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탄폴 2/타이탄

400px
타이탄폴 시리즈
타이탄폴캠페인 · 파일럿 · 타이탄 · 번 카드 · 등장 메카닉 ·
타이탄폴 2캠페인 · 파일럿 · 타이탄 · 도색 · · 업적

1 개요

타이탄폴 2의 등장 타이탄과 타이탄 장비를 설명하는 문서. 아직 개발중인 게임이므로 실제 출시 버전과 내용에 차이가 날 수 있다.

타이탄은 타이탄폴 세계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거대 1인승 탑승형 2족 보행 병기로 궤도 투입을 통해 전장에 빠르게 배치가 가능한데다 무시무시한 방어력과 공격력을 보유하고 있다. 지면만 있다면 어느 곳에서나 강하 후 높은 화력을 투사할 수 있으므로 타이탄폴 세계관의 전장에선 현대의 전차만큼이나 지상전에서의 비중이 크다. 따라서 혹독한 훈련을 통해 타이탄을 능숙하게 다를 수 있는 파일럿 역시 매우 귀한 대접을 받는다. 플레이어는 기본적으로 파일럿으로 시작하여 타이탄을 호출해 탑승하게 된다.

타이탄 별로 레벨업 시스템이 도입되었으며, 레벨에 따라 신규 능력이 해금된다.

각 타이탄마다 전용 무장이 존재하며 변경할 수 없으나, 싱글플레이 캠페인에서 등장하는 타이탄 BT는 일정 구간에서 나오는 무기를 먹으면 언제든 로드아웃을 바꿀 수 있다.

1.1 호출과 탑승

전작과 마찬가지로 타이탄 빌드 타임이 정해져있었으며 가만히 있어도 시간이 줄어들며 그런트/스펙터/파일럿 사살, 타이탄 공격 등으로 점수를 얻으면 추가적으로 시간이 줄어들어 타이탄을 부를수 있는 형식이다.[1] 호출 게이지가 차오를 때 차오르는 파란색 게이지 외에 노란색 게이지가 생기는데, 이 노란 게이지는 파란 게이지를 초과해 충전되며 서서히 줄어든다. 완전히 줄어들기 전 추가로 적을 공격하여 게이지를 획득하면 보너스로 많은 파란 게이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연속 처치를 하면 게이지를 빨리 채울 수 있다.

호출 게이지가 완충되면 타이탄을 호출할 수 있다. 호출한 타이탄은 5초 후 전장에 도착하며 워프폴 송신기로 도착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호출된 타이탄은 별도로 명령을 내리거나 탑승하지 않는 한 그 자리에 가만히 있으며, 명령을 내려 자리를 지키며 적과 교전하거나, 플레이어를 따라 움직이며 교전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전작엔 호출 후 움직이지 않으면 돔 실드라는 보호막이 생겨 타이탄을 안전하게 보호했지만, 이번 작에선 '버블 실드'라는 기능으로 분리되었으며,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장착하지 않을 수 있다.

가까이 접근해서 탑승 버튼을 누르면 방향과 상관없이 탑승이 가능하며, 플레이어가 위상 탑승을 장비했다면 어디서든지 순간이동 탑승이 가능하다.

1.2 무장

각 타이탄은 주무기, 병기, 전술, 방어, 코어 능력이 있다. 자유롭게 설정이 가능했던 전작과 달리 각 타입별로 정해진 무장만 사용할 수 있다. 대신 킷으로 특정 무장을 강화하는 것은 가능하다.

  • 주무기는 아무런 제한 없이 쓸 수 있지만, 기종에 따라 재장전이 필요하기도 하다. 기종에 따라 정조준 발사시 2차 발사 모드로 전환된다.
  • 병기, 전술, 방어 능력은 타이탄에 따라 각각 일정량의 에너지를 소비하거나 쿨타임이 있다. 아이온의 경우 에너지를 소비하며[2]나머지 타이탄들은 쿨타임이 돈다.
  • 코어 능력은 일종의 궁극기로, 적을 공격/사살 또는 배터리 코어를 습득하여 게이지를 모아 끝까지 채우면 사용할 수 있다.

1.3 기동

타이탄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걸어 이동하거나 질주를 할 수 있으며, 질주 중엔 무장을 사용할 수 없다.

타이탄은 부스터를 가동해 빠르게 지면을 미끄러지듯 이동하는 '대시'가 가능하다. 허나 이번 작에선 스코치같이 아예 대시가 없는 기종도 있다. 대시는 대시 게이지를 하나 소모하며, 대시터보 엔진 킷으로 대시 게이지를 하나 추가 가능하다.

1.4 체력 시스템

전반적으로 전작보다 생존성이 크게 내려갔다.

일단 전작에서 기본적으로 장비했던 바디 실드가 없다. 이 때문에 교전 시간과 타이탄 생존 시간이 무척 짧아졌다.

이번 작에선 로데오를 하면 뚜껑을 뜯어 총을 갈기는 게 아니라, 타이탄 상단에 장착된 녹색 원통형의 '배터리 코어'를 뽑아버리게 되었다. 배터리 코어를 뽑히면 타이탄은 일정량의 피해를 입게 된다. 배터리 코어는 훔친 파일럿이 들고 다니게 되는데,이 때 배터리 코어를 빼앗긴 파일럿은 배터리 표시가 빼앗아간 파일럿에게 잠시동안 크게 표시되고,소나에 감지된 것처럼 실루엣도 보인다. 파일럿이 죽으면 그 자리에 드랍된다. [3]
배터리 코어를 주워 자신 또는 아군의 타이탄에 장착시키면[4] 체력이 약간 회복되고, 실드가 생긴다. 하지만 전작의 바디 실드와 달리 일정시간 피해를 입지 않는다고 해서 실드가 다시 차오르진 않는다. 즉 엄밀히 말하자면 추가 체력에 가깝다. 물론 일단 실드는 실드인지라 깨지면 전작의 붉은색 실드 파괴 이펙트와 끄응 신음소리(?)를 들을 수 있다. 배터리 코어를 탑제한 후 로데오를 당해 배터리 코어를 다시 잃으면 당연히 실드를 잃고 체력도 깎인다. 다시 파일럿을 죽여 배터리 코어를 재탈환해 설치하면 빼앗기기 전 까지만의 체력과 보호막이 회복되어 무한 실드 + 체력회복을 하는 사태를 방지한다.
배터리 코어가 빠진 상태에서 로데오를 당하면 배터리 구멍에 수류탄을 집어넣어 피해를 입게 된다.

