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즈믹 커맨더

コズミックコマンダー / Cosmic Commander

사이버스텝사의 코즈믹 시리즈
강철전기 C21코즈믹 브레이크코즈믹 커맨더코즈믹 브레이크2코즈믹 브레이크 소라의 전단


400px

일본서버 홈페이지(2014년 7월 1일 서비스 종료)
한국서버 홈페이지(2013년 6월 21일 서비스 종료)

데모우르시스 전투
카오스 오리진 전투(후속 부대 전투 스킵)

1 게임 소개

C21코즈믹 브레이크를 만든 사이버스텝사 에서 만든 로봇 전략 시뮬레이션 웹게임. 플레이어는 자신의 로봇부대를 양성하여 여러 행성을 돌아다니며 전투하고 새로운 로봇과 재료를 모아 더욱 강력한 로봇 부대를 만들어 다른 플레이어와 협동, 대결을 벌인다. 한국서버는 2012년 6월 12일 오후 2시부터 26일까지 CBT를 실시하여, 매일 오전10시부터 오후 10시까지만 플레이가 가능했다. 7월 19일 페이스북에서 정식 서비스 시작. 그리고 2013년 6월 21일 서비스 종료한다는 공지가 올라왔으며 일본서버마저도 2014년 7월 1일 서비스 종료를 하면서 명이 완전히 끊겼다. C21이나 다른 코즈믹 시리즈로 수출된 기체 일부만이 해당 게임이 존재했다는 걸 증명할 뿐이다. 망했어요

코즈믹 커맨더 기반으로 제작된 Combat Bots Cosmic Commander가 있었으나 업데이트도 뭣도 없이 묻혔다. 그리고 다시금 만들어 출시하게 되는데...

2 구동 환경

추천 브라우저 : Internet Explorer 7.0 이상、Google Chrome
Flash Player 10.1 이상 필수
JavaScript유효 / Cookie유효로 설정.

3 게임의 흐름

3.1 본부

400px
Commander Base BGM

로봇 생산, 부대 편성, 기술지정 등을 수행하는 메인 페이지. 플레이어에겐 1레벨의 본부[1]가 기본 제공되며 본부에 레벨이 올라갈수록 수용가능한 부대와 로봇이 증가한다.

본부에 대기중인 로봇들을 지켜보고 있으면 서로 한 마디씩 드립을하며, 가끔식 플레이어에게 조언을 하거나 재료를 주워 플레이어에게 줄 때가 있다.귀여운 놈들... 본부의 레벨이 높을수록 더 희귀한 재료를 주울 확률이 높아진다.

3.2 팩토리

로봇 생산을 위한 공간. '코어'와 '재료', 'CASH'를 이용하여 로봇을 제조한다. 또한 웹게임이니만큼 제조 시간도 있다. 코어와 재료가 다 모였다고 해도 해당 G까지 닿지 못했다면 제조할 수 없다.

3.3 부대 편성

부대를 편성하지 않으면 게임을 플레이할 수 없다. 한부대에 가로와 세로칸을 합쳐 총 9칸 최대 구성원은 6기(대형 로봇은 2기로 친다.)구성이 가능하며, 각 기체들의 무장들은 부대 배치된 자리에 따라 전투 효율이 달라진다. 기지의 총 수용 인원이 적으면 당연히 부대를 많이 만들 수 없다.

3.4 미션

400px

3.4.1 메인 미션(빨강)

말 그대로 게임의 중심. 매 페이즈(턴) 마다 2시간의 대기시간이 있으며, 그 동안 타 유저의 지원을 받을 수 있고 미션이 진행될 수록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인원이 늘어난다. 한국유저 한정으로 부대가 오랫동안 자리를 비우기에[2] 원정이라고 부른다.

3.4.2 지원 미션(초록)

다른 커맨더의 메인 미션에 1부대를 지원해 줄 수 있다. 보내놓기만 해도 많은 경험치와 약간의 포상을 얻으니 노는 부대가 있으면 보내주자. 해당 커맨더에게 지원군이 도착하면 그 커맨더에게 대기시간 단축 카운터 하나가 부여되며 단 최종 거점을 남겨둔 상태에서는 해당 미션에 본대가 참전하지 않은 이상 타 커맨더를 지원하거나 지원받을 수가 없다. 이는 숨겨진 미션에서도 마찬가지.

