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르-푸아티에 전투

투르-푸아티에 전투
날짜
732년, 날짜는 불명
장소
프랑스 투르, 푸아티에
교전국1교전국2
교전국프랑크 왕국
(메로빙거 왕조)
우마이야 왕조
지휘관카롤루스 마르텔아브드 알 라만†
병력추정 약 3만 명추정 약 8만 명
피해 규모불명추정 1만여 명
지휘관 아브드 알 라만
결과
메로빙거 왕조의 결정적 승리.

1 개요

투르-푸아티에 전투는 732년 프랑크 왕국의 메로빙거 왕조의 재상 카롤루스 마르텔이 프랑스의 투르와 푸아티에에서 우마이야 왕조의 군대를 격파한 전투로 이 승리로 이슬람교의 서유럽 진출이 사실상 좌절되었다.

2 배경

메로빙거 왕조가 건국한 프랑크 왕국은 전통적으로 형제가 여러 명일 경우 균등하게 토지를 분배하는 균분상속제로 통치되었으므로 왕위 계승에서 밀려난 왕족은 토지를 분할받았는데 이는 곧 왕권의 약화를 의미했다. 왕권이 약화되는 것과 비례하게 왕 바로 아래의 재상들의 권력은 오히려 강해졌고 7세기 후반의 프랑크 왕국은 2개[1]로 나뉘어 각자의 재상들이 대립했다.

아우스트라시아의 재상이던 카롤링거 가문의 피핀 2세가 이 분쟁에서 우세를 점하고 승리함으로써 프랑크 왕국의 권력을 사실상 점유하였으나 이 과정에서 프랑크 왕국이 혼란에 빠지는 것은 막을 수 없었다. 그 와중에 이베리아 반도서고트 왕국을 정복한 우마이야 왕조의 이슬람 세력이 피레네 산맥을 넘어 프랑크 왕국으로 진입을 시작했고 720년에 이르러서는 대규모 침공이 이루어져 부르군드 지방이 우마이야 왕조의 수중으로 떨어졌다.

우마이야의 칼리프 히샴이 임명한 이베리아의 코르도바 총독 아브드 알 라만은 피레네 산맥의 서쪽을 넘어 북상해 아키텐 공을 격파, 보르도를 약탈하고 군대를 동쪽으로 이끌었다. 알 라만은 투르의 상 마르탕 교회에 막대한 재보가 있음을 알고 르와르 강으로 진군했다.

이 사실을 알아낸 피핀 2세의 아들 샤를 마르텔은 병력을 모아 급히 파리에서 투르로 이동하였으나 이슬람 세력보다 한 발 먼저 도착한 관계로 그대로 진군하여 푸아티에로 나아갔다. 푸아티에 인근의 평원에서 우마이야 왕조의 병력과 조우한 프랑크 왕국군은 서로 진을 치고 대치하기 시작했다.

3 전개

이슬람 군대의 공격이 포착되자 샤를 마르텔은 군대에게 팔랑크스 대형을 취하도록 하였으며 이슬람 기병대의 돌격을 대비해 언덕과 나무를 앞에 두고 포진하였다. 7일 간의 작은 접전을 벌이며 아브드 알 라만은 병력이 모두 모이기를 기다렸으나 이는 프랑크 왕국 역시 병력을 집중 시킬 시간을 주었다. 샤를 마르텔은 팔랑크스 대형을 취함과 동시에 고지를 점령하고 있었기에 이슬람 기병의 돌격에 충분한 대비를 하고 있었다. 또한 방어전의 이점을 갖고 추위에 단단히 대비한 프랑크 군과 달리 이슬람 군은 추위에 전혀 대비를 하지 않았고 따라서 프랑크 군은 방어를 하면 할수록 승리에 가까워져 갔다.

