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문화권

260px-East_Asian_Cultural_Sphere.png

한자문화권의 문자(漢字文化圈의 文字)
대한민국
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중국일본베트남
한글한자가나쯔꾸옥응으
정체자간화자신자체히라가나가타카나
오늘날 쓰이지 않는 문자
옛한글구결자측천문자
서하 문자
만요가나
헨타이가나
쯔놈

漢字文化圈
East Asian cultural sphere[1]

1 개요

자국의 언어가 한자를 사용하거나 한자어에 깊은 영향을 받은 지역, 국가 권역. 일종의 언어동조대이며, 중국, 대만, 한국, 북한, 일본, 베트남이 속한다. 이외에도 화교가 다수인 싱가포르도 포함된다.[2] 포함되는 베트남, 싱가포르와 포함되지 않은 몽골을 제외하면 동북아시아의 범위와 얼추 일치한다.[3] 베트남은 지정학적으로는 동남아시아에 속하고, 몽골은 한자문화권으로 잘 취급되지 않고, 인종이나 문화 등의 연관성도 달라. 전문적으로는 모를까, 주로 일반 사람들에게는 한국, 일본, 북한, 대만, 중국을 아우르는 동아시아와 같은 부류의 단어로 자주 쓰인다.

이 중 중국, 대만은 완전한 한자전용국가, 일본도 실생활에 한자를 큰 비중으로 섞어 쓰고 있으며, 한국은 실생활에서는 거의 쓰지 않으나 교육과정에서 가르치며, 보조 문자로서 제한적이지만 여러 분야에 쓰고 있다. 북한과 베트남은 한자를 실용 문자로서는 거의 폐기했으나 여전히 수많은 한자 유래 어휘를 쓰고 있다.

한자 이외에도 유교, 대승불교, 도교의 3교[4]젓가락 및 다양한 요리[5]로 대표되는 식문화 등, 공통된 여러 문화 요소를 함께하고 있으며, 인종적으로도 상당히 비슷하다. 현대에서도 문화·경제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된 지역이다.

또 한가지 공통점이라면, 표어문자인 한자 특성상 사람 인명이 다른 문화권에 비해 짧은 편이다. 보통 3~5글자의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대체로 한국과 중국은 3글자가 다수고, 일본은 3~5글자 정도다. 일본 이름은 훈독으로 읽는다면 답없이 길어지기도 하고 음독으로 읽는 다면 짧아질 수 있다.

한자문화권에서 궁궐과 사원에 올릴 수 있는 극존칭은 거기서 거기인지라 해당 건축군의 이름이 유사해진다. 경복궁은 한국에도 있고 중국에도 있으며 자금성은 베이징 뿐 아니라 베트남에도 중후장대한 자태를 뽐내고 있으며 대웅전이나 근정전도 마찬가지. 또한 한자어로 표기되는 지명이 절대 다수이기 때문에 도시나 지역 이름들까지도 똑같은 경우가 엄청나게 많다. 예를 들어 판교역한국, 중국, 일본, 대만, 북한 등 무려 5개국에 전부 다 존재하고 있다. 당연한게 어느 나라에나 있는 널빤지로 놓은 다리가 있던 곳에서 판교(板橋)라는 지명이 유래되었기 때문.

전근대까지 라틴어를 공용어(적어도 지배 계급 내에서는)로 사용하던 서유럽 문화권과 비교되기도 한다. 그러나 서유럽 문화권의 언어가 대부분 인도유럽어족, 그 중에서도 대개 로망스어군이나 서게르만어군에 속해 있다면, 한자문화권의 언어는 제각기 다른 어족에 속해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가진다. 한국어고립어로 취급되며, 일본어일본어족, 중국어중국티베트어족, 베트남어오스트로아시아어족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이들 언어는 동일 어족은 아니지만 활발한 문화적 교류로 인해 유사성을 갖게 된 언어동조대의 좋은 사례로 꼽힌다.

