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흥차사

咸興差使

1 유래

조선 건국 초기에 있었던 야사에서 비롯된 사자성어.
'함흥에 가는 차사'라는 뜻이다. 즉, 보낸 사람(파견인)이 아직도 아무런 소식이 없다는 소리

다섯째 아들인 태종 이방원의 행동에 분노한 태조 이성계는 고향인 함흥으로 떠나버렸는데 이때 옥새도 함께 가지고 가버렸다. 즉, "너같은 놈은 내 자식도 아니고, 이 나라의 임금도 아니다!"라는 의사 표시였는데 이 때문에 명나라에서 "옥새도 없으면서 무슨 왕? 옥새를 받아오든지 왕위에서 물러나든지 둘 중 하나를 골라라"면서 압력을 넣는다.

이에 상황이 난처해진 태종은 태상왕(太上王)[1] 이성계한테 옥새를 양도하고 한양으로 돌아오시라는 전갈을 보냈는데 아들을 미워했던 태조는 태종이 보낸 사신들이 보이는 족족[2] 활로 쏴 죽였다. 이 사신들의 직책이 차사라서 결국 "어디에 뭘 하러 갔는데 도통 소식이 없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후에 무학대사의 설득으로 그는 마침내 한양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2 진실

실제로 함흥차사 중 이성계에게 사망한 이는 없다.

민간에 나와있는 이야기 중 함흥차사와 연관된 이야기가 많은데, 그중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은 박순과 성석린의 이야기다. 박순은 새끼가 달린 어미말을 데려가 이성계를 설득하는데 성공했지만 나중에 신하들이 그를 죽이려고 할 때 이성계는 그가 용흥강을 건넜으면 살려주겠다고 했는데 그는 돌아오는 길에 병이 걸려 잠시 쉬다가 강을 미처건너지 못해 자객에게 암살당했다는 이야기의 주인공이며, 성석린은 이성계에게 거짓말을 하였다가 목숨은 건졌으나 눈이 멀었다는 이야기의 주인이다.

실제로 박순은 함흥에 갔다가 목숨을 잃은 것은 사실이지만 그때 이성계는 아직 함흥에 도착하기 전이었다. 즉 이성계와 그의 죽음에는 관련성이 없으며 송유는 조사의가 이끄는 반란군에게 목숨을 잃었다.

성석린 역시 눈이 멀은 것은 사실이지만 함흥차사와는 관련이 없는 게 그는 함흥차사로 간 적이 없기 때문이다.

3 여담

모 라디오 프로그램에서는 진행 중에 실수로 함흥차사도 저 싫으면 그만이다[3]라는 말이 나왔는데, 아무 생각없이 그냥 넘어갔다가 뒤늦게 청취자의 제보로 이를 정정한 적이 있다. 상식적으로 활 맞아 죽는 거 좋아할 놈이 있나?

세븐나이츠에서는 세나 중 하나인 크리스의 추석 기간한정 코스튬으로 등장한다.

한국과 같은 한자문화권중국일본에도 비슷한 표현이 있다. 중국어로는 石沉大海(shíchéndàhǎi)라고 하고 일본어로는 鉄砲玉(てっぽうだま; teppodama)라고 한다. 각각 '바다에 가라앉아 떠오르지 않는 돌'과 '총에서 발사되어 돌아오지 않는 총알'에 비유한 말이다.

  • 비슷한 말 : 베이퍼웨어
  • 참조항목 : 제 1차, 2차 왕자의난
  1. 현재 즉위하는 임금의 선선대 임금을 부르는 이름이다. 당시 상왕은 태종의 형이었던 정종 이방과.
  2. 이성계에게 죽은 건 아니고 송류 같은 경우는 이성계를 만나보지도 못하고 이성계의 부하들에게 도륙났다. 마지막에 죽은 박순은 이성계를 설득시켰지만 결국 돌아가는 길에 이성계의 부하들에게 죽었다고 한다.(이건 이성계가 죽일 마음이 없었는데 하필 부하들 때문에. 안습.) 다만 이것도 야사에 들어갈 내용일 듯. 용의 눈물에서도 재현됐다.
  3. '평안감사도 저 싫으면 그만이다'가 맞는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