아바드 알 라만은 보병에 대한 기병의 우월함을 믿고 돌격을 반복했으나 이슬람 기병은 잘 방비한 프랑크 보병대에게 심한 피해를 입었다. 물론 프랑크 보병도 많은 피해를 입었으나 진형은 무너지지 않았고 아바드 알 라만은 분대를 나눠 샤를 본인을 노렸으나 근위대(?)에 막혀 실패한다. 이후 샤를 마르텔이 보낸 정찰병이 이슬람 군 본진의 노예를 풀어주고 보급선을 공격하여 이슬람 기마대는 본진으로 후퇴하였고 결국 아바드 알 라만은 공세를 취하던 이슬람 군대를 뒤로 물린다. 이슬람 전군이 퇴각하는 도중 아바드 알 라만은 프랑크 군에게 포위당해 죽임을 당했고 이슬람 군대는 패배한다.

4 결과와 영향

폭발적으로 팽창해 나가던 이슬람 제국의 공세로부터 서양 기독교 문명을 지켜낸 전투.

동로마 제국이 20세기 들어 호전적인 페르시아이슬람 제국으로부터 서양 기독교 문명을 사수한 방파제재평가되면서 그동안 잊혀졌던 콘스탄티노플 공방전을 비롯한 동로마 제국의 이슬람 세력에 대한 격퇴 사례가 부각됐고, 그에 따라 반대로 이 투르-푸아티에 전투를 무시하게 되는 사례가 몇몇 발견되는데 이는 크게 잘못된 견해이다.[2] 물론 이후 이슬람 제국이 피레네 산맥을 넘지 못한 데에서는 내부 베르베르인의 반란 등의 요인도 있었지만 애초에 이 전투에서 이슬람 제국에 격파당했다면 그전에 프랑크 왕국이 이슬람 제국에게 멸망당했을 것이며 서양 기독교 문화권은 이슬람 제국에게 완전히 잠식되어버렸을 것이다. 이는 이베리아에서 프랑크 왕국만큼이나 찬란한 문화를 이룩했던 서고트 왕국이 구아달카르[3] 전투의 패전 한 번으로 완전히 멸망하고 이베리아 반도가 장장 8백여년 간 이슬람 세계에 편입돼버린 것을 보면 쉽게 유추할 수 있는 사실이다.

한편 프랑크 왕국 내부에서는, 샤를 마르텔이 이 전투의 승리로 명예와 프랑크 왕국 내에서의 인기를 차지했으며, 아키텐 공 외드의 충성도 얻어냄으로써 실리도 얻었다. 이 명예와 실리를 기반으로 샤를 마르텔의 아들 피핀이 메로빙거 왕조를 무너뜨리고 카롤링거 왕조를 열게 된다.

하인리히 브루너(Heinrich Brunner)에 따르면 본래 이전까지 프랑크 왕국의 주력은 보병으로 이 전투가 있기까지 프랑크 왕국은 보병을 운용했으나 투르-푸아티에 전투에서 기병 주력인 이슬람 군을 추격하면서 기병의 필요를 절실히 느낀 샤를 마르텔은 이후 프랑크 왕국의 군제를 기병으로 개편한다. 이 과정에서 기병을 양성할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교회령을 몰수하고 이를 그에게 봉사하는 추종자들에게 나눠주면서 봉건제가 정착한다. 다만 이 주장은 1.당시에 전투법이 결정적으로 바뀐 기록 없음. 2. 중세 군대의 보병 중요성 유지. 3. 기사의 기원은 4c 혹은 그 이전의 게르만 기병으로 추정. 4. 푸아티에 전투는 733년, 교회령의 최초 몰수는 732년.이라는 반론이 존재한다.
  1. 서북쪽의 네우스트리아 및 북동의 아우스트라시아
  2. 물론 이슬람 제국의 주전력과 맞서 싸워 소아시아 반도, 나아가 서양 전체를 지켜낸 동로마 제국을 폄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이다. 그렇지만, 그것을 칭송하면서 투르-푸아티에 전투와 프랑크 왕국을 과소평가 하는 것 역시 지양해야 할 일이다.
  3. 세레스 데라 프론테라 전투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