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홍고등학교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width=65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고등학교
고색고등학교곡정고등학교권선고등학교
대명고등학교수원전산여자고등학교영신여자고등학교
칠보고등학교호매실고등학교화홍고등학교
logo.gif
교명화홍고등학교
개교1999년 3월 1일
유형일반계 고등학교
성별남녀공학
운영형태공립
소재지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세권로 331
홈페이지

1 개요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에 위치한 고등학교이다.

2 역사

2.1 학교 연혁

2.2 역대 교장

  • 1대 감사식 교장
  • 2대 강태준 교장
  • 3대 박대순 교장
  • 4대 최윤기 교장
  • 5대 한규숙 교장
  • 6대 강현재 교장
  • 7대 전동엽 교장가끔 농구대로 나오셔서 학생들이랑 농구를 하시기도 한다.

3 상징

3.1 교표

파일:Img sub1 4 1.gif
안정된 삼각형 : 학생, 교사 학부모의 상호 협력을 상징
양쪽 청색기둥 : 화홍의 영문 첫글자(h)로 사제동행과 상승의지 상징
변형 태극문양 : 한글 ‘고’자를 나타내며어딜 봐서, 남여의 아름다운 조화 상징
1999 : 본교의 개교년도 상징

3.2 교화와 교목

교화 - 장미
교목 - 소나무

4 학교 특징

과학특성화교육, 국제이해교육, 학교체육활성화를 교육시키고 있고 탁구부를 육성 중이다. 매점이 없고, 자판기도 없다. [1] 뭐 먹으라고

5 학교 시설

  • 교사부지 : 15444m²
  • 체육장 : 7722m²
  • 연건평 : 13104m²
  • 교실 : 45개 2016년 현재, 3학년 15반만 2학년과 같은 4층에 있어서 해당 반 학생들은 다른 반에 세들어서 시험을 봤다(...) 책상 의자 옮기는 중노동은 덤. 수능 끝나고 두고보자 2학년 놈들
  • 특별교실 : 23개
  • 부속건물 : 26개

5층 체육관은 탁구부 전용이라서 수업할때 쓸일 없다 그래도 위치정도는 알아놓자

6 학교 생활

6.1 동아리

7 교복

교복이 근처 화홍중학교와 색깔이 매우 비슷한데, 일단 셔츠가 하늘색이고 블레이저 디자인이 구려서(...) 구분하기는 쉬우나 남학생 교복의 경우 하의는 겉보기에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급하면 그거 입고 가도 된다. 복장규정상으로 어떤진 알수 없지만, 봄철에는 조끼를 벗고 셔츠만 입고 다녀도 된다.

하복은 세로 줄무늬가 있는 흰색 반팔 셔츠이고 바지는 동복 바지보다 색이 옅고 얇은 원단으로 만들어져 있다. 일반적인 긴 바지 이외에, 반바지 버전도 있다.

8 교통

8.1 위치

파일:화홍고등학교 위치.png
교통 정말 안 좋다.

8.2 버스

8.3 철도

9 출신 인물

10 기타

2000년에 TV프로그램 골든벨에 나왔다. 2003년까지는 거수경례를 했었다.
2016년 동상이몽의 46회 출연자 중 한 명이 재학중이다. 정작 학교 촬영 분량은 통편집 되었다는 게 함정

매점은 2014년 7대 교장의 방침에 의해 사라졌다. 그리고 빵 자판기와 음료수 자판기가 들어왔었으나, 2015년에는 다시 사라졌다.어차피 기다리는 학생들도 많았고 금방 품절되는 것들이 제법 많아서 유명무실하긴 했다. 여담이지만 음료수 자판기의 커피 같은 건 따뜻하게 데워진 채로 나와서 겨울철에는 손난로로 쓰는 것도 유효했었다.

원래는 학생의 질이 나쁘다는 소문이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는 않다.단, 학생과 선생 양쪽에 모두 인간 쓰레기가 일부 포진해 있으니 유의. 그게 나쁜거지

급식은 먹을 만한 편에 들지만, 전혀 아니던데? 중식보다 석식이 훨씬 낫다는 평이 대부분이다. 아니 급식표만 봐도 온도차가 장난 아니잖아요 [2] 특징인지 뭔진 몰라도 보통 묶여서 나오는 메뉴들이 꼭 있다. 그리고 그렇게 묶여서 나오는 메뉴를 1~2개월 간격으로 돌려서 배치한다.즉 다음 달 급식은 저번 달 급식 뺑뺑이. 무슨 순열과 조합도 아니고... 급식 중 기피 메뉴로는 해물볶음우동이 있는데, 매달 마지막 금요일에 높은 확률로 나온다. 그리고 맛 없다. 진짜로. 일단 오징어 때문에 비리고 거기에 기묘한 느낌의 양념과 큼지막하게 썰어 넣은 버섯은 덤... 그리고 쓸데없이 맵다.

인근의 학교들과 마찬가지로 9시 등교를 하는 학교이기도 하다. 1교시 수업은 9시 10분에 시작하고 7교시가 끝나는 시간은 4시 50분. 야간자율학습은 1학년의 경우 9시 40분, 2,3학년은 10시에 끝난다.

여담으로 학생주임과 학년부장이 학교 안에서 TCG, 특히 유희왕 등을 못 하게 한다. 단순히 플레이만이 아니라 그냥 카드 자체를 소지하는 것도 금지. 정작 그런 카드를 휴대하는 것을 금지하는 건 교칙에 없다? 타로카드도 뺏던데
  1. 2014년까지는 매점이 있었는데 없어지고, 한동안 그 역할을 빵자판기가 대신하다가 나중에 그 빵자판기마저 사라졌다...
  2. 볶음밥이나 비빔밥류가 석식에 특히 많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