체력이 전부 깎이면 반파상태가 되며, 체력 게이지가 검은색 + 노란색 줄무늬로 바뀐다. 전작에선 이 상태가 되면 불타는 테란 건물 마냥 자동으로 체력이 쭉쭉 깎이다 터졌지만, 이번 작에선 체력이 자동 소모되지 않는다. 즉 반파 상태로도 맞지만 않으면 반영구적으로 버틸 수 있다는 말이다. 또한 전작에선 반파상태에서 내리면 자동으로 타이탄이 와장창 부숴졌지만, 이번 작에선 계속 AI모드로 가동하게 되었다. 반파상태에서도 배터리를 습득하여 체력을 체울 순 있지만, 체력을 끝까지 체워도 반파 이전상태로 돌아갈 수는 없다.

전작과 달리 실드가 없기 때문에, 타이탄의 약점이 처음부터 반짝반짝하게 표시된다. 그리고 아군의 타이탄에 올라가도 실드의 보호를 전혀 받지 못한다.
전작에선 파일럿의 주무장으로 타이탄을 때려도 굉장히 피해량이 낮았으나[5] 이번 작에선 상당한 댐딜이 가능해 졌다. 대신 주무장으로 타이탄 댐딜을 하려면 반드시 약점을 맞춰야 하며 약점이 아닌 곳에 쏘면 피해를 입지 않는다. 대타이탄 무기와 폭발물 계열 주무장은 약점이 아닌 곳에 맞아도 고스란히 피해가 들어간다.

캠페인에선 전작과 마찬가지로 자동 회복되는 보호막을 갖추었으며, 편의를 위해 배터리 코어를 그냥 밟고 지나가는 것 만으로도 흡수 가능하다.

1.5 기타 시스템

  • 비상탈출
주로 반파 상태에서 쓰지만 멀쩡할 때에도 강제 발동할 수 있다. 다만 핵자폭을 갖고 강제 사출사용시 핵자폭이 적용되지 않는다. 사용시 사출좌석처럼 플레이어를 하늘 높이 날리고, 타이탄은 폭발한다.
  • 근접공격
주먹질을 한다. 파일럿이나 미니언 등은 한방에 골로 가고, 타이탄은 큰 대미지와 넉백을 먹는다.
  • 처형
상대 타이탄이 반파 상태일 때 근접 공격을 하면 타이탄 고유의 모션으로 상대방 타이탄을 끔살시킨다. 다만 모션이 좀 길며, 모션 중에는 무적이다.
  • 뺑소니
파일럿이나 미니언을 향해 달리거나 대시를 하면 밟거나 충돌해 쳐 죽인다.

2 섀시

이번 작에선 총 6 종류의 타이탄이 등장한다.
주무기를 비롯한 각종 장비가 전작과 달리 별도로 세팅할 수 없고 각 타이탄별로 지정되어 있으며,스킬은 각각 병기(공격용),전술,방어,코어 스킬 4개로 이루어져 있다. 대신 키트는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노즈아트와 도색으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2.1 아이온(Ion)

아이온은 에너지 관리 기능으로 3개의 병기로 에너지를 전환합니다.
600px
공격력 ★체력 ★★기동력 ★★난이도 ★
스플리터 라이플고속 단발 에너지 병기로, 아이온의 중앙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3발 동시 발사도 가능하다.
병기전술
100px레이저샷100px인계철선
어깨에 장착된 레이저로 관통력이 높다.설치 후 레이저로 적을 감지하여 폭발하는 지뢰.
방어코어
100px볼텍스 실드100px레이저 코어
전작의 그것. 적 원거리 발사체를 흡수하고 되돌려 줄 수 있다.가슴에서 거대한 레이저를 지속적으로 발사한다. 저지력이 매우 높다.맥시마 레이저

레이저 병기 특화형 타이탄으로, 전작의 아틀라스를 개량한 것으로 추정된다. 화력 집중형으로 트레일러에선 레이저샷으로 로데오를 시도하는 파일럿의 허리를 댕강 잘라먹고, 엄청난 위력의 레이저 코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강렬한 인상을 주었다. 처형 모션은 전작의 오거의 모션을 어느 정도 계승했는데, 처형이 시작되면 처형 당하는 측이 먼저 주먹을 휘두르나 아이온이 이를 막아 버리고, 그대로 팔을 뽑아버린 다음(여기까지가 오우거의 처형 모션과 같다) 총구를 파일럿 해치 안으로 쑤셔넣어 마구 쏴 터뜨린다.

고유의 에너지 시스템이 있는데, 화면 중앙 좌측에 에너지 게이지가 있다. 이 에너지는 각종 능력을 쓰는데 소모되며 따라서 병기와 에너지의 효율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에너지는 사용하지 않을 때 자동으로 재충전된다. 대시는 전작의 오우거처럼 한칸밖에 없다.

주무기인 스플리터 라이플은 에너지 고속 연사무기인데, 조준사격시 에너지를 소비하여 한발에 3발씩 고속으로 연사해 엄청난 순간 폭딜이 가능하다. 기본 탄창은 40발.하지만 1발당 3발씩 발사가 가능해 사실상 120발이다.

레이저샷은 어깨에 부착된 레이저 병기로, 한번 단발로 퓩 발사한다. 지속발사가 아니라 한발 발사하고 말기 때문에 보병 상대로는 정확한 조준이 필수. 타이탄 상대로도 꽤나 아픈 피해를 입힌다.

인계철선은 3개의 지뢰를 뿌리며, 각 지뢰는 서로 레이저로 연결된다. 이 레이저 인계철선을 적이 건드리면 격발하게 된다. 적에게도 잘 보이며 공격해 파괴할 수 있기 때문에 대놓고 깔아두면 잘 걸리지 않으며, 오히려 적에게 직접 투척한다는 느낌으로 쓰면 잘 맞는다.

볼텍스 실드는 전작의 그것과 동일하다. 적이 발사한 투사체를 모아둔 다음 반사시킬 수 있다.

레이저 코어는 전방으로 엄청난 위력의 레이저 빔을 지속 발사하는 코어 능력으로 톤의 입자벽 따위는 일격에 찢어버리는 화력을 자랑한다. 직사화기란 점이 단점이라면 단점일 듯.

중장거리에서 굉장히 강력한 위력을 자랑하는 기종이다. 기본 공격력 자체도 따끔하지만, 기본적으로 모든 무기가 탄속이 빠르고 레이저의 경우 락온 시스템이 없이 공격이 즉발로 들어간다. 이 때문에 레이저 충전만 잘 찍어서 엄폐물 사이로 니가와를 시전하고 평타 조준연사만 해도 상대편 타이탄은 너덜너덜해진다. 레이저코어일 경우, 투사체없이 즉발로 나가는 형태이면서 대부분의 실드를 뚫어버리므로 단독 및 소수전에서는 엄청난 위력을 발휘한다. 단점이라면 레이저 코어 이전까지는 버스트 딜링이 부족하다는 점. 또한 인계철선을 제외하면 죄다 직선 공격이다 보니 개활지에서의 싸움에선 유리하지만 엄폐물이 많은 지역에선 다소 약하다.