2 각 나라별 한자의 사용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한자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국한문혼용체/논쟁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2.1 대한민국

한국 한자음은 학자마다 견해차가 있으나, 시대로는 당나라, 지역으로는 북방음이 모태라고 하며, 끝소리[6]의 -t가 거의 일괄적으로 -l(L의 소문자)로 바뀌어 있는게 커다란 특징이다.[7][8] 세종대왕은 이 현상을 못마땅하게 생각하여(속하다고 생각) ㄹ 다음에 여린 히읗(ㆆ)을 추가하여(ㅭ) 표기하는 이영보래(以影補來)를 만들어 당시 중국어에는 존재하던 모두 입성(ㄷ과 같은 짧은 소리)[9]으로 바꾸려고 했지만, 결국 하지 못했다. 하지만 어떤 면에서는 다행인 게 만약 卒과 같은 글자의 경우 이영보래를 적용했다간 발음이 말그대로 X되어 버린다. 현대 중국의 남방 방언과 한국어 한자 발음의 유사성을 지적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역사적으로 이 두 지역 사이에 이렇다 할 정도로 특별하게 밀접했던 교류관계가 없다.[10]

그 후 약 1300년 정도에 걸쳐 한국에서 계속 사용되면서 한국 고유 한자들도 생겼는데 가장 유명한 것으로 답(畓)[11]이나 곶(串)곶아라니[12], 시집 시(媤)[13] 등이 있으며 이밖에 각종 이두자들도 있다. 가끔 볼 수 있는 돌(乭)[14]이 여기 들어가며, 그 밖에는 마(㐃,亇), 붓(㖚), 뿐(兺, 哛), 강(㔔), 둥(㪳), 엇(旕), 엉(㫈), 심지어는 똥(㖯, 㖰)과 같은 흠좀무한 한자들도 있다. 또한, 훈독적 요소가 있는 이두자로 쌀(㐘)이나 씻(㘒)도 있다. 물론 이런 단어들은 음차용이기에 쌀이 한자 단어로 인정되거나 하지 않는다.
그 외에 茶를 차라고 읽는 것에 대해 국립국어원은 훈차라고 보고 있기 때문에, 차는 고유어로 인정된다.

2.1.1 한자 사용의 과거와 현재

파일:Attachment/hanmunedu.jpg

대한민국은 조선왕조 세종 시절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이전까지는 주로 한문을 사용했고,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한 이두구결, 향찰도 한자를 이용하거나 약자화해서 적었기 때문에 고서(古書) 및 고문(古文)에서도 거의 한자가 99%를 차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전근대 교육인프라의 미비와 표의문자의 특성이 겹쳐 일반 평민이나 천민이 한문을 유창하게 구사하는 경우가 드물었다. 다만 의외로 간단한 천자문 정도는 가지고 있는 집이 많았고, 글자 하나하나 정도까지는 알아보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다고 한다.

1446년 세종이 지금의 한글인 훈민정음, 즉 언문(諺文)을 창제하였으나 여전히 공문서나 학술서 등 주요한 문서는 한문이나 이두로 작성되었으며, 언문은 주로 민간에서 쓰이거나 한자의 훈음을 새길 때 이용되는 보조 문자였다.[15] 그러다 개화기 들어 근대화를 거치며 한글을 기본으로 한 채 한자를 혼용하는 국한문혼용체라는 과도기적인 서법이 등장하게 된다. 80년대까지는 일부 기업이나 관공서도 주로 한글보다는 한자를 이용한 상표나 로고 등을 채택하여 사용하했고 신문 역시 국한문혼용체였다. 한편 소설 및 잡지 같은 일반 서적이나 서류 같은 경우 한글 전용 역시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수천자에 달하는 한자를 타자기에 구현하기란 불가능했기 때문이라고.

