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백의 신부

30ax8jm.png

1 개요

윤미경作 순정만화.

만화잡지 윙크에 장기 연재되었다. 본편 전 24권[1], 외전[2], 화집이 출간되었다.

동양 판타지로, 중국 신화를 기반으로 풀어냈다. 실제 신화와 다른 부분이 몇몇 존재하니 이 작품만 읽고 중국 신화에 대해 안다고 생각하면 심히 난감하다.

2 등장인물

하백 ( =무이,빙이 )
소아
후예
낙빈
서왕모 양회
동왕공 군명 (목공)
황제 헌원
염제 신농
요희
주동
무라
비렴
반왕
태을진인
월하노인
천후
목랑
원시천존
모모
육오
여와
청조
길상천녀
우랑
이랑신
유화
훤화
위화
영녕
소이
동영
소아ㆍ소이 부모님

소이 며느리
소이 손녀
주몽[3]
해모수[4]
산귀[5]
민호[6]

추가 바람

3 드라마화

2008년에 드라마화 판권 계약이 성사된 후로 오랜 시간이 소식이 없었다.

드라마 제목하백의 신부 2017(가제)
제작사넘버쓰리픽쳐스
작가정윤정
방영2017년 상반기 예정
방송사tvN

'미생' 정윤정 작가, 신작 '하백의 신부'로 컴백…"2017년 상반기 방영"
기사에 따르면 ‘스핀오프’ 버전으로 기획된다고 한다.

드라마에서는 원작 만화의 고전적 판타지와 인물들을 현대의 서울로 시간과 공간적 배경을 옮겨와 새로운 설정과 이야기의 판타지 로맨틱 코미디를 그릴 계획이라고.

원작자 윤미경 작가는 “오랫동안 기다려왔던 ‘하백의 신부’ 드라마 제작이 확정되어 기쁘다” “현대 버전으로 제작될 드라마 ‘하백의 신부 2017(가제)’의 새로운 스토리에 기대감이 무척 크다”고 소감을 밝혔다.

4 기타

단행본의 작가 후기가 많은 인기를 얻었다. 후기를 보기 위해 단행본을 구입한다는 독자가 있을 정도.

머리색이 같은 경우만 이루어진다고 카더라[7]


한때 이 작품을 예로 들며 한복 고증이 엉망이라는 논지로 조선시대의 한복과 비교하는 글이 인터넷에 많이 있었다.(스크랩본) 그러나 하백의 신부는 판타지인데다 한국이 아니라 중국의 신화를 소재로 한 만큼 주 의상은 당연히 한푸이다. 남여 가릴것 없이 하의는 치마를 입거나 아예 통옷이며,[8] 특히 여자 인물들은 도저히 한복으로 보기 힘든 차림새로 나온다.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이 당나라 때에 가까운 모습의 한푸이며, 치파오도 등장했으나 후반부로 갈수록 점차 등장하지 않는다. 무엇보다 그 글은 조선 시대 이전의 한복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작성되었기에 조선 시대 한복과 구성 요소가 다른 고대 한복에 대한 지식은 전혀 언급조차 되지 않는다. 애초에 본문 내용 자체가 허리띠를 뒤로 묶는 방식은 기모노 밖에 없다고 하거나 쾌자를 도포라 하고, 한푸에 가까운 복식을 기모노라 하는 등 동아시아 복식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고 쓰여진 글이다.

작화가 정말 화려한데, 하늘거리는 옷 주름과 머리카락이 돋보인다. 인체가 정확하지 않지만 많은 손길을 요구하는 작화가 단점을 보완해준다. 인체 등만 놓고 따지면 작화 오류가 굉장히 많다. 기본적인 인체 비례나 얼굴 작화부터 맞지 않는 컷이 많이 발견될 정도. 펜터치까지는 여전히 수작업을 고수하는데, 화풍이 워낙 화려하다보니 어시들이 많이 고생한다고 언급된다. 특히 수작업 시절에는 톤 작업이 힘들었다고. 또한 인물보다 배경에 신경을 많이 쓰는데, 컬러 일러스트의 경우 배경의 계단이나 새에 레이어가 더 많이 들어갔다고 한 적도 있다.딱 보면 레이어 많이 쌓은 티가 난다 동물의 퀄리티가 높은 편이다. 그래서 사람보다 배경이나 소품의 퀄리티가 높을 때가 많다.

원래 신화에서는 여자 주인공인 소아[9]는 원래 후예[10]의 아내이지만 본작에서는 하백의 신부로 등장한다.NTR 또한 신화에서도 서왕모와 동왕공은 부부지만 하백의 부모는 아니다. 하지만 본작에서 하백은 두 신의 외아들로 나온다.

은근 화려한 커플 브레이킹을 자랑한다. 결말까지 솔로부대 인원 증원으로 장식하고 주인공 커플만은 외전에서 독자들에게 희망을 주었다.

순정만화로서는 드물게 남자 주인공이 애아빠+외할아버지 속성을 습득했다. 이전에 본편 속 외전과 완결 후 발간된 외전을 통해 키잡 속성을 먼저 획득했다.
  1. 2006.02.01~2014.09.15
  2. 2015.03.15~2015.07.15
  3. 외전에서만 등장
  4. 외전에서만 등장
  5. 외전에서만 등장
  6. 외전에서만 등장
  7. 이루어짐 : 소아×무이=>검은머리, 동왕공×서왕모=>검은머리 // 이루어지지못함 : 헌원(흰머리)->서왕모(검은머리), 비렴(흰머리)->무라(검은머리), 후예(흰머리)->소아(검은머리), 낙빈(흰?머리)->무이(검은머리). 단 무라->하백과 같이 머리색이 같은데 이루어지지않은 경우도 있다. 안습....
  8. 한푸는 위아래 한 벌인 통옷에서 발전하였으며, 윗옷과 치마를 입는 상의하상(上衣下裳) 구조이다. 또한 재단을 하지 않고 가봉만을 한다는 점 역시 한복과 다르다.
  9. 신화 속에선 주로 항아로 나온다. 소아는 항아의 다른 이름.
  10. 신화에서 하백의 눈을 쏘아 맞췄다는 그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