혀를 깨물면 죽는다

주의. 이 문서는 도시전설을 다룹니다.

해당 문서는 실제로 발생한 것으로 증명되지 않은 현상을 다룹니다. 따라서 카더라 통신에 기반한 증명되지 않은 비윤리적이거나 비과학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문서에는 일부 이용자들이 혐오하거나 범죄 등 불법적인 내용 및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일부 포함할 수 있으므로 문서를 열람하실 때 주의하세요. 또한, 문서의 하단에 이 틀과 함께 분류:도시전설을 포함해 주세요.
카미마시타

1 개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안 죽는다.
매우 유명한 도시전설.

말인즉슨 를 끊어질 정도로 세게 깨물면 죽는다는 건데, 단도직입적으로 말해서 혀가 끊어지는 것으로 사람이 덜컥 죽어버리는 일은 없다. 물론 밥 먹다가 무심코 씹으면 죽을 것 같이 아프기는 하다 안 죽는다고 했지 안 아프다고는 안 했다 혀는 인체의 근육과 신경계의 여러 단말 중 하나일 뿐이다.

하지만 TV, 영화, 소설 등 많은 매체에서 자살 방법으로 손목 긋기만큼이나 유명한 것이라 세간에서는 거의 정설로 받아들여진 상태. 이쯤 되면 도시전설계의 레전드라 하기에도 손색이 없다. 누가 처음 만든 말인진 몰라도 굉장히 뿌듯할 듯(...). 아마 처음 만든 사람이 죽고 나서도 전세계에서 계속 쓰일 것이다.

2 주장의 근거와 반박

혀가 끊어져서 생명이 위태로워지는 매커니즘은 보통 아래의 3가지로 이야기 된다.

1. 과다출혈로 죽는다.

2. 고통으로 인해 쇼크사한다.

3. 혀를 통제하는 신경이 끊어져 혀가 기도로 말려들어가 질식사한다.

1번의 경우, 실혈이란 혀를 깨무는 행위가 인체에 끼치는 해로서는 가장 일리가 있는 편이다. 그러나 혀를 깨물어 생기는 출혈 정도로 사람이 죽지는 않는다. 혀에 혈관이 많이 있는 건 맞지만 과다출혈이 가능할 만큼 큰 혈관이 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특수한 질환으로 인해 피가 멎지 않는다거나 상처에 병균이 감염되어 죽는 수도 생각할 수 있겠지만, 전자는 어디까지나 개인 질환이며 두 경우 모두 다른 부위에 다른 상처를 입었어도 똑같이 발생하는 문제이므로 조금도 근거가 될 수 없다.

2번의 경우는 개인차가 너무나도 심하며, 그중 심한 경우도 정신을 잃을 수 있을지는 몰라도 죽음에까지 도달하는 사례는 전무하므로 이것 역시 근거가 못 된다.

그리고 3번이야말로 해당 도시전설의 근거로서는 가장 유명한 것인데, 쓸데없이 디테일하고 전문적인 느낌이라 언뜻 보면 그럴 듯해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혀가 기도로 말려들어간다는 것은 의학적인 근거도, 실증할 만한 사례도 존재하지 않는다.참고 혀를 움직이는 신경인 뇌신경 12번(12th cranial nerve ; hypoglossal nerve 설하신경 이라고도 불린다)은 두개골의 밑부분을 빠져나와 목으로 내려온 뒤 경정맥과 경동맥 앞을 지나 다시 혀의 방향으로(달리 말하자면 뒤에서 앞으로, 밑에서 위의 방향으로) 진행, 혀로 진입한 이후는 더 작은 줄기들로 갈라져 각기 다른 혀의 근육들을 움직인다. 다시 말해, 혀를 움직이는 신경의 큰 줄기는 목에 위치하고, 혀에 위치하지 않는다. 본디 이름부터가 '혀 밑에 있는 신경'이라는 의미다.

게다가 이렇게 세상 사람들 상당수가 (잘못) 알고 있는 보편적인 자살 방법임에도 실제로 혀를 깨물어 자살한 사례는 찾아볼 수가 없으며, 오히려 혀가 잘렸지만 죽지 않았다는 사례만 보인다. 1988년 2월 안동에서 30대 주부가 자신을 겁탈하려던 청년의 혀를 깨문 사례가 있었고참고, 2004년 10월에는 태국의 17세 여학생이 자신을 겁탈하려던 19세 청년의 혀를 깨물어 뜯어내 비닐봉지에 담아 증거자료로 활용하기까지 했던 사례참고 등이 있지만, 범인들의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다.