그러다 박정희 대통령 집권기인 1968년 5월에 1973년을 목표로 한 "한글전용 5개년 계획"을 수립하라고 지시했고, 10월에는 목표년도를 1970년으로 3년 앞당기게 하는 등, 7개항의 강력한 한글전용 정책을 추진 및 한자교육을 일시적으로 폐지했다. 이에 따라 중·고등학교의 한글 전용이 시작되면서 한글 (전용) 세대가 출현했다. 이 정책은 결국 지나치게 급격한 추진으로 인한 반발로 인해 무산되어 다시 한자 교육으로 회귀하나, 한자가 익숙지 않은 한글 세대가 사회로 진출하면서 대중적으로 한자의 이해, 사용도가 점점 낮아졌다. 이런 추세가 강화, 지속되면서 90년대에는 상표, 로고도 한글이나 알파벳 이니셜로 바뀜은 물론 사회 전반 모든 매체에서 한글을 주 문자로 사용하는 분위기가 정착된 상태. 또한 민주화와 컴퓨터 도입에 따른 정보화, 전산화를 하면서 신문과 전문서적에서도 급속도로 한글 전용화가 이루어져 한글 전용이 기반을 잡게 되고,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국한문혼용은 극히 일부의 전문 서적이나 신문에서나 간간이 볼 수 있고 일상생활에서는 사실상 사라지게 되었다.

한편 2015년 들어 교육부가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 교과서에 한자를 병기한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다시금 논란이 일고 있다. CBS에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한자를 병기하는 것에 찬성하는 의견이 62.8% 반대하는 의견이 29.6%로 한자 병기안에 찬성하는 의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란이 거세지자 교육부는 초등학교 교과서의 한자 병기 여부를 2016년 말에 결정하기로 연기하였다.

현재 한국에서 한자는 로마자와 같이 특수한 경우에 쓰이는 보조 문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된다.

  • 동음이의어의 의미를 명확히 할 때. 문맥만으로는 의미를 파악하기가 애매할 때. 주로 병기의 방식으로 사용된다.
  • 생소한 단어를 사용할 때. 글 도중에 일반인이 처음 접할 가능성이 높은 학술·전문 용어가 들어가는데 단어들을 일일이 설명하기 번거로울 때. 역사나 국문학 관련 글에서도 한글로 쓰면 무슨 뜻인지 알아보기 어려운 고유명사(금난전권이라든가 복벽주의라든가)가 많기 때문에 한자가 많이 사용된다. 주로 병기의 방식으로 사용되며, 좀 오래된 서적은 한자로만 쓰여 있을 가능성이 높다.
  • 약자를 사용할 때. 주로 신문, 뉴스에서 사용한다. 한겨레를 제외한 거의 모든 국내 신문에서는 성씨만 한자로 써서 기사의 주제가 되는 인물을 제목으로 표기하는 경우(金 "ㅇㅇ를 허용하라")가 많으며 특히 조선일보는 스포츠면에서도 이런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또한 국가명 쓸 때도 간결해보인다. 예를 들어 北이라고만 쓰면 북한, 美는 미국, 日은 일본, 中은 중국, 獨은 독일, 英은 영국, 佛은 프랑스, 聨은 말레이시아, 印은 인도, 印尼는 인도네시아, 泰는 태국, 加는 캐나다, 濠[16]오스트레일리아(호주)를 의미한다.

그외에도 인터넷 뉴스에서 자주 "人 삼키는 '악마 구멍' 韓 기술로 막는다!"처럼 짧은 제목으로 많은 클릭수를 올리기 위해 사용하거나, "대망(待望)의 XXX가 대망(大亡)의 XXX로 되어 버렸다"처럼 언어유희용으로 사용하기도 하며, 시각적으로 강렬하기 때문에 특별히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한자로 표기하기도 한다.

2.2 중화권

한자의 본고장인만큼, 한자문화권에 속해 있는 국가 중에서 한자를 가장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자국어인 중국어를 한자로 표기함은 물론, 자국의 고대 언어인 한문도 한자를 통해 이어져 있다. 오늘날의 표준중국어는 문어체인 한문이 그대로 이어졌다기보다는 옛날에 입말로 쓰이던 말이 표준어가 된 것이긴 하지만, 현재 쓰이는 중국어(특히 서면어)에도 한문의 영향이 많이 남아있다.