2.2 스코치(Scorch)

스코치는 주 공격 및 방어 수단으로 을 사용합니다.
600px
공격력 ★★★체력 ★★★기동력 ★난이도 ★★
T-203 화염유탄 발사기단발형 유탄발사기로 탄착시 화염을 일으킨다.
병기전술
100px파이어월100px발화 함정
적 방향으로 화염유탄 벽을 발사한다.조금만 충격이 가도 폭발하는 가스 캐니스터를 투척한다.
방어코어
100px열 보호막100px플레임 코어
고열의 보호막이 날아오는 날아오는 비행체를 녹여버리고 근처의 적에게도 피해를 입힌다.거대한 불의 쓰나미를 일으킨다.

외형에서 전작의 오거의 개량형임을 쉽게 알 수 있다.[6] 이름처럼 화염을 공격 및 방어용도로 쓸 수 있다. 뚜껑 중앙의 카메라 유닛이 눈이 다닥다닥 붙은 것 같아 좀 징그럽다는 평도 있다. 불을 사용한 장판딜이 특기며, 대부분 공격이 범위 공격인데다 판정이 오래 남아 적의 접근을 막는 데 특화되어 있다. 다만 불 공격은 스코치 자신에게도 피해를 입히기에 조심스러운 운영이 필수다.

중근거리 화력 투사, 지점 장악 및 전선차단에 능하며, 국지 수비에 강한 면모를 보인다. 투사체 및 파일럿을 녹이는 쉴드에 장판딜 스킬만 두개가 붙어서 지속데미지로 코어충전도 빠르게 차오르고, 무엇보다 코어능력이 소름끼치도록 강력하다. 단점은 파이어월을 제외한 타 기술들이 선딜레이가 크고 제한이 많아 순간적인 대응에 느리다는 점이다. 톤의 배리어 앞에서는 파이어월을 포함한 기술들이 대부분 막혀버리기 때문에 톤에게 상성상 불리하다.

핵꿀밤을 먹인 다음 발로 걷어찬 후 열 보호막으로 지져버리는 화끈한 처형 모션이 있다. 기본적으로 대시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며, 대시를 쓰려면 타이탄 킷으로 달아줘야 한다. 체력은 8칸.

주무기인 T-203 화염유탄 발사기는 스플래시 대미지가 있으며 탄착지점에 불이 일정시간 지속하면서 계속 도트 대미지를 줄 수 있다. 타이탄이나 리퍼 등 덩치있는 메카닉에 직격하면 기체에 써마이트가 묻어 방어 불가능한 지속 피해를 입힌다. 하지만 한발 발사 후 긴 장전시간이 있는데다 곡사무기라 날고 뛰는 파일럿 잡기는 상당히 어렵고, 타이탄 전에선 한발 놓치는 게 큰 딜로스를 일으키기에 정확한 조준을 요구한다.

파이어월은 주먹으로 땅을 내리쳐 전방으로 전진하는 불꽃을 발사하는108식 어둠쫓기 기술로, 불꽃이 지나간 자리에 화염 벽이 남아있어 공격 판정이 일정시간 유지된다. 보통 적 공격용으로 정면으로 발사하지만, 적절하게 가로로 깔아두면 적의 접근을 봉쇄할 수 있다.

발화함정은 광역 댐딜기로, 2개가 충전되며 탄착 지점에 녹색 가스 연막을 형성하고, 여기에 화염 공격을 가하면 가스 지대 전체가 불타오르게 된다. 적이 발화함정을 공격하면 불이 붙는다. 투척 거리가 좀 짧으니 거리 측정을 잘 해야 한다.

열 보호막은 방어와 공격 둘 다 가능한 전방보호 실드. 당연하다면 당연하달까 실탄 계열 공격만 막고 에너지 공격은 막을 수 없다. 허나 이 기술의 진가는 흉악한 공격력으로, 주먹질보다 훨씬 DPS가 높은데다 넉백도 없기 때문에 적 파일럿이든 타이탄이든 근거리를 잡히면 이걸 키고 지져 버리면 된다.

플레임 코어는 두 주먹을 동시에 내리쳐 강력한 화염 웨이브를 전방으로 발사하는 기술이다.

플레임 코어가 있다면 평타 - 파이어월 - 발화 함정 - 플레임 코어 콤보로 적 타이탄을 녹여버릴수 있다. 곡사공격 장판딜과 로데오에 비교적 자유롭다라는 특징 상, 건물이나 장애물이 많아 좁고 움직이기 힘든 곳에 자리잡아, 지붕, 건물 안밖, 바닥까지 불지옥으로 만들어 파일럿, 타이탄 관계없이 괴롭혀주면 좋다. 적 아이온이 볼텍스 실드를 켜도 그냥 바닥에 대고 장판딜을 넣도록 하자.
화염 계열 공격이 대부분 공격 판정이 오래 남기 때문에 적과 교전시 계속 자신을 노출시킬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적절한 엄폐 플레이시 생존률이 매우 높다. 비록 기본적으로 대시는 없지만 체력이 높고, 엄폐물 뒤에 숨어 빼꼼샷으로 공격한 뒤 숨어 버리면 상대방으로썬 답이 없다. 어떻게든 공격하고자 가까이 접근하면 열 보호막의 흉악한 DPS에 역관광 당하고, 체력이 낮은 스코치를 쫓아가 마무리 지으려 해도 스코치는 미리 바닥에 불을 질러 놓거나 파이어월을 깔아놓아 접근을 방해한 다음 도망갈 수 있다.

2.3 노스스타(Northstar)

노스스타는 비행 및 정밀 사살의 달인입니다. 하늘을 나는 저격수죠.
600px
공격력 ★★★체력 ★기동력 ★★★난이도 ★★
플라즈마 레일건확대조준시 챠지가 되는 저격 레일건.
병기전술
100px클러스터 미사일100pxVTOL 호버
탄착시 지속적인 폭발을 일으킨다.수직으로 상승해 부유한다.
방어코어
100px테더 트랩100px비행 코어
근처의 적 타이탄을 무력화시키는 지뢰.공중에 떠서 아래 있는 적에게 로켓을 쏟아붓는다.

저격 + 비행형 타이탄. 주무기는 전작의 플라즈마 레일건이다. 아직 자세한 정보는 없지만 비행특화라 극한의 경량화를 했는지 몸이 로닌보다 허약해 보인다. 보통 전술 쪽에 배치되어 있는 설치형 무장이 방어에 포함되어 있고 방어 쪽에는 모두가 달고 있는 실드조차 없다. 다만 멀리서 엄폐물 뒤에 숨어서 호버링을 이용한 빼꼼샷을 날리는 식으로 공격하다가 적이 다가오면 지뢰로 묶고 도망갈 수 있기에, 지형에 따라서는 생존능력이 재법 좋은 편이다.
처형 모션은 먼저 다리로 적 타이탄 발을 걸어 자빠링한 다음, 위에 올라타 주무기로 마무리한다.

