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즈아트

1 개요

파일:Noseart001.jpg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그래피티의 본고장인 미국 군인들은 자신의 전투기, 폭격기에 그림을 그려넣는 행위들을 많이 했는데 그것이 노즈아트라는 개념의 한 분야의 예술이 되었다. 후에는 미군 전체의 문화가 되어 수송기, 초계기, 전차, 어뢰정까지 거의 모든 기체에 유행처럼 번지게 되었다.

초기엔 적에게 위압감을 주기위해 기체 앞에 상어 입 모양이나 야수 맹수들을 그려넣었는데 당시 군인들의 필수품 플레이보이지에 영감을 받은 어떤 군인이 핀업 걸(벽에 핀으로 붙여놓는 포스터에 나오는 여성)을 묘사한 그림을 조종석 밑에 그려넣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노즈아트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후 자신들만의 개성표현 및 일종의 부적으로 다양한 노즈 아트들이 자신들의 군용기에 그려졌다. 일종의 항공기 선수상이였던 셈. 그렇기에 사기 진작을 위해서라도 당시 지휘관들도 공식적으로는 허가하지 않았지만 어느정도 눈감아준것도 있었다. 심지어는 외부에서 전문 민간 화가를 대려와 그림을 그려넣었기도 했다고.

특히 2차대전간 수많은 군용기들에는 다양한 노즈 아트들이 장식되었는데, 특히 그중에서도 도화지가 큼직한 폭격기에는 여성의 그림뿐만 아니라 도널드 덕이나 뽀빠이같은 만화캐릭터라던지 영화타이틀들을 새겨넣는등 좀 더 다양한 그림들이 그려졌다. 이는 추축국인 독일에서도 마찬가지였으나 미군처럼 나체의 여성 그림보다는 부대의 상징성있는 표식을 그려넣는게 대부분이였다. 물론 여기서도 예외도 있는 법, 아돌프 갈란트의 경우 자신의 기체에 미키 마우스를 그려넣었기도 했다.

노즈 아트는 이 후에도 꾸준히 수많은 군용기들을 장식했으나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 이후부터는 이전처럼 헐벗은 여성같은 성적인 요소보다는 좀 더 상징적인 이미지나 표식으로 변화되면서 그려졌다. 특히나 걸프전쟁시기의 경우는 성적인 표현의 노즈아트가 그려진 항공기가 당시 중동 지역 주민의 기분을 상하게 할수도 있다는 이유로 제거하거나 적어도 그림 위에 옷을 입혀 그리도록 지시하기도 했다.
현재는 그리고자할 디자인을 상급자에게 제시하는식으로 아이디어를 제출후 그려지는, 좀 더 공식적인 절차를 요구하는 식으로 변화되었다.

2 종류

파일:Nose-Art-Curtiss Flying-Boat-300x171.jpg
최초의 노즈아트로 알려진 커티스 플라잉 보트 수상기

500px
제1차 세계대전 당시의 노즈아트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폭격기의 노즈아트

500px
상어 아가리 노즈아트의 대명사인 P-40 워호크


영화로 유명한 멤피스 벨의 노즈아트


A-10의 상징이나 다름없는 콕핏 부분의 멧돼지(혹은 상어) 노즈아트. 영화 같은 매체에서 A-10이 나오면 이 콕핏부분 노즈아트는 거의 대부분 표현할 정도로 A-10의 상징이 된 부분이다.


일본 항공자위대의 노즈아트


반대편(응?)


F-2의 테일아트[1]


F-15J의 노즈아트


F-4J의 오 나의 여신님 노즈아트. 워낙에 유명한 거여서 그런지 데프콘 한일전쟁편에도 등장한다.

500px
한국이라고 예외는 없다. 대한민국 공군의 노즈아트는 대부분 작고 간결하며, 보통 전부 동일한 디자인이 통일되도록 스텐실로 그려지는 게 특징. 커스텀 마크보단 부대마크를 박아넣는 느낌이다.

500px
F-4 팬텀의 사자 마킹


KF-5E 제공호의 호랑이 마킹

3 실상

이러한 노즈아트의 경우, 행사의 일환으로 그려진 후 대개 지워지는 경우가 많다.
야전에서 활약하거나 실전 배치된 기체들 역시 지나치게 화려해서 식별이 어렵거나 너무 품위가 없다 싶으면 높으신 분들이 지우라고 명령을 내린다. 한국군만 그런게 아니라 미군 역시 마찬가지다.

북한의 빨간딱지 MiG-29는? 계들은 정상이 아니잖아...
  1. 노즈에 그려진 게 아니므로 노즈아트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