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거핀

<a href="/w/엔딩 이후의 세계">엔딩 이후의 세계</a>의 등장인물에 대해서는 맥거핀(엔딩 이후의 세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개요

MacGuffin

"벽에 걸린 저건 뭔가요?"

"아, 저거요? 맥거핀이라고 합니다."
"맥거핀이라…어디에 쓰나요?"
"스코틀랜드 북부 산악지대에서 사자를 잡는 데 쓴답니다."
"스코틀랜드에는 사자가 없는데요?"
"아, 그럼 맥거핀은 아무것도 아니군요."
- 맥거핀 사용에 대하여 앨프리드 히치콕이 들려준 예시[1]

문학을 비롯한 여러 매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법으로, 작품상에서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풀어나갈 수 있게 하는 수단이나 동기가 되지만 그 자체로서는 사실 별 의미없고 제대로 된 설명이 필요없는 소재를 나타낸다. 발안자는 앨프리드 히치콕. 그의 1940년 작품 "해외 특파원"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히치콕의 영화 중에서는, 《사이코》가 맥거핀 사용의 대표적인 예로 손꼽힌다.[2]

상대 개념으로 '체호프의 총'이라 불리는 문학 이론이 있는데, 간단히 말하면 「총이 초반에 등장하면 그 총을 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어떤 복선이 등장했으면 그 복선이 회수되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이것을 아주 제대로 비틀어버린 것이 영화 《퍼니 게임》.

잘 사용하면 좋은 요소가 될 수 있지만 그렇다고 너무 남용하면 욕만 주구장창 먹게 된다. 특성상 동인설정이 생겨나는 원흉이 되기도 한다.

맥거핀을 활용한다면 이야기의 분위기를 바꿀 수 있다. 즉석어서 예시를 들자면, 태양의 빛이 조금씩 약해지고 있다는 소재를 깐다면 태양이 완전히 빛을 잃는 것은 몇만년 후가 될 수도 있고 이 설정은 회수되지도 않겠지만, 독자들은 저 문장만 보고 언젠가 태양이 사라지고 지구는 멸망하겠구나 라는 암울한 분위기로 작품을 보게 되는 것.

2 맥거핀의 예

잘 알려진 맥거핀으로는 《미션 임파서블 3》의 토끼발이 있다. 주인공과 악당이 이 궁극의 무기 토끼발을 손에 넣기 위해 싸우는 것이 줄거리이지만, 정작 영화상에서는 토끼발이 구체적으로 뭔지에 대해 아무 언급이 없다. 오히려 영화 최후반부에 주인공 이단 헌트(톰 크루즈)가 모피어스상사 로런스 피시번에게 "토끼발이 대체 뭐냐"고 하니까 안알랴줌"계속 근무하면 나중에 가르쳐줄게 ㅇㅋ?"라고 대답한다. 아주 노골적인 맥거핀이다.애당초 4,5편에서 국장이 바뀌었다.

브레멘 음악대브레멘도 맥거핀에 속한다. 브레멘은 모든 동물들이 모이게 되는 동기이자 목표였지만, 도둑들이 사는 집에 도착한 이후부터는 그 비중이 완전히 사라진다. 비교적 알기 쉽게 사용된 맥거핀의 사례이다.

작품상에서 별로 중요한 동기가 되지 않아 독자들에게 계속해서 궁금증을 안겨주되 제대로 설명되지 않는 인물이나 소재는 기믹이라고 한다. 《톰과 제리》에서 톰의 주인[3], 《맛의 달인》의 후쿠이 차장의 부인과 같은 얼굴이 안 나오는 캐릭터라든지, 있다고 여러차례 언급이 되어도 절대로 출연하지 않는 콜롬보의 아내, 맥가이버의 할아버지 등은 기믹이라고 할 수 있다.[4]

자주 맥거핀으로 사용되는 소재로는 돈, 보석, 보물지도, 비밀병기, 기밀문서, 밝혀지지 않는 사연 등이 있다.

쌀밥에 고깃국

3 맥거핀과 유사하나 맥거핀이 아닌 것

맥거핀에서 중요한 것은 작가가 의도적으로 장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제작자가 잊거나 넘겨버린 설정, 캐릭터, 이야기 등 미회수 복선 따위는 맥거핀이 아니다.

또한 작가가 의도적으로 밝히지 않은 설정을 통틀어 맥거핀이라 하는 것도 잘못되었다. 작가가 설정을 밝히지 않는 것으로 긴장감이나 박진감을 유발하려는 의도[5]가 있었다면 맥거핀이 되지만, 신비감을 주기 위해서 혹은 상상의 여지를 남기기 위해서 등 다른 의도로 설정을 밝히지 않으면 맥거핀이라고 할 수 없다. 그 경우는 차라리 진실은 저 너머에라는 말이 붙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시리즈나 특정 에피소드가 완결되기 전에는 맥거핀인지 아닌지 알 도리가 없다는 것을 기억하자. 어떤 장치가 맥거핀인지 아닌지는 당연히 이야기가 완결된 시점에서만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나무위키에서는 언제부터인가 맥거핀이라는 단어가 오용되고 있다. 심지어 이 항목 아래의 '예시' 문단에도 거의 대부분이 단순 미회수 복선이나 기믹을 맥거핀이라고 잘못 적어놓은 것이다. 이 용어를 사용하고 싶다면 이야기를 이끌어내거나, 서스펜스를 유도하기 위해 만든 작가의 의도적인 장치인지에 반드시 주의하도록 하자.

쉽게 알 수 있도록 예를 들자면 앞에서도 예를 든 바와 같이, 액션영화에서 항상 나오는 돈가방을 생각하면 된다. 돈이 든 가방이니 중요한 소재이고, 주인공과 악당이 원하긴 하지만, 대체 돈이 어디서 왔는지 여부와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는 절대 나오지 않는다. 그저 플롯을 전진시키기 위한 장치일뿐.

맥거핀과 기믹이 명확히 구별되는 점이 있다면, 맥거핀은 초반에 어느 정도 비중이 있는 설정이 소개되었다가 스토리가 진행되면서 그 설정의 존재의의가 부정된다는 것이다.

4 예시

맥거핀/예시 참조.

5 여담

엉덩국도 패러디(?)했다.

2015학년도 평가원 모의평가에서 해당 개념이 국어 영역비문학 지문으로 등장한 바 있다.

6 관련 문서

  1. 이 예시의 요점은 맥거핀이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이 아니라, 아무것도 아닌 소재가 6줄짜리 대화의 주체가 되었다는 점이다.
  2. 사이코의 초반부에는 마리온이 훔친 돈다발이 이야기의 중요한 동기가 되지만, 돈다발을 가지고 도망친 마리온이 노먼 베이츠의 호텔에서 살해당한 이후부터 돈다발은 존재의의를 상실한다.
  3. 다만 톰과 제리의 경우, 시즌에 따라서는 톰의 주인이 등장한다. 흑인 아줌마는 늘 손과 발만 나오지만, 백인 부부가 톰의 주인으로 등장하는 에피소드도 있기 때문이다.
  4. 맥가이버의 할아버지는 몇번 출연한다. 하지만 보지 못한 이들이 많다는 것이 함정
  5. 예를들어 "저 물건의 행방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 "그 사람은 언제 나오는거지?" 같은 종류의 긴장감이나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