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Chekhov's gun
러시아의 작가 안톤 체호프가 정정한 극의 장치. 간단히 말하면 복선.
2 설명
"1막에 권총을 소개했다면 3막에서는 쏴야 된다. 안 쏠 거면 없애버려라"라는 내용. 떡밥은 반드시 회수해라 즉, 쓰지 않을 장치(복선이나 설명적 요소)라면 없애버리고,[1] 등장한 요소에 대해서는 그 효과가 이어져 가야 한다는 것이다.초반에 소개시키고 나중에 매우 중요한 장치로 써 먹어 독자나 관객으로 하여금 초반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한편으론 장황한 설정덕후들을 까는 장치이기도 하다.
맥거핀과는 반대되는 개념이다. 즉 맥거핀은 '안 쏘면서도 없애버리지 않은 총' 이다. 맥거핀은 작품상에서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풀어나갈 수 있게 하는 요소이지만 그 자체로서는 사실 별 의미없고 제대로 된 설명이 필요없는 것을 말한다. 제대로 된 설정을 의도적으로 숨기는 기법. 한마디로 일부러 떡밥을 던지고 안 푸는 것이다. 맥거핀도 어떤 의미에선 극중 장치로서 활용되니 체호프의 총 이론에 적합하다고 볼 수도 있다
무기나 총과 같은 것이 등장하고 그것이 특히 부각될 때[2] 보통 그러한 것들은 극 후반부에서 열에 아홉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코믹하게 연출될 때는 춤. 초반에 배웠던 춤 동작을 히로인과 함께 추면서 졸개들을 쓸어버리는 것이 주 패턴.
요약하자면, 현실의 벽난로 위에 총이 걸려있으면 그건 그냥 장식일수도 있지만... 소설에서 제한된 분량을 사용하여 '벽난로 위에 총이 걸려있다' 고 묘사를 했다면(영화라면 단순히 배경의 일부로 보여준 것이 아니라 클로즈업 등을 통해 부각시켰다면) 그 부각된 소재는 반드시 이야기의 진행 속에서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 사용되지도 않을 것을 괜히 부각시켰다면 그것은 분량과 노력의 낭비이며, 동시에 해당 작품을 산만하게 만드는 나쁜 요소가 된다는 이야기이다.
체호프의 총을 반대로 해석해보면 복선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다. 주인공이 3막에서 총을 쏘게 된다면 1막에서 총이 한 번쯤 반드시 나와줘야 한다. 사실 복선이란 있으면 좋고 없으면 그만인 문학적 '기교' 가 아니라 관객이 이야기의 전개를 납득할 수 있게 해주는 '필수 요소' 에 가깝다. 굳이 문학적 기교를 찾는다면 맥거핀를 넣어보는 것이 좋다.
3 예시 및 패러디
이것의 예로는 톨킨의 판타지 소설 반지의 제왕에서 갈라드리엘이 프로도에게 준 선물들이 있다.
기어와라! 냐루코양에서는 아주 착실하게 떡밥을 회수한다
이를 패러디(?)한 벽난로 위의 모닝스타라는 말도 있다.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평론가인 복거일이 이 '체호프의 총'을 예로 들어 이영도의 작품을 깠는데, 이에 격분한(...) 이영도의 팬들이 '어떤 설정이 뒤에 어떻게 쓰이는지 내가 보여주겠다!'며 조사하기 시작한 것이 시초이다.
패러디의 절정은 TvTropes 에서 맛볼 수 있는데, 여기엔 아예 체호프의 무기고라는 하위 항목이 있다. (...) 그중 절정은 슈뢰딩거의 총. '아직 관측되지 않은(연재되지 않은) 사건은 공개되기 전까지 현재 상황이나 독자의 반응에 따라 계속 변경된다' 는 이론이다.(...) 네이버 웹툰에서 작가가 베덧보고 스토리를 바꾼다는 이론과도 통할지도? 게다가 작품 속에서 이렇게 복선을 회수하는 역할을 하는 인물들을 칭하는 "체코브의 군인"들로 이뤄진 "체코브의 군대"라는 개념까지 만들어 가지고 논다... 소설 용어 하나로 세계정복 할 기세
스티븐 킹은 이 말을 뒤집어 "3막에서 총을 쏠 거면 1막에서 반드시 그 총을 등장시켜야 한다"라고 말했다. 다시 말해 뒷부분에 중요한 사건이 발생하게 된다면 그 앞부분에 그 사건의 배경, 인물 등을 필히 자세히 묘사해야 된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