3.4.3 싱글 미션(파랑)

말 그대로 혼자서하는 짤막한 미션. 대기시간이 없고 바로바로 전투가 가능한 것이 특징. 하지만 포상이나 경험치는 메인 미션에 비해 턱없이 적고 페이즈(턴)횟수가 제한되기에 제한 페이즈내에 클리어를 못하면 미션는 바로 실패하여 기체들 수명만 깎아먹게 되므로 주의. 클리어할 수록 점점 난이도가 상승한다. 기존에 클리어했던 스테이지를 고르려면 상위 미션을 포기해야하는 상당히 불편한 방법을 요구했다.

3.5 경기장(아레나)

원하는 시합에 부대를 엔트리해놓으면 무작위로 다른 커맨더와 전투하게 된다. 본선 개시까지 요구조건을 만족하면 본선에 진출하게 된다. 높은 순위를 기록할수록 대량의 CASH와 희귀 재료/코어를 얻을 수 있다.

3.6 제네레이션(G1~G6)

현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갱신된다. G가 높을수록 더 강한 로봇, 더 다양한 로봇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제네레이션이 모두 끝나면 G1로 회귀하며, CASH와 미션 진행, 로봇(코어로 반환된다), 랭킹 등 게임의 진행 정도가 초기화된다. 코어레벨과 유저 정보, 프라임 등은 연계된다.

4 로봇카드(로보다스)

마니모De퐁, 가라폰(운명의 레빗)을 이은 뽑기. 카드다스라고 불리는 일종의 카드뽑기 기계에 뺑뻉이 달린 형상을 하고있다. 사이버스텝사 특유의 캐쉬를 이용하여 통상의 게임에서 얻기 힘들거나 얻을 수 없는 기체의 코어와 재료를 획득 하는 구조의 복불복 방식. PRIME(캐쉬)와 CASH(게임머니) 로봇카드가 존재한다.

CASH 로봇카드의 상품은 1회당 한기의 기체만 얻을 수 있으며 코어를 얻을 수 없고 바로 기체가 재조되어 커맨더에게 보내진다. 일정횟수를 사용할때마다 가격이 높아진다.이런 얄미운 놈들!

5 로봇 관련

5.1 타입

  • 기체
    • 기동타입(파랑): 회피율과 명중률이 높다. 하지만 방어력이 약하다.
    • 중장타입(노랑): 체력과 방어력, 공격력이 높다. 하지만 회피율이 낮다.
    • 비행타입(빨강): 회피율이 좋고 앞에 한칸을 한정으로 아군이 있어도 접근공격이 가능하다. 하지만 체력이 낮다.
    • 특수타입: 일부 보스 전용 타입으로 상성을 무시한다.카오스 가더 및 거대보스들의 타입.
  • 공격
    • 물리(하양): 타입에 관계없이 데미지를 줄수있다.
    • 빔(파랑): 기동타입에게 높은 데미지를, 비행타입에게 낮은 데미지를 준다.
    • 충격(노랑): 중장타입에게 높은 데미지를, 기동타입에게 낮은 데미지를 준다.
    • 열성(빨강): 비행타입에게 높은 데미지를, 중장타입에게 낮은 데미지를 준다.

5.2 무기

무기 종류: 통상사격, 통상격투, 특수사격, 특수격투 등이 있다. 무기 종류마다 우선 공격하는 사거리 등에 차이가 있다.
공격력(□□ X △): 1발(1회)공격력 X 발사(타격)횟수.
명중: 수치가 높을수록 적을 맞출 확률이 높아진다.
공격간격 (□□s) :1회 공격후 대기시간. 짧을수록 다시 사용할 확률이 높아진다.[3]
공격속성: 공격속성을 나타낸다.
거리: 최적의 거리를 나타낸다. 기체의 배치하는 위치에 따른 무장의 명중율을 좌우하게 된다.