사실 중국에서 한자폐지운동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근대 이후에 루쉰과 같은 일부 지식층을 중심으로 한자를 구시대의 유물로 여기는 시각이 대두되어, 신문화운동의 일환으로서 한자를 폐지하자는 문자개혁운동이 일어났었다. 이 운동을 대표하는 문구로는 루쉰의 '漢字不滅,中國必亡(한자불멸, 중국필망)'이 있다. 80년이 지난 지금 중국은 한자를 아직도 쓰고 있지만 세계 제2위의 경제대국이 되었습니다 이런 주장은 소련의 지지에 힘입어 라틴화 신문자(拉丁化新文字)로 구체화되기도 하였으나, 중국과 소련의 관계가 악화된 후로 한자폐지운동이 점점 화력을 잃게 되어 현재는 완전히 소멸한 상태다. 그러나 이때의 운동이 남긴 두 가지 산물이 있는데, 하나는 한어병음[17]이고 다른 하나는 간화자. 둘 다 현재까지도 중국본토에서는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중국이 현재까지도 한자를 활발하게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한자가 중국 내의 다양한 방언을 통합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중국 각 방언의 한자음들은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할 정도로 심하게 분화되어 있는데, 특정 방언의 한자음에 맞춰 중국어를 표음문자로 표기하면 다른 방언을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혼란을 피할 수 없다. 다음 예문을 보자.

표준중국어: 人人生而自由,在尊嚴和權利上一律平等。他們賦有理性和良心,並應以兄弟關係的精神互相對待。

광둥어(구어): 人人生出嚟就係自由嘅,喺尊嚴同權利上一律平等。佢哋具有理性同良心,而且應該用兄弟間嘅關係嚟互相對待。
대만어: 人皆生而自由;在尊嚴及權利上均各平等。人各賦有理性良知,誠應和睦相處,情同手足。

위 예문은 세계인권선언 제1조를 중국어의 각 방언으로 번역한 것이다. 광둥어는 구어를 표기하기 위한 독자적 한자(嚟, 係, 嘅, 喺, 佢哋)가 있고 대만어는 단어 몇 개가 표준중국어와 다르게 번역되었지만, 문장 자체의 큰 틀은 달라지지 않았다. 더불어 광둥어의 구어체 한자를 문어체 한자[18](來, 是, 的, 在, 他們)로 바꾸면, 어느 지역에서 왔든 위에 있는 세 문장 모두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제 각각의 병음 표기를 보자.

표준중국어(한어병음): Rénrén shēng ér zìyóu, zài zūnyán hé quánlì shàng yīlù píngděng. Tāmen fùyǒu lǐxìng hé liángxīn, bìng yīng yǐ xiōngdì guānxì de jīngshén hùxiāng duìdài.

광둥어(월병): jan4 jan4 saang1 ceot1 lai2 zau6 hai6 zi6 jau4 ge3, hai2 zeon1 jim4 tung4 kyun4 lei6 soeng5 jat1 leot6 ping4 dang2. keoi5 dei2 geoi6 jau5 lei5 sing3 tung4 loeng4 sam1 , ji4 ce2 jing1 goi1 jung6 hing1 dai6 gaan1 ge3 gwaan1 hai6 lai2 wu6 soeng1 deoi3 doi6
대만어(백화자): Lâng-kai sing jî tsū-iû, tsāi tsun-giâm ki̍p khuân-lī siōng kin-koh pîng-tíng. Lâng koh hù-iú lí-sìng liông-ti, sîng-ìng huê bo̍k sann tshù, tsîng tông tshiú tsiok.

당최 뭘 알아볼 수가 없다. 표음문자로 중국어를 표기하면 이런 대혼란이 야기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물론 이를 완전히 막으려면 근대 이전처럼 한문을 쓰면 되지만 배우기 어렵다.

2.2.1 홍콩, 마카오

홍콩마카오는 지금도 한국처럼 정체자를 쓴다. 그러나 이 지역에서 쓰는 방언 광동어(구어체)에서 쓰이는 한자는 중국 본토는 물론 한국에서 잘 안 쓰이는 벽자가 많다.