플라즈마 레일건은 전작의 동명의 무기와 같다. 최대 6단계까지 챠지하여 피해량을 높일 수 있으며 풀챠지시 매우 강력한 위력을 자랑하지만 스플래시 대미지가 일절 없고 연사가 느려 파일럿 잡기엔 어렵다. 조준상태에서 질주 버튼을 누르면 줌인이 되는 기능이 생겼다.

클러스터 미사일 역시 전작의 동명의 병기와 유사하다. 일직선으로 날아가는 미사일을 발사, 탄착지점에 다수의 폭발을 일으킨다. 느려터지고 정확도도 낮은 전작의 돼지미사일과 달리 빠르고 정확해 보인다.

VTOL 호버는 수직상승해 일정시간동안 3~4층 정도의 높이의 공중에 머무는 기술로, 공격 위치 확보에 유리하지만 반대로 자신도 하늘에 붕 뜬 표적이 될 수 있기에 주의를 요한다.

테더 트랩은 한 개의 지뢰를 살포하는 기술인데,[7] 적 타이탄이 접근하면 케이블을 발사해 고정시켜 움직임을 제한한다.[8] 공격해 제거할 수 있다.

비행 코어는 VTOL 호버와 로켓 샐보가 합쳐진 듯한 코어 능력으로 공중에 붕 떠서 직사 로켓을 마구 발사한다. 코어 사용시 팔을 신난듯부르르 떠는데 앙증맞다(...).

저격 클래스면서 정작 코어 능력은 거리가 멀어질 수록 명중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대방이 따라오도록 테더 트랩으로 유도한 다음 기습적으로 써 주는게 효과적이다.

2.4 로닌(Ronin)

로닌은 사무라이 느낌으로 근접전을 즐기며, 빠르게 치고 빠집니다.
600px
공격력 ★★체력 ★기동력 ★★★난이도 ★
레드월 샷건3발의 탄환을 동시 발사하는 리볼버형 샷건. 총 3번 발사가 가능하며, 탄이 표면에 충돌시 튕긴다.
병기전술
100px아크 웨이브100px페이즈 대시
검을 휘둘러 지면을 타고 일직선으로 직진하는 폭이 좁지만 사거리는 긴 전격 웨이브를 발사한다. 맞은 적은 느려진다.지정된 방향으로 순간이동 대시를 한다. 즉 점멸.
방어코어
100px소드 블록100px소드 코어
검으로 적의 공격을 방어한다. 무기한 방어할 수 있지만, 피해량을 줄여줄 뿐 완전 흡수해 주진 않는다.검에 전력을 흘려 피해량을 대폭 강화시키며 특수 공격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검사형 타이탄. 스트라이더의 개량형으로 보이지만 상당히 많이 개조되었다. 근접공격이 펀치가 아니라 칼을 꺼내 휘두르며, 주먹보다 공격 범위,사거리,데미지 모두 주먹보다 좋다. 이때문에 근접전에서 검을 사용해 매우 높은 뎀딜이 가능하지만 그에 비해 주무기는 조금 약해 보인다. 체력은 겨우 3칸 뿐이다.

근거리전 특화인데 방어력이 약하다는 설정 때문에 아무래도 초보가 다루기엔 상당히 까다로울 것으로 예상된다. 빠른 속도와 페이즈 대시를 응용한 기습이 중요하리라 본다.

처형시 적 타이탄을 내려 베어 쓰러뜨린 다음 검을 역수로 들고 내려 찔러버린다.
주무기 레드월 샷건은 샷건 답게 여러 개의 탄환을 발사하는데, 총구는 3개인데 8개의 탄이 발사된다(?). 탄퍼짐이 가로로 퍼지기 때문에 한번에 여러 보병을 쓸어버릴 수 있다. 다만 샷건인 만큼 원거리 화력은 약할 것으로 추정된다. 로닌의 진짜 주무기는 검이며 레드웰 샷건은 어디까지나 보조용이기에...

아크 웨이브는 맞은 적을 둔화시키기에 주로 공격하기 앞서 미리 맞춰두는 식으로 사용된다.

페이즈 대시는 일정시간 무적+투명 상태로 고속 돌진하는 기술로 적의 공격을 회피하며 접근할 수 있으며, 도주나 기습 등 다양하게 쓰인다. 다만 사용중에는 자신도 적을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페이즈 대시가 끝날때 끝나는 위치에 적 타이탄이 있을경우 즉사한다!

소드 블록은 적의 공격을 막을 수 있으며 별도의 자원 소모나 쿨타임 없이 계속 쓸 수 있지만 가드대미지가 들어온다.

소드 코어전작의 대시코어처럼 발동 순간 대시 게이지를 전부 채워주며, 대시 소모시 게이지를 매우 빠른 속도로 충전해주며, 검에 강력한 전류를 흘려 근접 공격을 강화시킨다. 소드 코어 중에는 처형모션이 등장하지 않고 그냥 일도양단해버린다.

2.5 톤(Tone)

톤은 효과적으로, 그리고 폭발적으로 적을 초토화하는데 특화되었습니다.
600px
공격력 ★★체력 ★★기동력 ★★난이도 ★★★
트래커 40mm40mm 트래커 캐논은 반자동 폭발탄을 쏜다. 맞은 적에게 부분적 록온이 된다.
병기전술
100px추격 로켓100px소나 록온
완전히 록온 한 적에게 미사일을 발사한다. 완전 록온 필요.탄착지 주변 지역의 적을 드러내고 부분적 록온을 한다.
방어코어
100px입자 벽100px샐보 코어
톤 앞에 보호막을 설치한다. 톤은 이 벽을 관통해 공격 가능하다.발사 후 유도 가능한 로켓을 무수히 날린다. 톤이 보고있는 록온된 목표를 우선시한다.

유도무기 특화 타이탄. 전반적으로 매끈하고 세련된 디자인이다. 대시 게이지는 기본 2개. 체력은 4칸이다. 처형 모션은 먼저 무릎으로 가격해 쓰러뜨린 후 파일럿을 해치에서 끄집어 내 하늘로 던지고, 주무기로 격추시켜 버린다.

주무기 트래커 40mm는 전작의 40mm 캐논의 개량형이다. 마찬가지로 직선으로 비행하는 탄을 쏘며 착탄시 폭발을 일으키는, 직사 + 스플래시 대미지를 갖춘 전천후 무기다. 이걸 맞은 타이탄과 리퍼는 부분적 록온(1/3)이 되며, 3번 공격해 완전 록온이 되면 추격 로켓을 사용할 수 있다. 치명타 부위를 맞추면 DPS가 아주 높으며, 실제로 치명타만 잘 맞출 자신이 있다면 추격 로켓을 쓰지 않는 게 더 높은 누적 피해를 입힐 수 있다만 어지간하면 로켓을 쏘는게 좋다. 기본 탄창은 12발이다. 스플래시도 있고 직격시 파일럿을 한 방에 보내버릴 수 있어서 톤은 파일럿 잡기 가장 좋은 타이탄으로 꼽힌다.

