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限定詞
determiner, determinative[1]
현대 영어학에서의 품사 구분 | |||
명사(품사) | 동사(품사) | 형용사 | 부사 |
한정사 | 전치사 | 접속사 | 감탄사 |
목차
1 개요
명사의 앞에 쓰여 그 의미를 특정해주는 기능을 한다. 관사, 양화사, 지시사, 소유격 대명사 등이 포함된다.
명사구 'a pen'과 'the pen'은 모두 하나의 펜을 의미하지만 한정사의 차이로 인해 '아무 펜 하나'이냐 '화자와 청자가 아는, 또는 앞에서 언급했던 바로 그 펜이냐'가 갈린다.[2] 'many pens', 'some pens', 'few pens'에서 한정사 'many', 'some', 'few'는 명사 'pens'에 각각 '많은', '어느 정도 있는', '거의 없는'의 속성을 부여하여 그 의미를 한정하고 있다.
보면 알겠지만 개념적[3] 정의만으로는 한정사와 형용사를 구분하기 힘들다. 형용사 역시 명사의 속성을 나타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관사를 비롯한 한정사는 전통문법에서는 형용사의 일종으로 분류했으나, 생성문법에서는 형용사와 한정사를 구분하고 있다. 그 이유는 후술한다.
통사론 등에서 약자는 일반적으로 Det로 사용하고 첫 글자만 따서 D를 사용할 때도 있다.
2 형용사와의 차이점
전통문법에서 한정사를 형용사의 일종으로 본 이유는 간단하다.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단어이고, 한정사 역시 명사에 어떤 의미를 더하는 단어이므로 그 역할이 거의 같다고 볼 수 있다.
- the boys
- good boys
'the'는 뒤의 boys가 아무 소년들이 아니라 '특정한' 소년들임을 나타내고, 'good'은 지금 말하는 소년들이 '착한' 소년들임을 나타낸다. 기능도 유사할 뿐 아니라 분포하는 위치도 명사 앞으로 같다.
이렇게 보면 한정사를 형용사의 일종으로 분류하는 데에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형용사와 한정사의 분포적 특성은 아래에서 설명할 꽤나 큰 차이들을 보이기 때문에 같은 카테고리로 묶었을 경우에 현상을 적확하게(elegantly) 설명하는데에 애로사항이 꽃핀다.[4]
2.1 여러 한정사를 함께 사용할 수 없음
형용사의 중요한 분포적 특징 중 하나는 여러 형용사가 하나의 명사를 수식하는 데에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 cute little Korean girls (O)
- big black savage dogs (O)
위의 명사구를 보면 하나의 명사 'girls'와 'dogs'를 수식하는 데 각각 세 개씩의 형용사가 동시에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한정사는 이게 안 된다.
- a my friend (X)
- the this some apples (X)
이런 표현은 영어 모국어 화자의 발화에서는 절대 나타나지 않는다. 첫 번째 예문은 초중고 과정에서 전통문법을 배우면서도 '관사와 소유격 대명사는 같이 쓸 수 없다'는 식으로 배웠을 것이다.[5] 형용사와 한정사의 첫번째 차이가 드러났다.[6]
2.2 한정사와 형용사의 위치를 바꿀 수 없음
형용사가 여러 개 동시에 사용되었을 경우, 이 형용사들 간에 정해진 순서는 없다. 대개 사용되는 보편적인 순서는 있지만 순서를 바꾼다고 해서 이상한 발화가 되거나 의미 전달이 잘못되지는 않는다.
- a cute little dog (O)
- a little cute dog (O)
한정사가 형용사라면 한정사와 형용사가 같이 쓰였을 때, 둘의 위치도 바꿀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 a cute dog (O)/these black cups (O)
- cute a dog (X)/black these cups (X)
보다시피 그런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 한정사는 언제나 형용사 앞에 오며, 위치를 바꾸면 비문이 된다.
2.3 부사의 수식을 받지 않음
형용사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very, quite, extremely 등)의 수식을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정도부사는 주로 형용사 바로 앞에 위치한다.
- very cold water
- an extremely fast object
그러나 한정사는 이렇게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 없다.
- very some water
- exteremely an object
2.4 서술적 위치에 분포할 수 없음
형용사는 한정적 용법(Attributive)과 서술적 용법(Predicative)이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쓰인다. 한정적 용법은 cute dogs처럼 명사의 앞에서[7] 명사의 뜻을 한정하는 용법이고, 서술적 용법은 문장에서 (전통문법에서)주격보어/목적격보어의 역할을 하는 용법이다.
- a happy man (한정)
- He is happy/I made him happy (서술)
대부분의 형용사는 두 가지 용법으로 모두 쓰인다. alone 같은 예외가 있으나 이렇게 한 용법에서만 쓰이는 형용사는 다른 용법에서 쓸 수 있는 같은 의미의 대체 형용사(lonely)가 존재한다.
허나 한정사는 절대 서술적 위치에 올 수 없다. 즉, 전통문법에 따라 얘기하자면 주격보어, 목적격보어의 자리에[8] 분포할 수 없다는 것이다.
- Beer is ice-cold (O)/She made me angry (O)
- Beer is the (X)/She made me any (X)
애초에 말이 전혀 안 되는 발화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종류
잘못된 분류나 설명이 있으면 수정바람. 추가할 항목 및 분류가 있으면 추가바람
3.1 관사
관사(품사) 항목 참조. 영어에는 a(an), the가 있다
3.2 지시사
어떤 특정한 명사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되는 한정사. 영어에는 this, that 등이 있다.
3.3 양화사
수량을 나타내는 한정사. 영어에는 many, much, few, little, some, any, no, every 등이 있다.
3.4 소유격 대명사
대명사는 생성문법에서 독립적인 품사로 취급하지 않고 명사구의 대형태로 보는 경우가 많다. 분포적 특징이 명사와 거의 구별되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대명사 중 소유격 대명사는 한정사와 동일한 기능적/분포적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한정사의 일종으로 분류한다.
- ↑ 전자가 좀 더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 ↑ 좀 더 자세한 설명은 관사 문서 참조
- ↑ 또는 의미론적 정의
- ↑ 이에 대해 전통문법에서는 한정사를 형용사의 하위항목 중 예외적인 경우로 치고 넘어갔으나, 따로 분류해서 설명하는 편이 간단하므로 생성문법에서는 오컴의 면도날 원칙을 적용하여 형용사와 한정사를 별개의 항목으로 구분한 것이다.
- ↑ 여기서 두 가지 의미를 모두 나타내고 싶으면 'a friend of mine'이라고 해야 한다.
- ↑ 여기에는 예외가 존재한다. such, all 등의 일부 한정사들은 다른 한정사와 함께 쓰일 수 있다(ex: such a good boy). 이걸 설명하기 위한 DP 가설(DP Hyphothesis)이라는 것이 있는데, 20년밖에 안 된 따끈따끈한 가설이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한정사가 명사, 형용사, 전치사 등과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구(phrase)의 핵어(head)가 될 수 있다는 것인데, 이 경우 such나 all 등은 '전치 한정어'라는 이름으로 한정사구(Determiner Phrase)의 지정어(specifier)가 된다.
- ↑ director general 같이 뒤에서 수식하는 예외도 있다.
- ↑ 생성문법에 따라 얘기하자면 연결동사(copular)나 소절의 주어 다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