2.2.2 대만

모든 공식적 언어생활을 표준중국어로 하기 때문에 한자의 사용에 있어서는 중국 대륙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간화자를 쓰지 않고 한국처럼 정체자를 쓴다.

그러나 대만에서는 표준중국어 이외에도 중국어의 방언[19]대만어하카어가 널리 쓰이고 있고, 대만 원주민들 역시 민족별로 자신의 언어를 가지고 있다. 대만어나 하카어 역시 글로 쓸 필요가 있을 때에는 한자로 쓰지만, 대만어의 경우 한자가 아닌 로마자 표기법으로 적는 경우도 흔하며, 대만 원주민 언어들도 독자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기에 대개 로마자로 표기한다.

2.3 일본

Hiragana.jpg
히라가나를 설명하는 니코니코 대백과의 한 문서. 한자와 가나가 섞여 있다.
 
700px
같은 내용을 히라가나로만 표기한 글. 일본인 입장에서 이런 글은 가독성이 확 떨어진다.

일본에서는 한자를 변형하여 가나를 만들었고, 현재에도 활발히 한자를 사용하고 있다. 1923년 이래로 2000자 내외의 상용한자를 지정해서 사용하며[20], 그 밖의 한자는 보통 가타카나히라가나로 대체한다. 또 일부 한자의 자형을 간소화한 신자체를 사용하며, 같은 한자가 연속으로 쓰일때는 라는 반복문자를 사용한다.

일본에서 한자를 읽는 방법(()
(かた)
)은 크게 음독과 훈독으로 나뉜다. 음독은 일본 한자음으로 한자를 읽는 것이며, 일본 한자음은 유입된 시기별로 한음, 오음, 당음 등으로 나뉜다.

훈독은 한자를 읽는 법이라기보다는 의미 구분을 쉽게 하기 위해 순 일본말을 같은 의미의 한자로 빌려 적고 읽는 것이다. 그러한 연유로 한 단어에 유의 한자들을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や라는 단어는 屋(집 옥)과 家(집 가) 둘 다 쓰이고, とき라는 단어는 보통 時(때 시)로 쓰지만 한자어 時間(じかん)으로도 쓸 수 있다. 즉 한국에서는 사라진 이두나 구결, 향찰 등의 방식을 일본에서는 아직도 쓰고 있는 것.

예를 들어 '식당에서 밥을 먹었다'라는 문장을 국한문혼용체로 적으면 '食堂에서 밥을 먹었다'가 되는데 만약에 더 나아가 이두, 구결, 향찰 등의 방식을 빌려 '밥'과 '먹었다'까지 한자로 적자면 '食堂(식당)
에서 ()
()
었다' 정도로 적을 수 있을 것이다. 일본어에서 한자를 읽고 쓰는 방식이 후자의 방식이다. 여기서 예로 든 '식당에서 밥을 먹었다'를 일본어로 적으면 '食堂(ショクドウ)
(めし)
()
べた' 정도. (괄호 안에서 가타카나는 음독, 히라가나는 훈독이다.)

人気라는 단어는 네가지 방식으로 읽을 수 있고, 읽는 법마다 뜻도 다르다.

  • にんき: 인기
  • ひとけ: 인기척
  • じんき: 기풍
  • ひとげ: 인간다움

한자의 사용은 과거와 비교하면 조금 줄어드는 추세이다. 이전에 한자로 쓰이던 단어들 중 획순이 너무 많은경우는 히라가나가타카나로 표현하는 경우가 증가했다(예를들어 有難う를 ありがとう로). 하지만 일본어의 특성상 한자가 없으면 가독성이 떨어지고 문맥의 의미를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에 여전히 일본의 문자 생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가나로만 표기하면 그 많은 동음이의어들를 구별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자주 거론되는 예시가 다음 문장이다. "貴社の記者が汽車で帰社しました。"[21] 이걸 "きしゃのきしゃがきしゃできしゃしました。" 이렇게 가나로만 표기한다면 적잖이 혼란스러울 것이다. 한국어로는 '귀사(당신 회사)의 기자가 기차로 귀사(회사로 돌아감)했습니다'가 되어 그나마 덜 헷갈린다. 어떻게 보면 한자 독음의 범위가 넓고 좁고의 문제인 듯하기도 하다. 내 여동생은 한자를 읽을 수 있다는 한자를 사용하지 않게 된 미래의 일본을 배경으로 하는 타임패러독스 SF 라이트노벨이다.