5.3 기술

계열: 기술 종류를 나타낸다. 격투계, 사격계, 강화계, 약체계, 회복계, 대열계 등이 있다.
SP: 필요 SP를 나타낸다.
사용 무장: 공격계 기술 사용시 어떤 무장을 사용하는지 나타낸다. 이는 해당 기술의 공격타입을 결정한다.
효과: 기술사용시 효과를 나타낸다.
범위: 기술사용시 적,아군 부대 내에 적용되는 칸범위를 나타낸다.
추가조건: 스킬 발동 여부를 결정하는 추가 룰 혹은 특별히 스킬 대상을 지정하는 텍스트가 포함된다.

6 배틀(전투)


Battle Stage BGM1[4]
Battle Stage BGM2[5]
Battle Stage BGM3[6]

전투에 돌입하게 되면 선택순서에 따라 한 부대씩 차례대로 전투에 돌입한다. 부대의 각 기체들은 전투전 본부에서 배치된 위치와 설정된 기술에 따라 전투효율이 달라지며 라운드 중간마다 SP를 확인하여 각기 설정된 기술을 활용하여 전투에 임한다.

한 전투 당 총 3라운드로 나뉜며 3라운드가 끝나는 시점에서 많른 스코어를 획득하거나 그 전에 한쪽을 부대를 전멸시킨 부대가 승리하게 된며 아무리 스코어가 높다 한들 부대가 전멸하면 말짱 도루묵. 단 예외로 미션에서 포탑 같은 적기체가 아닌 구조물에 경우 스코어가 높아도 구조물을 파괴를 못하고 라운드가 끝나면 패배하여 퇴각하게 된다.

대규모 전투를 할경우 선봉부대 전멸하거나 정상적인 전투가 불가능할 정도로 피해를 입기 전까진 후속부대는 전투할 일이 없어진다. 선봉부대가 모든 전투를 끝내도 경험치는 같이 배치된 후속부대도 받을 수 있으니 너무 걱정말자.

6.1 SP

전투전에 본부에서 미리 설정해 두었던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게이지. 1라운드 중간에 적에게 많은 피해를 주거나 또는 피해를 입으면 많은 양이 차오르며 필요한 기술 SP게이지에 도달할시 자동으로 발동된다. 양측에서 필요 SP가 차며는 높은 스코어(점수)를 낸 부대가 먼저 기술을 발동시킨다.

6.2 로스트

"저 아직 싸울 수 있어요..." 대장이 죽었어!

기체명 옆에 노랑 하트와 최대 숫자100의 노랑게이지가 있을 것이다.[7] 출격할 때마다 줄어들고 전투 중 격추당하면 더 많이 줄어들어 0이 될시 PRIME을 소비하면 기체를 제작 직후의 상태로 부활시켜 자신과 같은계통 기체에게 일정 경험치를 줄 것인지, 유언과 함께 그냥 소멸시킬 것 인지 결정할 수 있다.

한국서버 한정으로 프라임이 아닌 캐쉬를 이용해서 부활이 가능하지만 3시간의 부활시간이 필요하고 강력한 기체일수록 무시무시한 캐쉬를 요구한다.

7 등장 기체

코즈믹 커맨더/기체목록 항목을 참조.
  1. 총 8부대가 대기가 가능하며 7대의 로봇을 수용할 수 있다.
  2. 1페이즈에 보내서 전투하면 2페이즈에 다음행동을 위한 해당미션지역에서 대기, 그리고 2페이즈에서 아무런 행동을 하지않으면 3페이즈에서 자동으로 본부로 귀환한다.
  3. 시간이 되었다고 바로 쓰는것이 아니다.
  4. 우주공간에서 전투시 테마.
  5. 지상 및 동굴,광산에서 전투시 테마.
  6. 기지외부 및 내부에서 전투시 테마.
  7. 한국 서버에서는 현재 이 그래프가 안보이며, 때문에 언제 한계에 도달할지 모르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