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위의 역대 황제 | |||||
6대 현조 헌문황제 탁발홍 | ← | 7대 고조 효문황제 원굉 | → | 8대 세종 선무황제 원각 |
묘호 | 고조(高祖) | |
시호 | 효문황제(孝文皇帝) | |
연호 | 연흥(延興, 471년 8월 ~ 476년 6월) 승명(承明, 476년 6월 ~ 476년 12월) 태화(太和, 477년 ~ 499년) | |
성 | 원(元)[1] | |
휘 | 굉(宏) | |
생몰기간 | 467년 10월 13일 ~ 499년 4월 26일 | |
재위기간 | 471년 9월 20일 ~ 499년 4월 26일 |
1 개요
북위 제7대 황제(재위 471-499). 본명은 탁발굉(拓跋宏). 묘호는 고조(高祖). 시호는 효문황제(孝文皇帝).
6대 헌문제의 장남으로 471년 5세의 나이에 즉위하였다. 어려서 초기에는 풍태후(馮太后)가 섭정을 하였다. 이시기 삼장제(三長制)와 균전제(均田制)를 시행하며 황제권 강화와 국가 재정을 튼튼히 하게 만들었다.
2 한화#s-3 정책
490년 풍태후가 죽자 친정을 시작하였다. 그는 한화(漢化) 정책이라고 불리는 일련의 개혁을 시작하였는데 목표는 황제권 강화를 위한 것이었다. 먼저 원래 성이었던 탁발(拓跋)씨를 버리고, 원(元)씨로 개칭하는 등 개략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낙양(洛陽) 천도
2. 호한(胡漢)간 결혼 장려
3. 호성(胡姓)을 한성(漢姓)으로 개변[2]
4. 호속(胡俗), 호어(胡語) 금지
5. 성족분정(姓族分定)
6. 서교제천 금지
7. 관제개혁
이러한 한화 정책은 결과적으로 선비족을 한화 선비와 비한화 선비로 나누는 결과를 낳았고, 낙양 천도로 인해 황제를 따라 이동한 한화 선비족은 중앙권력을 독점하게 되고 천도를 반대하여 원래 있던 곳에 남아있던 비한화 선비족은 그만큼 입지를 잃게 된다.
이와 함께 효문제 치제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바로 풍태후(문명태후) 섭정하에 실시된 삼장제와 균전제 실시다. 삼장제는 황제의 신민에 대한 일신지배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5가구를 한데모아 1린, 5린을 한데 모아 1리, 5리를 한데 모아 1당을 만들어 각각 린장, 이장, 당장을 두어 호구조사, 조세량 지정 등 행정업무를 맡기는 제도를 말한다. 균전제는 당시 황폐화된 화북의 토지를 정비하여 국가가 일반 백성에게 노동력을 기준으로 토지를 하사한 제도이다. 이는 토지공유주의와 균분주의라는 원칙이 투영되어 있다. 즉 한족의 전통과 유목민의 전통이 어울려진 이 제도는 전란으로 황폐화된 화북지방의 토지를 개간하는 한편 농민생활의 안정을 위해 시행되었다.
일반 성인남성인 정남에게 환수전인 노전과 불환수전인 상전이 지급되었다. 이점에서 정전제 이래 중국의 토지사상이 강하게 투영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남의 부인에게도 토지가 지급되었고 이외에 농우에까지 지급된 것으로 봐서 여자와 가축의 노동력을 중시하는 유목민적 성격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노비에게도 토지가 지급되었다.[3]
한때 균전제에 대해 실시 여부에 대해 찬반논란이 많았다. 그럴 수 밖에 없는게 균전제 시행에 대한 사료는 이안세의 상소문 정도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투르판지역과 돈황지역에서 균전제 실시에 관한 토지문서가 발견되어 균전제가 실시되었다는 쪽에 의견이 강하게 실렸지만 이에 대한 반론도 만만지 않아 귀추가 주목된다.
위에 언급한 효문제의 업적 중 하나는 낙양 천도가 있다. 낙양은 지형 특성상 방어에 대단히 취약하다. 양(육조)의 명장 진경지가 낙양을 정복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따라서 천도 당시 수많은 신하들이 반대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도한 이유는 통일전쟁을 위해서였다. 남조의 물산은 북위에 있어 대단히 탐나는 일이었고 또한 이때쯤 되면 북위도 중원을 계승했다는 의식을 갖게 되어 통일전쟁에 나서게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후한의 수도이기도 했던 낙양을 수도로 삼는다는것 자체가 한화정책의 성격을 부여하기 떄문이라고도 볼 수 있따.
이러한 한화 정책의 결과 황제권은 강화되었으나 한화 정책의 시행으로 한족 등용이 늘어났고, 문인을 우대하는 풍토가 일어나자 소외된 무장들과 비한화된 선비족장들의 불만이 누적되어갔다. 496년 실제로 장남이었던 황태자 원순(元恂)이 한화정책에 반발해 옛수도였던 평성(平城)에서 반란을 일으키기도 하였으나 진압되었다. 진압후 효문제는 원순을 폐태자 시킨 후 주살하였다. 그러나 그 후에도 불만은 사라지지 않았고, 499년 33세의 젊은 나이에 그가 사망한 후 누적된 불만은 사후 523년 육진의 난으로 폭발하게 된다.
3 미디어에서의 등장
뮬란 : 전사의 귀환에서 남자 주인공으로 비중있게 등장한다.- ↑ 원래 성은 탁발(拓跋)이었으나 한화정책을 펼치면서 성을 바꾸었다.
- ↑ 북위 황실도 성을 탁발(拓跋)에서 원(元)으로 고쳤다.
- ↑ 여담으로 이 제도는 북제와 북주, 수를 거쳐 당 시기 까지 지속되었가 토지부족문제로 안사의 난을 전후로 사라지게 된다. 점차 인구는 늘어갔고 이로 인해 불환수전도 증가했다기 때문이다. 이는 대체적으로 북위 멸망 이후에 실시된 균전제가 토지 지급에 대한 제한이 걸려 부인이나 가축에겐 토지가 지급되지 않았다는 사실에서 잘 드러난다. 또한 관리들에 대한 토지는 일반 정남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균전제 특성상 노비와 농우를 많이 가진 권세가들이 토지를 더 많이 지급받았으며 노비와 농우의 세금도 정남에 비해 적었다. 결국 당 중후기가 되면 지급되는 토지는 규정의 절반 이하인 농가가 급증하고, 그 소출로 무장을 해야 했던 농민들에게는 상대적으로 군역부담이 커지는 꼴이 되면서 도호화, 즉 토지를 이탈해 숨어버리는 농민들이 증가하고, 그 결과 안사의 난을 기점으로 균전제는 끝을 맺는다.