또한 같은 단어라도 한자가 아닌 히라가나로만 적으면 어린 학생이 썼다는 느낌을 줄수 있어 연령층이 올라갈수록 히라가나 한 글자로 처리 가능한 단어도 한자를 쓰는 경우도 있지만(예를 들어 うるさい를 五月蠅い[22] 로. 물론 이는 극단적인 예이며, 한자로 쓰면 대부분 煩い로 줄여 쓴다), 역으로 이를 활용하여 귀여움을 어필하는 사람들도 있다.

한국에서 한국 고유의 한자를 만든 것과 마찬가지로 일본 고유의 한자도 있다. 앞서 설명한 쌀(㐘)이나 씻(㘒)처럼 훈독적 요소가 있는 한국 고유의 이두자가 생긴 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대체로 훈독만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을 뜻하는 畑/畠(はたけ), '신사에서 쓰는 나무'를 뜻하는 榊(さかき), '사거리'를 뜻하는 辻(つじ), 뜻이 다양한(...) 込(こむ) 같은 것이 주된 예이다. 가끔씩 '내분비샘'을 뜻하는 腺(せん)[23]처럼 음독만 있는 경우도 있다. 일본 고유의 한자 중 음독과 훈독이 모두 있는 한자는 働(ドウ, はたらく, 노동의 '동'을 일본에서는 이 한자로 쓰며 '일하다'라는 뜻이 있다.)뿐이다. 이외에도 , , 三千院 , 등 각종 인명과 지명에 널리고 널렸다. 그리고 JIS X 0208의 한자 목록을 만드는 과정에서 실수로 유령 문자를 만들어 버린 적도 있었다(…).

어렸을 때 일본 게임을 많이 접한 이들은 자연스레 일본 고유 한자 및 일본식 한자어를 익히게 되는데, 이들이 중고등학교에 진학했을 때 아이러니하게도 한문 선생님을 멘붕시키는 경우가 있다(...). 한국과 일본의 한자 차이를 인식하지 못해서 생기는 문제.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검을 흑'을 마을 리(里) 밑에 연화발(灬)이 붙은 형태(黒)로 쓰는데 이것은 일본에서 정한 신자체로 쓴 것이고 한국에서는 정체자인 黑을 쓰는데 이 차이를 인식하지 못해서 黒으로 쓰는 게 옳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 이런 경우 일본 한자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 한문 선생님이라면 '원래는 黑이 맞는데 일본에서는 모양이 비슷하고 쓰기 편한 黒으로 바꿔서 쓰는 것'이라고 설명해 주기도 한다. 아니, 애초에 신자체, 간화자가 무엇인지 모르는 한문선생이 있단 말인가?

2.3.1 류큐

오키나와 지역은 원래 독립국가였던 류큐 왕국이 다스렸으며, 때문에 여러모로 본토 일본과 구분되는 문화를 가졌다. 하지만 조공 무역을 비롯하여 중국과 밀접한 교류를 해 왔기 때문에 역시 한자문화권에 포함된다.
류큐 왕국에서 예로부터 오키나와어[24]를 표기하는데 일본에서 온 문자 체계를 사용하였고 때문에 가나와 함께 한자가 유입되어 많이 사용되었다. 일본처럼 한자를 훈독으로 읽기도 하고 음독으로 읽기도 한다. 물론 발음은 일본 한자음과 다르다. 덕분에 일본어에 능숙한 사람도 오키나와의 인명이나 지명을 읽을 때는 종종 애로사항이 꽃피게 된다. 구스쿠(城)[25], 페친(親雲上)[26], 우타키(御獄)[27]

2.4 베트남

베트남에서는 13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베트남어를 적기 위해 쯔놈이라는 문자 체계를 사용했다. 이는 기존의 한자와 완전히 독립된 문자 체계라기보다는 한자에 베트남어 고유의 한자를 더한 것이다. 일부는 기존의 한자를 그대로 차용하고, 기존의 한자로 나타내지 못하는 말은 베트남 고유의 쯔놈 한자를 이용해서 표기하는 식이었다. 일본이나 한국에서도 각 국가 고유의 한자를 만든 것과 같은 이치이지만 쯔놈은 그 수가 매우 많다.