추격 로켓은 현재 록온 된 상대에게 유도되어 날아가는 다수의 로켓을 발사하는 기술이다. 유도 성능이 무지하게 좋기에 코너를 돌아 숨은 적도 쫒아가서 맞춘다. 여러 상황에서 대 타이탄 DPS에 큰 기여를 해 주는 기술. 다수의 타겟에게 록온 후 발사하면 로켓이 분산되는 게 아니라 록온한 적 수 만큼 배가되며, 결과적으로 한 타겟에게 동일한 수의 로켓이 붙게된다.

소나 록온은 파일럿의 펄스 블레이드와 유사하다. 차이점이 있다면 범위가 어마무시하게 넓은 것. 탐지 파장을 일으키는 특수 탄을 발사하며, 여기 탐지된 적은 벽을 뚫고 외곽선이 보이는며 타이탄은 록온 스택 하나가 쌓인다.

입자 벽은 전작의 전술 능력과 같다. 톤 앞에 보호막을 설치하며, 적 화기는 이 벽을 뚫을 수 없지만 톤은 벽을 무시하고 공격할 수 있다. 다만 전작과 달리 공격을 받으면 점점 색이 붉어지고 결국 깨져버린다. 투사체 공격은 잘 막지만 아이온의 레이저 코어는 한틱도 못 막으므로 주의.

샐보 코어는 엄청난 수의 유도 로켓을 날리는 기술로, 다소 천천히 날아가기에 날아가는 도중 록온 타겟을 바꿔 타겟 전환이 가능하다.
썼는데 벽에 부딪히거나 상대가 방어기술 쓰면 절로 욕이 나온다

2.6 리전(Legion)

리전은 방어와 통제에 특화된 탄도 관련 기술을 사용합니다.
600px
공격력 ★★★체력 ★★★기동력 ★난이도 ★★★
프레데터 캐논발사하기까지 긴 예비 회전이 필요한 강력한 미니건.
병기전술
100px파워 샷100px모드 전환
근거리 : 근처의 적을 밀어낸다.
원거리 : 탄 궤적상 모든 적에게 피해를 입힌다.
근거리 탄/원거리 정밀탄 전환.
방어코어
100px건 실드100px스마트 코어
프레데터 캐논에서 보호막을 생성한다.프레데터 캐논이 범위 내 적에게 자동으로 조준한다.

I'm Heavy Weapons Titan.

주무기인 프레데터 캐논에 올인한 타이탄으로, 병기, 전술, 방어, 코어 능력 전부 프레데터 캐논 관련이다. 전반적으로 다루기 쉬우며 조준만 좋다면 DPS도 높다. 특히 건 실드 덕분에 전면 공격을 막으면서 동시에 공격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방어와 공격을 동시 가능하다는 점은 매우 큰 메리트. 전방 실드와 프레데터 캐논의 화력 덕에 스코치와 마찬가지로 1대1 및 국지방어에 뛰어나다. 하지만 아이온과 마찬가지로 공격이 죄다 직사다 보니 엄폐물이 많은 맵에서 상당히 불리하며, 즉발성 공격기와 대시 능력이 없어 기습에 취약하다.

처형시 적 타이탄 복부를 프레데터 캐논으로 찍어 번쩍 들어올린 다음 갈겨버린다. 스코치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대시 게이지가 없다. 체력은 5칸.

프레데터 캐논은 전작의 XO-16 체인건과 마찬가지로 대 타이탄이든 대 보병이든 전부 좋은 효율성을 보이지만 직사 화기다 보니 엄폐에 약하다. 기본 탄창은 100발이며 킷으로 140발로 늘릴 수 있다. 다만 발사하기 전 회전이 필요하기에 긴급 대응에는 불리하다.

파워 샷은 포신이 붉어지면서 약간의 충전 이후 원거리에선 큰 댐딜을, 근거리에선 넉백을 먹인다. 탄을 1발 소모한다. 쿨타임은 짧은 편.

모드 전환으로 프레데터 캐논의 탄종을 바꿀 수 있다. 근거리 모드는 연사력이 매우 높지만 탄퍼짐이 커져 원거리에선 화력이 대폭 감소한다. 원거리 모드는 정확도가 높고 발포할때 확대가 된다. 예광탄처럼 궤적이 보이는 게 특징. 두 모드간 DPS 차이는 없다. 허나 이랬다간 그냥 전부 원거리로 대동단결할 것을 염려해서 페널티로 원거리 모드시엔 발당 2발의 탄환을 소모한다. 근거리 모드시엔 크로스헤어가 원형이며, 원거리 모드시엔 십자형이다.

건 실드는 프레데터 캐논에 보호막을 생성하는 기술로 리전이 보고 있는 방향에 한해 공격을 막아주는 편향 보호막이다. 사용시 실드가 끝날때까지 자동줌이되며,막을 수 있는 대미지 총량에 제한이 있으고 볼텍스 실드처럼 점점 붉어지는 걸로 알 수 있다. 재장전 모션 시 총을 움직이면서 잠깐 빈틈이 생기니 주의.

스마트 코어는 12초동안 무한탄창이 됨과 동시에 범위 내의 적을 자동 추적, 조준하는 능력으로서 비유하자면 합법 애임핵이다. 다른 타이탄이 못 맞추면 리스크가 커도 일단 맞추기만 하면 한방에 강한 데미지를 주는 쪽이라면 리전은 100% 명중률로 지속적인 대미지를 주는 쪽. 다만, 한번에 폭딜을 넣는 다른 코어 능력과는 달리 지속딜을 꾸준히 넣는 형태라 대인이라면 몰라도 타이탄을 파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9] 설명 그대로 방어에 특화된 타이탄 답다. 화면에 UI로 스킬 유지 시간과 킬카운트를 보여준다.

3

킷은 타이탄 킷, 전용 킷, 타이탄폴 킷 세 종류가 있다. 명칭 옆 괄호로 해금 레벨(타이탄 레벨)과 가격을 기입힌다.

3.1 타이탄 킷

타이탄 킷은 모든 타이탄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킷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각 타이탄별로 별도로 해금해야 쓸 수 있다.

