-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삼산리에 있는 마을. 명승지인 소금강이 있다.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묵계리에 있는 마을. 자세한 내용은 청학동마을 문서를 볼 것.
2 한반도의 이상향
청학동은 동천복지형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청학(靑鶴)은 '태평시절과 태평한 땅에서만 나타나고 또 운다"는 전설의 새이다. 그래서 옛 사람들은 태평성대의 이상향을 청학동이라 불렀다. 고려시대의 이인로, 조선시대의 김종직과 김일손, 유성룡의 형인 유운용 등이 청학동을 찾아 나선 바 있다.
2.1 파한집
최초 문헌 기록은 이인로의 <파한집>이다. "지리산 안에 청학동이 있으니 길이 매우 좁아서 사람이 겨우 통행할 만하고 엎드려 수리를 가면 곧 넓은 곳이 나타난다. 사방이 모두 옥토라 곡식을 뿌려 가꾸기에 알맞다. 청학이 그 곳에 서식하는 까닭에 청학동이라 부른다. 아마도 옛날 세상에서 숨은 사람이 살던 곳으로 무너진 담장이 아직도 가시덤불 속에 남아 있다"라고 하였으나 청학동을 끝내 찾지 못하였다.
2.2 청학집
청학이라는 명칭과 관련해서는 조여적의 <청학집>이 있다. 이것은 조선 중기 쓰여진 것으로, 한국의 선가 도맥을 정리한 책이다. 여기에 청학상인이라는 선인이 등장하며 만년에 청학동에 삶터를 정했다는 내용이다. 이러한 사실로 보아 청학동의 사상적 성향이 선도 계통이라 생각하는 자들도 있다. 이 항목 기술에 참고된 <한국 이상향의 성격과 공간적 특징 -청학동을 사례로 >의 저자 최원석도 이와 같이 주장하였다.
2.3 청학동에 대한 분석
지리산이 삼국 및 신라시기에 선도의 본향이었다는 설을 고려하더라도 청학동의 시기적 기원은 고려 후기보다 거슬러 올라갈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청학동에 최치원을 가탁한 유적 및 설화가 다분히 전승되는 사실도, 조선조의 지식인들이나 민간인들은 청학동의 역사적 기원을 고려 후기 이전으로 소급해 인식했다는 단서이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지리산에 민중들의 피난처로서 인구가 유입되었다. 승정원 일기에 의하면 "작년 변란[1] 이후에 몸을 숨긴 사람들이 지리산 골짜기에 가득하다."거나 "작년[2]시끄러운 소문이 낭자하여 백성들이 다투어 지리산 아래로 달아나 피신하는 사람이 매우 많았다"는 표현이 이러한 사정을 잘 나타내고 있다. 그 과정에서 지리산 청학동에 관해 사회적으로 유포되었던 장소 정보와 장소 이미지는 유민들에게 인상 깊게 남았는지, 때를 같이하여 도참사상의 유행과 정감록 비결을 신봉하는 자들의 십승지 탐색이 일어 청학동의 장소정체성에 또 한차례 질적인 쇄신을 유발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