Vietnamese_chu_nom_example.png
이런 식. 파자 개그 치기엔 좋다. 백림 남년 용중 토계 득인 구차 자자

유니코드에서는 쯔놈 문자를 별개의 문자 체계가 아닌 한자의 확장으로 보고 다른 한자들과 같은 영역에 배당하였다. 한중일통합한자 확장B라는 영역에 4232자의 쯔놈 한자가 수록되어 있다.

베트남은 20세기 초를 거쳐서 서구 열강의 영향을 받아 라틴 문자을 기반으로 한 쯔꾸옥응으(𡨸國語)를 도입하게 되어, 현재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한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이름 등에서 볼 수 있듯 꾸옥응으를 한국 발음으로 읽으면 국어 한국과 일본처럼 역시 많은 단어가 한자어 단어로써 흔적이 존재한다.

베트남어는 한자 단어가 60%에 이르고 중국과의 교류가 증가하고 있어 베트남 내에서도 한자 교육을 부활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다만 중국과의 교류 증가의 영향으로는 한자 교육이아니라 아예 중국어 교육이 증가하고 있고 남중국해의 영유권 갈등으로 반중정서가 심해지자 베트남 다낭시에서 중국어 상호 표기업체(즉, 한자표기)를 처벌하려는 움직임도 있어 현 상황이 바뀔 가능성은 낮다.

2.5 싱가포르

싱가포르는 중화인민공화국과 별개의 국가지만 표준중국어와 중국 대륙에서 제정한 것과 동일한 간화자를 사용한다.

2.6 북한

대한민국과 같이 역시 한자와는 뗄 수 없는 한국어를 사용하지만, 북한은 동아시아에서도 가장 극단적인 순혈주의민족주의를 내세우고 있어, 한자 표기를 공식적으로 폐지했다. 즉 한자 표기보다는 대부분 한글로 표기한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굳이 한자를 쓸 필요가 없는 단어들이나 어려운 단어들, 고유 낱맡이 있는데 한자어가 대신 쓰이는 낱말들은 거의 고유어, 즉 순우리말 낱말로 순화시켰다. 정치, 사회 등 공식적인 분야에서는 한자 표기는 하지 않으나 한자어를 굳이 고유어로 바꾸지는 않는다(예를 들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정치국). 한자를 안 쓴다고 해서 교육을 안 하는 것은 아니고 형식상 중학교에서 2,000자, 대학에서 1,000자 총 3,000자를 교육하도록 제도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3 관련 문서