  • 어설트 칩(Assualt Chip)
인공지능 모드일 때 공격 능력이 강화된다... 고는 하는데, 어차피 사람 탄 타이탄 만나면 뚜드려 맞고 터지며 파일럿의 로데오에도 무방비로 노출되는건 마찬가지라 쓰는 사람 아무도 없는 키트다.
  • 은밀 자동 사출(Stealth Auto-Eject)
타이탄이 위기상태가 되면 파일럿이 자동으로 탈출함과 동시에 투명화 된다. 생존에 유리하지만 위기상태가 되어도 자동으로 터지지 않는 이번 작 타이탄 특성상 간접적인 너프를 받은 킷. 반파 상태일때 앞뒤 안가리고 강제로 사출해 버리는 특성상 이길 수 있는 상황인데도 하늘로 날아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 터보 엔진(Turbo Engine)
대시 게이지가 하나 더 생긴다. 로닌을 쓸 때나, 느린 기체를 타고 답답할 때 끼면 좋다.
  • 오버코어(Overcore) - (2/5)
처음부터 코어 게이지 20%를 가지고 시작한다. 하지만 역시 인기는 별로다.
  • 핵폭발 비상탈출(Nuclear Ejection) - (3/5)
탈출할 때 타이탄 코어를 폭발시켜 주변의 적에게 강력한 데미지를 준다. 적이 탈출하고 타이탄이 태양처럼 빛나기 시작하면 앞뒤 안가리고 도망쳐야 한다. 코앞에서 자폭에 휘말리면 타이탄이건 뭐건 뼈도 못 추린다.
  • 카운터 레디(Counter Ready) - (4/5)
전기연막이 하나 더 추가된다. 마찬가지로 인기는 별로.

3.2 전용 킷

전용 킷은 각 타이탄 종류별로 지정된 킷 중 하나를 골라 쓸 수 있다.

  • 아이온
    • 혼선 에너지(Entangled Energy)
스플리터 라이플의 일반 발사 모드로 치명타를 맞추면 에너지가 채워진다.
  • 제로 포인트 트랩와이어(Zero-Point Tripwire)
트랩와이어를 사용할 때 에너지가 들지 않는다.
  • 볼텍스 증폭기(Vortex Amplifier)
볼텍스 실드의 반사 대미지가 20% 높아진다.
  • 그랜드 캐논(Grand Cannon)
레이저 코어 지속시간이 증가한다.
  • 스코치
    • 와일드파이어 런처(Wildfire Launcher)
화염유탄 발사기의 화염 범위를 증가시킨다.
  • 달구어진 장갑판(Tempered Plating)
자신이 쏜 열에 셀프 데미지를 덜 받는다.
  • 지옥불 실드(Inferno Shield)
열 보호막의 유지시간과 피해량을 증가시킨다.
  • 불을 위한 연료(Fuel for the Fire)
파이어 월의 유지시간이 증가한다.
  • 노스스타
    • 관통탄(Piercing Shot)
플라즈마 레일건이 적을 관통한다.
  • 향상된 폭장량(Enhanced Payload)
클러스터 미사일이 더 큰 범위에 오랫동안 폭발한다.
  • 트윈 트랩(Twin Traps)
테더 트랩을 두개 발사한다.
  • 바이퍼 추진기(Viper[10] Thrusters)
비행 코어동안 더 빠르게 움직인다.
  • 로닌
    • 도탄(Ricochet Rounds)
리드월 샷건의 탄이 표면에 충돌이 튕긴다.[11]
  • 썬더스톰(Thundrstorm)
아크웨이브를 두 개까지 충전 할 수 있다.
  • 일시적 변칙(Temporal Anomaly)
페이즈 대시의 쿨다운이 짧아진다.
  • 하이랜더(Highlander)
타이탄 킬이 소드코어의 지속시간을 늘여준다.
    • 강화 추격탄(Enhanced Tracker Rounds)
치명타를 맞출시 부분적 록온을 2회 적용한다.
  • 향상된 입자벽(Reinforced Particle Wall)
입자벽이 더 오래가고 더 많은 데미지를 방어한다.
  • 펄스 메아리(Pulse-Echo)
소나 펄스가 더 짧은 딜레이 후에 두번째 파장을 발사한다.
  • 로켓 포격(Rocker Barrage)
추적 로켓 수를 2개 더 늘인다.
  • 리전
    • 향상된 탄창(Enhanced Ammo Capacity)
프레데터 캐논의 탄창을 증가시킨다.
  • 센서 배열(Sensor Array)
스마트코어의 사거리가 증가한다.
  • 방어벽(Bulwark)
건쉴드가 두 배 더 많은 데미지를 방어한다.
  • 경량 합금(Light-Weight Alloys)
프레데터 캐논이 회전하는 동안 더 빠르게 움직인다.

3.3 타이탄폴 킷

타이탄폴 킷은 타이탄 소환시 특수 능력을 담당한다.

  • 버블실드(Bubble Shield)
전작의 돔 실드. 타이탄폴시 강화된 보호막으로 타이탄을 보호한다. 적이 들어갈시 지속 피해를 입는다.
  • 워프폴 송신기(Warpfall Transmitter) - (5/25)
워프 기술로 타이탄 호출 시간을 단축시킨다.타이탄폴 킬을 할때 쓸만하다.

만약,워프폴 송신기를 끼고 바로 타지 않을시 적의 먹잇감이 되니 빠르게 타주자.

4 부스트

아직 정확한 명칭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파일럿의 부스트와 마찬가지로 코어 게이지를 어느 정도 모으면[12] 특수 능력을 사용할 수 있다. 일단 출시 버전의 부스트는 전기 연막 하나뿐인데, 이후 업데이트로 다른 능력이 더 추가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죽어도 사용하지 않았다면 리스폰 후 쓸 수 있는 파일럿 부스트와 달리 타이탄이 파괴되면 날아가 버린다.

4.1 전기 연막(Electric Smoke)

출시 버전 기준으로 유일한 부스트 능력. 전작의 전기 연막과 동일하다. 백색 연막을 발생시키고, 잠시 뒤 전류가 흘러 범위 내 적 타이탄과 보병 유닛에게 피해를 준다. 다만 타이탄이 가만 앉아서 맞아줄 일은 거의 없고, 보통 로데오하는 파일럿 엿먹일 때 쓰는게 대부분.
이 안에 있거나 뒤에 있으면 톤의 락온이 먹지 않아서 락온 방해나 노스스타의 저격을 피하는등,시야 방해용으로도 쓴다.

5 커스터마이징

파일럿은 색상만 바꿀 수 있는 반면 타이탄은 노즈아트까지 설정할 수 있다.