비단 한국 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혀를 깨물어 죽을 수 있다는 잘못된 믿음이 있다. 창작물에서 포로의 자살 방식으로 묘사되는 등. 북한에도 이 얘기가 퍼져있는지 KAL기를 폭파한 김현희는 음독자살에 실패한 후 혀를 깨물어 자살을 시도했으나 혀를 절단하지도 못하고 실패하였다.[1] 나중에 그녀는 회고록에서 혀를 깨물어도 아프기만 할 뿐이고, 죽는다는 건 거짓말인가 보다 라고 생각했다고 적는다.

일본에도 이 이야기가 퍼져있는지 아르슬란 전기에서도 루시타니아군이 혀깨물고 죽는 게 나온다. 이 경우는 이미 피투성이라 가만 놔둬도 죽을 정도로 크게 다쳐있긴 했지만. 또한 라이트노벨 데이트 어 라이브 3권에서 주인공 이츠카 시도토키사키 쿠루미에게 자신이 인질로서 가치가 있는 것을 확인하면서 공간진을 거두게 할 때 혀 깨물고 죽겠다는 대사가 있으며, 개그만화 보기 좋은 날명탐정 우사미 에피소드에서도 우사미쿠마키치에게 혀 깨물고 죽어보라는(...) 말을 한 적이 있다. 아카기 시게루는 알츠하이머로 자체 안락사를 결심했을 때 가스를 넣는 방법으로 자살하려고 했지만 면회객 중 한명이 자기를 납치하겠다고 생떼를 쓰자 쿨하게 그럼 혀를 깨물어서 자살하지 뭐, 라는 답변을 해서 상대를 벙찌게 만들었다. 그러니까 안 죽는다니까요 원피스 샤본디 제도편에서는 노예로 팔릴 상황이였던 해적선장 라큐바가 혀 깨물어 자결하려고 하지만 나중에 혀 잘린 채로 살아있다. SBS에서 작가가 말하길 "인간은 질깁니다."

생추어리에서도 권총을 겨눈 상대가 스스로 죽겠다며 혀를 깨무는데 되려 총을 겨누었던 주인공 동료가 놀라다가 순식간에 제압당한다. 입에서 피를 흘리긴 해도 혀를 깨문 사내는 "혀 깨물어도 안 죽거든!"이라며 비웃고 총을 빼앗았다..

중국에도 이런 도시전설이 있어 영화에서 혀 깨물고 자살하는 사람들이 나온다.

다시 한 번 결론짓자면, 인간은 혀를 깨물어도 안 죽는다.

더욱이 자살이라는 것은 당장 살아있다는 사실 자체가 괴로워서 하는 것인데, 이 방법을 쓰면 죽지도 못하고 사는 것만 더더욱 괴로워진다. 즉, 완벽한 병크이니 흉내조차도 내지 말자.

3 도시전설이 생겨난 원인

그럼 도대체 왜 이와 같은 도시전설이 생겨났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을 수 있겠지만, 역시 신체의 사지를 모두 구속한 상태에서 자해를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바로 혀를 깨무는 방법이기 때문이라서 그렇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재갈을 물리는 경우도 있지만, 많은 경우 혀를 깨물 정도의 자유는 갖고 있는 것이 사실.[2] 혀를 깨무는 행위가 자살 수단으로서 유효하진 않더라도, 자신을 구속한 상대에 대한 확실한 시위는 될 수 있고, 말을 통한 자백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도 있다. 고문 등으로 인해 저도 모르게 상대가 요구하는 말을 하더라도 그것이 멀쩡한 음성이 되지 못하니까.

그리고 혀를 깨물면 혀만 다치면 그만인지라 고문 당할 때는 도리어 덜 다치는 방법이기도 하다. 발음이 정확하지 않게 되어 더 고문하는 게 의미가 없기 때문. 그래서 고문 당하러 온 사람 중에선 혀를 자르는 데 성공한 사람이 오히려 더 멀쩡하다.

아니면 그냥 표현이 멋있어서일 수도 있다. 자신이 소중히 여기는 사람을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우는 사람들을 창작물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는데, '혹시나 적에게 잡히면 혀를 깨물어서 죽어버리겠다' 라는 말은 그 비장함과 단호함을 그대로 드러내주는 표현이기 때문에 멋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관련 항목: 녹용짤린 사슴 왜 죽나요
  1. 설령 절단에 성공했거나 다른 방식의 자살을 시도했더라도, 그 때는 이미 음독자살에 실패한 후 병원에서 신병이 확보된 상태기에 바로 의료진의 치료를 받아 죽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2. 최소한 식사를 할 때는 입이 자유로워지며, 따라서 매일 누구나 혀를 깨물 기회가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