  1. Sinosphere 라고도 하나 중국문화권이라는 명칭에 중국 이외 다른 나라들에서 기분 나빠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동아시아문화권이라는 표기를 선호하며 위키피디아 문서 제목도 East Asian cultural sphere로 바뀌었다.
  2. 싱가포르에서도 매년 올해의 한자를 선정한다.
  3. 몽골도 소위 한자 문화권과 여러 역사와 문화를 상당히 공유하기는 하는데 정작 한자라는 문자의 사용권이 아니다. 현대 몽골국, 즉 외몽골은 소련의 영향으로 아예 키릴 문자를 쓰고, 내몽골이 아직까지 쓰며 외몽골도 이전에 썼던 몽골 문자위구르 문자, 그리고 이전에는 페르시아 계통의 소그드 문자에서 파생 된 것이다.
  4. 전근대에도 이 세 종교는 '유불선'이라고 묶여 불리며 한자문화권 종교 전체의 대유법으로 쓰였다. 다만 유교는 항목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불교, 도교와는 달리 종교라기보다는 동아시아의 지배적인 관념이나 철학에 가깝다.
  5. 특히 두부(soy sauce)은 한자문화권을 대표하는 식품이다.
  6. 한글의 종성.
  7. 고구려어(+백제 지배층 언어)의 영향이라는 주장이 있다. 북방 유목민족의 영향을 크게 받은 관화가 남쪽 지방의 중국말에 비해 권설음이 많은 것과 연관시키기도 하는데, 시기적으로 직접적인 관련성은 없다.
  8. 일본어베트남어에 옛 한자음의 잔재가 남아 있다. 일본어의 경우, 한국어에서 ㄹ받침인 한자는 거의 모두 ち나 つ로 끝난다. 일(一)을 いつ, 일(日)을 にち라고 발음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 베트남어의 경우, 한국어에서 ㄹ받침인 한자 중 베트남어로 -t로 끝나는 경우가 있다. 낫/녓(一, 일), 비엣(越, 월), 텟(節, 절) 등.
  9. 현재 북경어에서는 모두 사라졌다.
  10. 중국 남방 방언에 상대적으로 옛 한자음이 잘 남아있을 뿐이다. 대표적으로 입성이라든가.
  11. 물(水)이 차 있는 밭(田)이라는 뜻으로 만들어진 글자다. 음은 모양이 비슷한 유창할 답(沓)에서 따왔다.
  12. 글자 자체는 다른 나라에도 있지만, '곶'이라는 용법은 한국에서만 쓰이며 원래는 '뚫을 관'이다. 중국에서는 글자 생김새처럼 꼬치 요리를 지칭할 때 주로 쓰이고(예: 양꼬치 → 羊肉(yángròuchuàn), 일본에서 串의 훈독인 くし 또한 '꼬챙이', '꼬치'라는 뜻이다. 그 바다로 튀어나온 지형을 뜻하는 '곶'은 중국에서는 角(jiǎo)나 岬(jiǎ)로, 일본에서는 崎/埼(さき), 岬(みさき) 등으로 표현한다.
  13. 시집간다, 시아버지 할 때 그 시 맞다. 글자 자체는 원래 존재하던 글자로, 여자의 인명에 쓰던 글자라고 문헌상으로는 전하나 실제는 거의 쓰임이 없던 글자였다. 이것을 한국에서는 '시집'의 뜻을 붙여 쓴 것이다. 가족 관계와 관련된 한자들은 女부수를 삼고 있으며, 偲(굳셀 시), 緦(삼베 시), 諰(두려워할 시), 顋(뺨 시)와 같은 형성자에서 유추하여 思가 성부가 되었고, 파자했을 때도 여자(女)는 시가 식구들을 생각하고(思) 섬겨야(...?) 한다는 의미가 되어 당대의 가치관과 상통한다.
  14. 신돌석, 이세돌 등이 이 한자를 쓴다. 중국, 일본에서 이 한자를 쓰는 법은 이세돌 문서 참조.
  15. 단 왕족들이 한글로 쓴 편지 등이 남아있다.선조가 쓴 선조국문유서란 것도 한글로 작성되었다.
  16. 삼수변을 떼버린 豪로 쓰기도 한다.
  17. 라틴화신문자는 한어병음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다.
  18. 광둥어 구어체에서 잘 안 쓰인다는 거지, 광둥어 항목을 보면 알지만 실생활에서 잘만 쓰인다. 광둥어 문어체는 표준중국어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19. 말이 좋아 방언이지 표준중국어와는 의사소통이 안된다.
  20. 가장 최근 버전은 2010년에 지정된 2136자.
  21. '키샤노 키샤가 키샤데 키샤시마시타'라고 읽는다.
  22. 음력 5월(양력 6월)엔 기온이 높아 파리(蠅)가 시끄럽다 하여 유래된 표기법이라 한다.
  23. 갑상이 바로 이 글자를 쓴다. 그래서 순화 차원에서 '갑상샘'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4. 사실상의 표준 류큐어
  25. 오키나와의 성 또는 요새를 말한다.
  26. 류큐 왕국사대부를 의미한다.
  27. 오키나와 사람들이 제사를 지내는 성소(聖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