5.1 위장

5.1.1 진행 해금

  • 프론트어 목초지(Frontier Woodland) : 타이탄 레벨 6.
  • 숲 삼각형(Tri Forest) : 타이탄 레벨 9.
  • 프론티어 바다(Frontier Sea) : 타이탄 레벨 12.
  • 프론티어 줄무늬(Frontier Zebra) : 타이탄 레벨 15.
  • 군함 콜라주(Warship Collage) : 타이탄 리젠.
  • 금 단색(Stoic Gold) : 타이탄 리젠.
  • 군함 따뜻한 색(Warship Warm) : 타이탄 리젠.
  • 소나무 단색(Stoic Pine) : 타이탄 리젠.
  • 군함 바다색(Warship Ocean) : 타이탄 리젠.
  • 보라 단색(Stoic Purple) : 타이탄 리젠.
  • 군함 시가전(Warship Urban) : 타이탄 리젠.
  • 백광 단색(Stoic Light) : 타이탄 리젠.
  • 먹구름 단색(Stoic Overcast) : 타이탄 리젠.
  • 선홍 단색(Stoic Magenta) : 타이탄 리젠.
  • 고사리 단색(Stoic Fern) : 타이탄 리젠.
  • 주황 단색(Stoic Orange) : 타이탄 리젠.
  • 분홍 단색(Stoic Pink) : 타이탄 리젠.
  • 바다 단색(Stoic Sea) : 타이탄 리젠.
  • 검은 단색(Stoic Dark) : 타이탄 리젠.
  • 바다 조각(Splinter Ocean) : 딜럭스 특전.
  • 바다 양자(Quantum Ocean) : 딜럭스 특전.

5.1.2 도전과제 해금

  • 육각형 바다(Ocean Hex) : 타이탄으로 15km 이동.
  • 폭동 빨강(Riot Red) : 타이탄으로 50km 이동.
  • IMC 주황(IMC Orange) : 타이탄으로 150km 이동.
  • 목초지 양자(Quantum Woodland) : 타이탄 3대 처형.
  • 숲 양자(Quantum Forest) : 타이탄 10대 처형.
  • 주황 점박(Spotter Orange) : 타이탄 25대 처형.
  • 풀색 줄무늬(Zebra Grass) : 타이탄으로 파일럿 20명 사살.
  • 파란 줄무늬(Zebra Blue) : 타이탄으로 파일럿 100명 사살.
  • 분홍 줄무늬(Zebra Light) : 타이탄으로 파일럿 200명 사살.
  • 백색 줄무늬(Zebra Light) : 타이탄으로 파일럿 500명 사살.
  • 목초지 디지털(Digital Woodland) : 타이탄으로 타이탄에게 30만 대미지.
  • 숲 디지털(Digital Forest) : 타이탄으로 타이탄에게 60만 대미지.
  • 바다 디지털(Dital Ocean) : 타이탄으로 타이탄에게 150만 대미지.
  • 먹구름 디지털(Digital Overcast) : 타이탄으로 타이탄에게 300만 대미지.
  • 동맥(Arterial) : 타이탄으로 타이탄에게 500만 대미지.
  • 숲 체크(Checkmate Forest) : 타이탄으로 타이탄 10대 파괴.
  • 분홍 체크(Checkmate Pink) : 타이탄으로 타이탄 50대 파괴.
  • 바다 체크(Checkmate Ocean) : 타이탄으로 타이탄 100대 파괴.
  • 붉은 체크(Checkmate Red) : 타이탄으로 타이탄 250대 파괴.
  • 금색 체크(Checkmate Gold) : 타이탄으로 타이탄 500대 파괴.

5.1.3 암시장

  • 목초지 삼각형(Tri Woodland)
  • 바다 삼각형(Tri Ocean)
  • 하얀 비늘(White Scale)
  • 붉은 비늘(Red Scale)
  • 분홍 비늘(Pink Scale)
  • 녹색 비늘(Green Scale)
  • 프론티어 숲(Frontier Forest)
  • 프론티어 시가전(Frontier Urban)
  • 황갈색 육각형(Tan Hex)
  • 숲 육각형(Forest Hex)
  • 목초지 디지털(Woodland Digital)
  • 숲 디지털(Forest Digital)
  • 핏빛 화면(Blood Screen)
  • 풀빛 화면(Grass Screen)
  • 검은 화면(Dark Screen)
  • 숲 타이거(Forest Tiger)
  • 붉은 타이거(Red Tiger)
  • 목초지 타이거(Woodland Tiger)
  • 바다 타이거(Ocean Tiger)
  • 핏빛 타이거(Blood Tiger)

5.1.4 지지자 선물

  • 폭동 초원(Riot Grassland)
  • 조각 콜라주(Splinter Collage)
  • 프랙털 바다(Fractal Ocean)
  • 보라색 군림(Purple Reign)
  • 무거운 군림(Heavy Reign)
  • 입체 숲(Forest 3D)
  • 입체 보라(Purple 3D)
  • 입체 선혈(Blood 3D)
  • 목초지 미로(Ocean Maze)
  • 바다 미로(Ocean Maze)
  • 가을 미로(Autumn Maze)
  • 데메테르 목초지(Demeter Woodland)
  • 데메테르 숲(Demeter Forest)
  • 목초지 육각형(Woodland Hex)
  • 풀 육각형(Grass Hex)
  • 분홍 육각형(Pink Hex)
  • 바다 육각형(Ocean Hex)
  • 바다 파충류(Ocean Reptile)
  • 목초지 파충류(Woodland Reptile)
  • 저항군 목초지(Militia Woodland)
  • 저항군 바다(Militia Ocean)
  • 저항군 가을(Militia Fall)
  • 저항군 초원(Militia Grassland)
  • 저항군 목초지 XL(Militia Woodland XL)
  • 저항군 바다 XL(Militia Ocean XL)
  • 저항군 갈색(Militia Brown)
  • 저항군 먹구름(Militia Overcast)
  • 생선튀김(Fishsticks)
  • 대조색 조각(Splinter Contrast)
  • 녹색 조각(Splinter Green)
  • 분홍 조각(Splinter Pink)
  • 노란 줄무늬 조각(Splinter Yellowstreak)
  • 프론티어 물감(Frontier Splash)
  • 프론티어 카운터(Frontier Counter)
  • 프론티어 클래식(Frontier Classic)
  • 저항군 황갈색(Militia Tan)

5.1.5 전투위장

  • 엑스칼리버 크롬(Excalibur Chrome)
  • 사막 공습(Desert Strike) : 타이탄으로 30 연속 사살.
  • 최고 사수(Top Gunner) : 타이탄으로 65 연속 사살.
  • 진홍빛 파도(Crimson Tide) : 타이탄으로 100 연속 사살.

