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손님을 맞이하는 집주인을 뜻하는 영단어
Host
히오스 트레이서
반대어로는 게스트(Guest)가 있다.
2 트와일라잇 시리즈의 작가 스테프니 메이어의 SF소설
말이 SF지 외계인 나오는 것 말고는 별 거 없다.뭐? 스티븐 킹과 아이작 아시모프?? 소울[1]라는 기생형 외계인에게 지구가 홀라당 넘어갔는데[2], 중략하고 결국은 사랑놀음(...). 트와일라잇 때부터 그랬고 이 작가는 마치 자기 만족을 위해 쓰는 것 같다. 쉽게 말하자면 트와일라잇의 SF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은근히 건담00 극장판 ELS의 컨셉을 가져온 냄새도 나는 듯.
근데 이 소설이 엄청나게 대박을 쳤다고 한다.
그러나 영화화는 앤드류 니콜[3]의 흑역사가 되었다...
트와일라잇 작가였던 만큼 트와일라잇 영화가 흥행한 덕분에 영화화가 되었다. 물론 현재 엄청나게 까이는 중이다.
그리고 4월 18일의 기준으로 판단하건데 사실상 흥행은 완전히 참패. 6500만불의 제작비에 비해 4500만불 밖에 벌어들이지 못했기 때문이다. 망한 것은 확정이다.
여자주인공 한명을 두고 두명의 남자가 관련된 것은 트와일라잇의 그 스토리라인을 보는 듯 하다.[4] SF영화를 몇편만 보았더라도 설정구멍이 눈에 보이는 편. 특히 몇 남지도 않은남은 인간저항군을 못찾고 헤매거나 인간저항군을 추격하는 장면을 보고 있자면 지구가 홀랑 넘어간게 신기할 정도. 그 전에도 이런식으로 행성을 털고다닌 모양인데, 어찌 다 당했는지조차 의심스럽다. 외계인이 침략하는 SF영화의 탈을 쓰고서 액션신은 트와일라잇보다 못하다는 평가도 있다. 그러니 망했겠지
3 고객을 접대하는 얼굴 반반한 사내들
롯폰기 등에 많다. <337 박수>나 <야왕> 같은 만화를 보면 이 업계의 잔혹함을 알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호스트바 참고.
4 의학용어
의학용어로는 크게 두 가지의 뜻을 가지는데
1. 감염에서, 숙주를 호스트라고 한다. 그래서 괴물(영화)의 영제도 The Host. 그 외에 다발성 전염에서 원 감염자도 호스트라고 칭한다.
2. 이식에서 장기를 넘겨받은 쪽. 반대편 즉 기증자(기증편)는 그래프트(graft) 라고 한다. 이식수술 환자를 호스트라 부른다는 것은 특수한 상황, 즉 호스트 대 그래프트 간의 전쟁이 시작된 경우가 대부분이다(소위 거부반응). 호스트의 면역계가 그래프트를 외적으로 간주해 파괴하는 것인데, 이식수술에서 가장 두렵고 가장 흔히 발생하는 문제.
두 가지 의미 모두 집주인을 뜻하는 1에서 비롯된 활용. 감염원들이 제 집으로 삼은 몸의 주인도 호스트고 이식된 장기가 이제 안착할 몸의 주인도 호스트다.
5 시스템 파일
경로는 윈도의 경우,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유닉스 (리눅스 포함) 계열의 경우 /etc/hosts이다.
이 파일은 특정 도메인으로 접속할 때 DNS서버를 거치지 않고 지정된 아이피로 접속하게 만든다. 한마디로 이를 손보면 namu.wiki를 주소창에 입력했는데 뜬금없이 네이버가 뜨게 만들 수 있다는 말.
이를 응용하면 특정 사이트 접근을 차단 할 수도 있는데, 텍스트 에디터[5]로 파일을 연 후에 텍스트 최하단에 엔터 한줄을 띄운 후
127.0.0.1 사이트 주소(루프백 IP)[6]
를 추가하면 된다. 127.0.0.1이라는 아이피는 무조건 자기 자신에게 접속하게 하는 IP주소이기 때문에 사이트로의 접근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악성코드 등으로 인해 이 파일이 수정되면 위험할 수 있는데, 특히 인터넷뱅킹 등에서 사이트 주소를 정확하게 입력했는데도(!) 크래커가 만든 가짜 사이트로 접속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6 컴퓨터 관련 용어
클라이언트 참조.- ↑ 외모는 상당히 기괴한데, 1000개의 촉수,눈을 지녔다고 한다.
- ↑ 그냥 당한데 아니라 뇌를 조종해서 숙주를 자기 몸으로 만든것이다.
- ↑ 가타카와 로드 오브 워의 감독이고, 트루먼 쇼의 각본가인데, 해외에서도 이런 사람이 왜 이딴 영화를 만들었는지 알 수 없다는 평가가 많다.
- ↑ 한쪽이 적개심을 가진 상태이니 완전히 같은건 아니다. 전 남친이긴 하지만.
양다리 걸치는 거에 어지간히 욕을 먹었나보다. 이젠 자아를 둘로 쪼개서 연애질을 - ↑ 간단하게 메모장으로도 가능
- ↑ 예 : 127.0.0.1 namu.wiki, 참고로 https 로 연결되는 도메인은 호스트로 차단되지 않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