5.2 노즈아트

  • 공용
    • 천둥새(Thunderbird) : 딜럭스 에디션 특전.
    • 오션 제로 노벰버(Ocean Zero November)[13]
    • 제로 시에라 노벰버(Zero Sierra November)[14]
  • 아이온
    • 6-4 : 타이탄 레벨 4.
    • 세상 밖으로(Out of this World) : 타이탄 레벨 10.
    • 사살수(Body Count) : 타이탄 레벨 20.
    • 뱀(Serpentine) : 타이탄 리젠.
    • 미친 레이저 빔(Freakin' Laser Beams) : 타이탄 리젠.
    • 직사격수(Straight Shooter) : 타이탄 리젠.
    • 레이저 줄무늬(Laser Stripe) : 타이탄 리젠.
    • 크라켄(The Kraken) : 타이탄 리젠.
    • 발톱(The Claw) : 타이탄 리젠.
    • 어펙스 프레데터(Apex) : 타이탄 리젠.
    • 늑대무리(The Wolfpack) : 타이탄 리젠.
    • 연기나는 총(Smoking Gun) : 타이탄 리젠.
  • 스코치
    • 머로더 코어(Marauder Core) : 타이탄 레벨 4.
    • 악마 소환(Summoning the Demon) : 타이탄 레벨 10.
    • 아버지 용(Father of Dragons) : 타이탄 레벨 20.
    • 부활한 피닉스(Phoenix Risen) : 타이탄 리젠.
    • 야옹이 이리오렴(Here Kitty Kitty...) : 타이탄 리젠.
    • 쉘쇼크(ShellShock) : 타이탄 리젠.
    • 전투 줄무늬(War Stripes) : 타이탄 리젠.
    • 방화광(Pyromaniac) : 타이탄 리젠.
    • 푸른 불(Blue Fire) : 타이탄 리젠.
    • 케레버스(Cerebus) : 타이탄 리젠.
    • 타이탄 영감(Titan Inspiration) : 타이탄 리젠.
    • 불의 낙인(Firebrand) : 예약구매 특전.
    • 광란의 불(Fire Frenzy)
  • 노스스타
    • 수호천사(Guardian Angel) : 타이탄 레벨 4.
    • 경멸(Scorned) : 타이탄 레벨 10.
    • 여왕벌(Queen Bee) : 타이탄 레벨 20.
    • 하늘의 눈(Eye in the Sky) : 타이탄 리젠.
    • 케루빔 코어(Cherub Core) : 타이탄 리젠.
    • 피에 굶주린(Bloodthirsty) : 타이탄 리젠.
    • 악의(Evil Intentions) : 타이탄 리젠.
    • 너무나 아래에(So Below) : 타이탄 리젠.
    • 어펙스 프레데터(Apex Predator) : 타이탄 리젠.
    • 프로젝트 모나크(Project Monarch) : 타이탄 리젠.
    • 포스트 아포칼립스스런(Post Apocalyptic) : 타이탄 리젠.
    • 붉은 선(Redline)
    • 머라우더 콥스(MCOR Northstar)
  • 로닌
    • 플루이드 다이내믹스(Fluid Dynamics) : 타이탄 레벨 4.
    • 갑옷 한 벌(Suit of Armor) : 타이탄 레벨 10.
    • 건드리지 마시오(Do Not Touch) : 타이탄 레벨 20.
    • 겁없는(Fearless) : 타이탄 리젠.
    • 번개처럼 빠른(Lightning Fast) : 타이탄 리젠.
    • 메갈로돈(Megalodon) : 타이탄 리젠.
    • 위상 망령(Phase Wraith) : 타이탄 리젠.
    • 현자(The Wise Man) : 타이탄 리젠.
    • 손이 덜 가는(Low Maintenance) : 타이탄 리젠.
    • 잿더미로(Ash Bringer) : 타이탄 리젠.
    • 폭주(Rampage) : 타이탄 리젠.
    • 치고 사라지고(Hit-and-Fade)
    • 붉은 선(Redline)
    • 어펙스 프레데터(Apex) : 타이탄 레벨 4.
    • 피를 주시하는 눈(Seeing Red) : 타이탄 레벨 10.
    • 옥토-록(Octo-Lock): 타이탄 레벨 20.
    • 타이탄 지네(Titan Centipede) : 타이탄 리젠.
    • 세상의 파괴자(Destroyer of Worlds) : 타이탄 리젠.
    • 판다모니엄(Pandamonium) : 타이탄 리젠.
    • 게임하는 표정(Game Face) : 타이탄 리젠.
    • 피에 굶주린(Bloodthirsty) : 타이탄 리젠.
    • 멸망의 날(Doomsday) : 타이탄 리젠.
    • 올것이 왔다(Here comes the...) : 타이탄 리젠.
    • 포탄(Bombshells) : 타이탄 리젠.
  • 리전
    • 아레스(ARES Legion) : 타이탄 레벨 4.
    • 나는 군단이다(I AM LEGION) : 타이탄 레벨 10.
    • 고요하면서도 차가운(Tranquil But Cold) : 타이탄 레벨 20.
    • 파워 무브(Power Move) : 타이탄 리젠.
    • 거미공포증(Arachnophobia) : 타이탄 리젠.
    • 폭발직전 시한폭탄(Ticking Time Bomb) : 타이탄 리젠.
    • 포식자의 본성(Predatory Nature) : 타이탄 리젠.
    • 심리전(Psychological Warfare) : 타이탄 리젠.
    • 상상속의 친ㄱ(Imaginary Friend) : 타이탄 리젠.
    • 젊음의 샘(Fountain of Youth) : 타이탄 리젠.
    • Thug Life : 타이탄 리젠.
    • 전술적 사냥꾼(Tactical Predator)
    • 걸어다니는 시체(Walking Dead)

5.3 무기도색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타이탄폴 2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프리 알파 테스트 당시까지만 해도 자동으론 차오르지 않고 오로지 점수 획득으로만 호출 게이지를 채울 수 있었으나, 이로 인해 타이탄 호출이 늦어지고 타이탄 출현율이 낮아지자 두번째 프리 알파 테스트부터 다시 시간당 조금씩 채워지도록 되었다.
  2. 이 에너지는 화면 중앙 왼쪽 UI로 표기되며, 자동으로 차오른다. 보통 능력을 2개 정도 연달아 쓰면 전부 소모되므로, 한꺼번에 지나친 대미지 투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3. 배터리코어를 들고다니면 초록색 불빛으로 매우 잘 보이고,점프 킷 사용중에 나오는 빨간 불빛까지 합쳐지면 매우 잘 보여서 쉬운 먹잇감이 된다.표적완성
  4. 아군 타이탄은 라이딩을 해야 하고, 자신의 타이탄은 그냥 탑승하면 된다.
  5. 그나마 번카드 강화 크라베르가 좀 먹히는 정도였다.
  6. 심지어 뚜껑에 OGRE라고 적혀있다.
  7. 전용 타이탄킷 장착시 2개.
  8. 맞은 타이탄은 화면에 테더 트랩이 붙어있어,맞았다는걸 매우 쉽게 알 수 있다.
  9. 대부분의 코어능력은 높은 DPS로 상대가 방벽을 켜더라도 부숴버리고 공격할 수 있지만, 스마트 코어는 평타를 꾸준히 날리는 것일 뿐이기에 방벽에도 쉽게 무력화되어 사용하는 데 약간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0. 캠페인중 나오는 보스로 무제한으로 날 수 있는 걔량된 노스스타를 타고다닌다
  11. 튕기기전 원래 사거리만큼 나가진 않고 짧게 나아간다.
  12. 전기 연막의 경우 약 40%정도
  13. 원 제로 나인, 즉 109를 의미.
  14. 제로 세븐 나인, 즉 079를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